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 나노입자 연구단, 치매치료 효과 확인

  • 경제/과학
  • 대덕특구

IBS 나노입자 연구단, 치매치료 효과 확인

미토콘드리아 표적 나노입자 합성 성공… 알츠하이머병 치료 신약 가능성 높여

  • 승인 2016-02-25 14:20
  • 이승규 기자이승규 기자
▲활성 산소 제거 능력이 계속 유지되는 3nm 크기 산화세륨 나노입자 표면에 TPP가 결합된 친수성과 소수성을 모두 지닌 polymer를 입혀 캡슐화하였다(상). 막전위 45mV. 전체 크기 22nm인 미토콘드리아 표적 나노입자가 합성되었다. 전자 현미경 사진에서 3nm 크기가 보인다(하).(제공= IBS)
▲활성 산소 제거 능력이 계속 유지되는 3nm 크기 산화세륨 나노입자 표면에 TPP가 결합된 친수성과 소수성을 모두 지닌 polymer를 입혀 캡슐화하였다(상). 막전위 45mV. 전체 크기 22nm인 미토콘드리아 표적 나노입자가 합성되었다. 전자 현미경 사진에서 3nm 크기가 보인다(하).(제공= IBS)


국내연구진이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에 다가서는 신약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김두철)은 나노입자 연구단 현택환 단장(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과 묵인희 교수(서울대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교수) 연구진이 자체 개발한 산화세륨(CeO2, 세리아 ceria) 기반 미토콘드리아 표적 나노입자 항산화제가 생쥐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밝혀냈다.
 
이는 연구진이 미토콘드리아 내 활성산소 제거를 위한 항산화제 개발을 목표로 나노분야와 의생명분야간 공동연구를 진행하면서 강력한 항산화제인 산화세륨 나노입자(3㎚·30억분의 1m)표면에 미토콘드리아 표적물질인 TPP(Triphenylphosphonium)잔기를 입혀 새로운 미토콘드리아 표적 나노입자를 합성하는데 성공한데 따른 것이다.

▲미토콘드리아 표적 산화세륨 나노입자의 공초점 현미경 사진으로 합성된 미토콘드리아 표적 산화세륨 나노입자를 세포에 처리했을 때, 세포 안으로 들어가서 미토콘드리아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상). 또한 일반 산화세륨 나노입자와 비교했을 때 미토콘드리아와의 겹침정도가 훨씬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하).
▲미토콘드리아 표적 산화세륨 나노입자의 공초점 현미경 사진으로 합성된 미토콘드리아 표적 산화세륨 나노입자를 세포에 처리했을 때, 세포 안으로 들어가서 미토콘드리아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상). 또한 일반 산화세륨 나노입자와 비교했을 때 미토콘드리아와의 겹침정도가 훨씬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하).

 
새로운 나노입자는 TPP잔기의 작용으로 세포내 미토콘드리아 속으로 들어가 머물면서 알츠하이머 등 각종 질병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미토콘드리아 내 활성산소를 지속적으로 제거하도록 만들어졌다.
 
연구팀은 이를 실험용 알츠하이머 생쥐의 뇌에 주입하는 실험을 통해 새로운 나노입자가 생쥐 뇌 속 손상된 신경세포를 회복시키고 신경염증반응을 완화하는 등 알츠하이머병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미토콘드리아 표적 산화세륨 나노입자가 알츠하이머병 모델 생쥐의 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 
<br />알츠하이머병 모델 생쥐의 신경세포는 정상생쥐에 비해 그 수가 감소되어있다. 하지만 미토콘드리아 표적 산화세륨 나노입자(초록색)를 뇌에 주입하였을 때 감소된 신경세포의 수가 회복된 것을 알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 표적 산화세륨 나노입자가 알츠하이머병 모델 생쥐의 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
알츠하이머병 모델 생쥐의 신경세포는 정상생쥐에 비해 그 수가 감소되어있다. 하지만 미토콘드리아 표적 산화세륨 나노입자(초록색)를 뇌에 주입하였을 때 감소된 신경세포의 수가 회복된 것을 알 수 있다.

