![]() |
| '선박 온실가스 감축 규제 대응 역량 교육' 참여자들이 11월 3일 부산 라발스호텔에서 개회식을 하며 단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제공 |
올해로 4회째인 이번 교육은 해양수산부와 국제해사기구(이하 IMO)가 공동 주최하고 공단이 주관했다.
지금까지 총 48개국 80명이 본 과정을 수료했다.
GHG-SMART 교육 프로그램은 2020년 해양수산부와 IMO가 체결한 파트너십 협정에 따라 추진되는 사업으로, 기후위기에 취약한 국가들이 자국의 온실가스 감축 전략을 수립하고, 규제 대응 역량을 높이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성평등한 참여 환경을 조성해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국제협력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교육에서는 ▲IMO의 온실가스 감축 규제 최신 동향 ▲대한민국의 국가행동계획(NAP, National Action Plan) ▲국제 해운 탈탄소화 정책 등이 논의됐다.
또한, 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과 세계은행(World Bank) 전문가가 참여한 기후금융 관련 세미나도 마련됐다.
아울러 참가자들은 부산항 신선대 부두(부산항만공사), 한국해양대학교, 삼성중공업 등 부산·경남 지역의 친환경 선박 및 항만 기술 현장을 방문해 실무 이해를 높였다.
국제해운은 전 세계 탄소배출의 약 3%를 차지하지만, 국가별 대응 역량은 천차만별이다.
지리적 여건상 해수면 상승의 영향을 크게 받는 군소도서국은 기후위기에 가장 취약한 상황에 놓여 있다.
공단 관계자는 "현재 IMO가 국제해운의 온실가스 감축 규제를 활발히 논의하고 있음에도, 군소도서국 등 기후취약국은 탈탄소 전환의 이중 부담을 겪고 있다"면서 "이번 교육은 함께 해법을 모색하는 실질적 연대의 장이 됐다"고 말했다.
현재 GHG-SMART 교육 프로그램 수료생들은 자국 정부 대표단으로 활동하며, 국제해운 탈탄소화를 위한 협력 네트워크를 이어가고 있다.
![]() |
| '선박 온실가스 감축 규제 대응 역량 교육(GHG-SMART 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11월 5일(수) 부산 라발스호텔에서 국가행동계획(NAP) 개발에 대한 그룹 미션을 수행 중인 모습./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제공 |
부산=정진헌 기자 podori777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정진헌 기자![[붙임3] 2025 GHG-SMART 교육 프로그램 개회식 단체 기념사진](https://dn.joongdo.co.kr/mnt/images/file/2025y/11m/09d/202511090100065900002907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