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가뭄에, 지하수 개발 관련 갈등 확산

  • 전국
  • 서산시

최악의 가뭄에, 지하수 개발 관련 갈등 확산

메마른 물줄기 속에, 인정마저 메말라 간다.

  • 승인 2017-06-26 08:40
  • 신문게재 2017-06-27 17면
  • 임붕순 기자임붕순 기자
▲ 서산지역 지하수 관정 시추 작업 모습
▲ 서산지역 지하수 관정 시추 작업 모습
최악의 극심한 가뭄에 각 지역마다 중·대형 관정 개발에 목을 매면서 인근 주민들간에 지하수를 개발을 둘러싼 갈등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민심마저 메말라 가고 있다.

서산시와 한국농어촌공사 등에 따르면 최근 농어촌공사서산태안지사에 해미면 관유리 주민들이 찾아와 물을 돌려놓으라며 심하게 항의했다는 것이다.

한국농어촌공사서산태안지사에서 가뭄대책의 하나로 지난 1주일전쯤에 동네 입구에 하루 500t 규모의 대형 관정을 뚫으면서 인근 주민들이 밭이나 논에 물을 대거나 생활용수로 사용하던 소형 관정이 말라버려 물이 나오지 않는다며, 대형 관정개발로 물이 끊겼으니, 대책을 세워달라고 주장했다는 것이다.

이에따라 한국농어촌공사서산태안지사는 일단 새로 판 관정에서 나오는 물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아울러 소형 관정에서 물이 나오지 않는 원인이 새 관정개발에 따른 것인지, 자연고갈에 따른 것인지 정밀 조사키로 했다.

한국농어촌공사 한 관계자는 “관정개발에 앞서 주민회의 등을 거쳐 굴착장소를 선정하는데더 인근 지역에 물이 나오지 않는다는 주민 민원이 매 번 들어오고 있다”며 “이런 상태가 이어진다면 사실상 더는 지하수 개발이 어려울 수도 있다”고 말했다.

현재 농어촌공사서산태안지사에서 관리하는 대형저수지의 평균 저수율은 10%대 초반으로, 사실상 용수공급 기능을 거의 상실해 마지막 대책의 하나로 각 지역마다 소형부터 중·대형 관정개발에 목을 매고 있는 상황이다.

서산시도 충남도 등으로부터 긴급 지원받은 예산 등 24억6000만원을 투입해 가뭄 피해가 극심한 지역을 중심으로 소형 관정 150공과 중·대형 관정 19공을 개발 중이어서 앞으로도 관정개발을 둘러싼 주민 갈등이 더 심해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실제로 지난달에도 서산시 인지면에서 물이 말라버린 저수지에 대형 관정개발을 통해 물을 채워 농지에 골고루 공급하려 했으나 인근 주민들이 기존 관정이 말라버린다는 이유로 반대해 결국 관정개발을 포기하기도 했었다.

서산시의 한 관계자는 "가뭄이 길어지면서 관정개발을 추진하는 쪽과 이를 저지하려는 주민들간의 갈등속에, 농지가 인접한 이웃과도 관정 신규 개발을 둘러싸고 욕설을 벌이거나 몸싸움까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한 “가뭄이 장기화 되면서 얕은 지표면의 우물이나 소형 관정은 대부분 물이 말랐거나 양이 줄고 있고, 이런 상태에서 근처에서 관정개발에 농민들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어 지하수 개발에 앞서 주민 설득작업에 더 애를 먹고 있다”고 말했다.

한 지하수 개발업자는 “요즘은 지하수 굴착을 위한 장비 설치작업 중에도 주민들이 찾아와 물이 끊겼다고 항의를 하는 경우도 있다”며 “물 때문에 예민해진 마음은 이해하지만, 관정은 굴착깊이가 달라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데도 무작정 항의하면 난감할 때가 있다”고 말했다. 서산=임붕순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트램, 지하화 구간 착공 앞두고 캠페인 진행
  2. KAIST 장영재 교수 1조 원 규모 '피지컬 AI' 국책사업 연구 총괄 맡아
  3. [사이언스칼럼] 우주에서 만나는 두 가지 혁신: 디스럽션을 넘어 확장으로
  4. 자신이 돌보던 장애인 수당 빼돌린 요양보호사 실형
  5. 건양대, 'K-국방산업 선도' 글로컬 대학 비전선포식
  1. 충청권 학령인구 줄고 학업중단율은 늘어… 고교생 이탈 많아
  2.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3. [교단만필] 나는 호구다
  4. 2027년 폐교 대전성천초 '특수학교' 전환 필요 목소리 나와
  5. [홍석환의 3분 경영] 정도 경영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학령인구 줄고 학업중단율은 늘어… 고교생 이탈 많아

충청권 학령인구 줄고 학업중단율은 늘어… 고교생 이탈 많아

충청권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반면, 학업중단율은 증가세를 보이며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저출생 여파에, 대입 전략을 위해 스스로 자퇴를 택하는 고등학생들이 늘면서 등교하는 학생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28일 한국교육개발원이 발표한 '2025년 교육기본통계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4년 충청권 시도별 유·초·중등 학생 수는 대전 16만 4591명, 세종 6만 8091명, 충남 24만 9281명, 충북 17만 3809명으로 집계됐다. 학생 수는 전년보다 대전은 2.7%, 충남 2.1%, 충북 2%가 감소했고 세종만 유일하게..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정부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비수도권·인구감소지역을 중심으로 지방세를 더 감면해 주기로 해 충청권 지자체들의 숨통이 다소 트일 전망이다. 또 전국 13만4000호에 달하는 빈집 정비를 유도하고자 빈집 철거 후 토지에 대한 재산세도 깎아주기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28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년 지방세제 개편안'을 발표했다. 개편안에 따르면 정부는 산업·물류·관광단지 등 지역별 중점산업 조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수도권,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순으로 지방세 감면율을 높게 적용키로 했다. 기존 산업단지의 경우 수..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멀리뛰기 국가대표를 꿈꾸는 윤여훈(용천초 6)은 교실보다 학교 밖 운동장이 더 친숙하고 즐거웠다. 축구를 가장 좋아했지만, 달리는 운동이라면 뭐든 가리지 않았다. 또래 아이들보다 몸이 유연하고 날렵했던 아이를 본 체육담당 교사가 운동을 권유했고 그렇게 육상선수 윤여훈의 꿈이 시작됐다. "처음에는 멀리뛰기라는 운동이 있는지도 몰랐어요. 달리기는 원래 잘했으니까 선생님이 지도해주신 그대로 뛰니까 기록이 나오더라고요." 윤여훈의 100m 기록은 12초 중반에 이른다. 전국대회 단거리 상위권에 버금가는 기록이다. 윤여훈은 멀리뛰기와 단거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