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스기술공사, 세계 최대 규모 액화수소 플랜트 시운전, O&M 서비스 개시

  • 경제/과학
  • 공사·공단

한국가스기술공사, 세계 최대 규모 액화수소 플랜트 시운전, O&M 서비스 개시

"서비스 업무 통해 국·내외 액화수소 전문기업 목표"
"초저온 설비 정비 노하우를 활용한 설비 국산화에 기여 할 것"

  • 승인 2023-10-09 11:17
  • 수정 2024-02-15 16:02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인천 액화수소플랜트 조감도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 조감도

한국가스기술공사는 SK E&S가 추진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 PMC(Project Management Consulting, 건설사업관리)를 시작한다.

지난 6일 한국가스기술공사에 따르면 SK E&S가 건설 중인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는 세계 최대 규모인 일 90톤, 연 3만톤의 액화수소를 생산할 수 있으며, SK인천석유화학 공장에서 생산되는 부생수소(순도 91.6%)를 공급받아 고순도(99.999%)로 정제한 뒤 영하 253℃의 극저온 상태에서 냉각과정을 거쳐 액체상태의 수소 모빌리티용 연료로 전환되어 전국 주요 지역 액화수소 충전소로 공급할 예정이다.

액체수소는 기체수소보다 부피가 800분의 1만큼 작고 1회 운송량 기준 효율이 10배 이상 높아 운송, 저장 및 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체수소의 비효율을 개선할 수 있어 수소경제 확산을 이끌 '게임 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가스기술공사는 국내 유일의 천연가스 LNG 터미널 플랜트 정비 및 전국 천연가스 배관망 관리사업 등 에너지산업을 선도하는 기술 플랫폼 전문기업으로 30년간 축적해 온 초저온설비 정비 기술력을 기반으로 인천 액화 수소플랜트의 PMC부터 시운전 및 O&M(운영 및 유지보수)까지 프로젝트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걸쳐 기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 액화수소 플랜트 상업운전에 차질이 없도록 플랜트 시운전 및 O&M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또한, 액화수소 플랜트 시운전 및 O&M을 통해 축적한 기술력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한국가스기술공사가 운영하고 있는 ‘대전 수소산업 전주기 제품 안전성 지원센터’ 와 연계해 국내 수소부품의 설계, 제작, 시험분석까지 수소전주기 제품에서 발생 되는 문제점에 대한 기술적 지원을 통해 액화수소 생산설비 국산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용돈 한국가스기술공사 사장은 "수소에너지 전환 시대에 맞춰 30년간 천연가스 분야에서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액화수소 플랜트 설비 PMC, 시운전 및 O&M 서비스 등을 완벽히 수행하여 액화수소 산업의 선도적 기업으로 나아갈 것"이라며 "향후 축적된 시운전과 O&M 기술력을 기반으로 국내·외 청정수소 생태계 구축에 이바지하고, 액화수소 생산설비 불모지인 국내 수소 분야의 설비 국산화에도 기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전에 본사를 둔 한국가스기술공사는 공천연가스 생산과 공급설비를 예방점검하고, 정비와 기술용역을 수행하여 안정된 천연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설립된 정부투자기관이다.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으로 국내 에너지 소비 중 천연가스의 소비량이 급증함에 따라 설비의 예방점검과 정비업무가 중요시되어 1993년 5월에 한국가스공사의 자회사로 설립됐다. 주요 업무로 첫째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기화(氣化) 및 송출설비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고장기기를 신속하게 정비하는 것이다. 수소산업 생태계 구축에도 힘써 지난 2021년 2월 수소제품의 안전성과 성능을 향상하고 수소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 튼튼한 수소 생태계를 만들어 가겠다는 목표로 '수소산업 전주기제품 안전성 지원센터'를 개소했다. 현재는 제2창업을 선포하며 친환경에너지 기술 플랫폼 전문기업으로 거듭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시의회 노종관 의원 대표발의, '천안시 건축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본회의 통과
  2. 21년 만의 행정수도 재추진...3가지 관문 통과가 관건
  3. 일상 속 위험, 예방이 먼저!
  4. 원모어아이 v2.0, 조달청 혁신제품 선정...기술력 입증
  5. 국세청, 집중호우 피해 납세자에 세정지원 강화
  1. 매월 22일 '소등의 날' 실천...세종시민이 탄소중립 선도
  2. 타이어뱅크(주)의 서비스 혁신·지역사회 나눔....7월에도 쭈욱~
  3. 19일 오후부터 충청권에 또 폭우…오전까지 침수·담장 붕괴 등 비 피해
  4. 지역 어르신들에게 삼계탕 선물
  5. 천둥 번개 동반한 강한 비… 대전·세종·충남 최고 150㎜

헤드라인 뉴스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7월 16일부터 나흘간 충청권에 600㎜ 가까운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3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으며 900명이 넘는 이재민이 발생했다. 충남은 전국 피해의 80%를 차지하는 농작물이 침수됐고 가축 수십만 마리가 폐사해 피해가 극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예산과 아산, 당진에서 수해 복구 작업이 한창인 가운데, 충남도는 피해조사와 복구 대책 마련을 위한 합동조사단을 꾸린 상태다. 20일 충청권 4개 시·도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이어진 극한 호우에 충남에서는 서산(2명), 당진(1명)에서 3명이 침수 피해로 사망했다. 세종에서는..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더불어민주당 당권 주자와 최고위원 후보들이 8.2 전당대회 충청권 순회경선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 논란에 일제히 침묵,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행정수도 완성 역행 우려와 공론화 없이 일방통행식으로 강행되는 이 사안에 대해 일언반구도 없어 지역 민심을 외면했다는 것이다. 19일 당 대표 후보인 정청래 의원(서울마포을)과 박찬대 의원(인천연수갑), 최고위원 후보로 단독 출마한 황명선 의원(논산금산계룡) 등 3명은 8·2 전대 첫 지역별 순회 경선지인 충청권 온라인 합동연설에 나섰다. 이 가운데 정 의원과 황 의원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산다'는 비판을 받았던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이 11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고액 보조금 경쟁을 막고 소비자를 보호하겠다며 시행된 단통법이 22일 폐지되면서다. 이와 함께 휴대전화 유통 구조도 크게 요동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단통법은 2014년 10월 휴대전화 유통시장의 혼탁한 보조금 경쟁을 바로잡기 위해 도입됐다. 정부는 이통사가 지원금을 의무적으로 공시하고, 유통점이 지급할 수 있는 추가 지원금을 공시지원금의 15% 이내로 제한했다. 하지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