▲ 미토콘드리아 표적 산화세륨 나노입자가 알츠하이머병 모델 생쥐에서 나타나는 신경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br />알츠하이머병 모델 생쥐의 뇌에서는 성상세포(붉은색)와 소교세포(파란색)가 늘어나 신경염증반응이 증가한다. 하지만 미토콘드리아 표적 산화세륨 나노입자(초록색)를 뇌에 주입한 경우 신경염증반응이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제공= 기초과학연구원)
▲ 미토콘드리아 표적 산화세륨 나노입자가 알츠하이머병 모델 생쥐에서 나타나는 신경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알츠하이머병 모델 생쥐의 뇌에서는 성상세포(붉은색)와 소교세포(파란색)가 늘어나 신경염증반응이 증가한다. 하지만 미토콘드리아 표적 산화세륨 나노입자(초록색)를 뇌에 주입한 경우 신경염증반응이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제공= 기초과학연구원)

 
연구진은 이번 연구성과와 관련 “나노·의생명분야 공동연구를 통해 여러 질병의 원인으로 꼽히는 미토콘드리아 내 활성산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입자의 합성에 성공했다”면서 “이번 연구가 알츠하이머뿐 아니라 여러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제 개발에도 획기적 전환점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화학분야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지인 ‘ACS Nano’2월11일자 온라인 판에 실렸다.

이승규 기자 esk@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종시, 2025년 제1회 추경 1260억 원....총액 2.1조 원 예고
  2. 투쟁 수위 높인 조리원들, 대전 A고 급식갈등 지속… 학교는 뭐 했나
  3. 대전 중구 석교동 3중 추돌…5명 경상
  4. ‘내 일자리는 어디에’
  5. ‘테러 막아라’…빈틈 없는 통합방위
  1. [우난순의 식탐] 주먹밥과 기억의 힘
  2. [기고] 국민 신뢰 확보의 초석, 공정한 선거관리
  3. [스승의 날] "선생님 사랑해요" 편지로 전한 감사의 마음
  4. 대전중부경찰서 전국 첫 ‘자율방범대원의 집’ 추진… 시민 긴급 대피처로
  5. [특별기획]제94차 지역정책포럼 오피니언리더 긴급좌담회

헤드라인 뉴스


권선택 前 대전시장 이재명 선대위 전격 합류

권선택 前 대전시장 이재명 선대위 전격 합류

권선택 전 대전시장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 중앙선거대책위원회에 전격 합류한다. 이 후보의 중도보수 확장 지향과 국정과 지방행정을 두루 거친 충청권 인사라는 권 전 시장의 높은 활용도가 대선정국에서 맞아떨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15일 중도일보와 통화에서 "민주당에서 요청해 이 후보 중앙선대위에서 함께 하기로 결정됐다"며 "앞으로 이 후보 당선을 위해 힘을 보탤 것"이라고 말했다. 권 전 시장의 선대위 합류 배경엔 민주당의 간곡한 요청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그의 보직은 정부혁신제도개선위원회 위원장이다. 앞으로 그는 대..

‘임대 아파트 사업권 따내려 뇌물’ 대전 재개발정비사업 조합장 2명 구속
‘임대 아파트 사업권 따내려 뇌물’ 대전 재개발정비사업 조합장 2명 구속

대전 중구와 서구 소재 주택재개발정비사업 조합장이 재개발 단지의 임대 아파트 사업권을 대가로 뇌물을 받은 혐의로 경찰에 구속됐다. 이번 사건은 재개발 조합의 운영 투명성 부족과 고질적인 병폐로 지목된 민간 사업자와 조합 간 유착 구조가 여전히 지역 사회에 만연해 있음을 보여준다. 15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중구 A구역 조합장과 서구 B구역 조합장이 최근 전북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에 붙잡혔다. 두 조합장은 검찰에 송치된 상태로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뇌물, 알선수재)과 뇌물공여 등의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은..

"충청서 보수결집…" 김문수 이준석 16일 금강벨트 공략
"충청서 보수결집…" 김문수 이준석 16일 금강벨트 공략

21대 대선 본선레이스가 중반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가 16일 금강벨트 공략에 나선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달리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맹추격하는 입장인 두 후보는 전통적 캐스팅보터 지역인 충청권을 찾아 반전을 위한 총력전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김 후보는 이날 충청권 4개 시도를 모두 방문한다. 충남 천안과 세종, 충북, 청주, 대전을 잇는 충청권 요충지를 돌면서 보수층 결집을 호소한다. 특히 김 후보는 공식선거운동 첫날인 12일에 이어 4일 만에 또다시 대전을 찾아 주목된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한국수자원공사, 극한홍수 대비 사전 점검 한국수자원공사, 극한홍수 대비 사전 점검

  • 제21대 대통령선거 벽보 제21대 대통령선거 벽보

  • ‘내 일자리는 어디에’ ‘내 일자리는 어디에’

  • ‘테러 막아라’…빈틈 없는 통합방위 ‘테러 막아라’…빈틈 없는 통합방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