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칼럼] 101. 기후 비상사태에 보내온 물의 경고

  • 오피니언
  • 사외칼럼

[염홍철 칼럼] 101. 기후 비상사태에 보내온 물의 경고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 승인 2025-01-02 12:00
  • 현옥란 기자현옥란 기자
염홍철칼럼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노자의 무위사상인 상선약수(上善若水)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것은 '최상의 선은 물과 같다'는 뜻이지요. 만물을 이롭게 하는 물의 성질을 최고 이상적인 경지로 삼는 도가의 철학이지요. 물은 생명입니다. 지구의 모든 생물은 물 없이는 생존할 수 없으니까요. 사람도 몸의 70%가 물로 되어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물은 우리를 이롭게 하는 것인데, 미국의 작가이며 언론인인 제프 구델의 '물이 몰려온다(The Water Will Come)'라는 책을 읽으면서, 이제는 물이 두려워졌습니다. 제프 구델은 '해수면 상승' 문제에 관한 전문 언론인이지요. 그는 세계적인 환경 재난을 저지하는 방법에 관해, 아울러 우리가 행동하지 않을 경우, 어떤 위험이 초래되는지에 관해 중요한 시각을 제공했는데, 그것이 바로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인류가 처한 위험입니다. 그는 기후 위기에 관한 많은 쟁점이 존재함을 인정하면서, 그러나 사실로 확인된 시각을 몇 가지 제시했는데, 바로 "기후가 온난화되고 있고, 세계의 거대 빙산이 녹고 있으며, 그래서 바닷물이 상승하고 있다"라는 점입니다. 그는 2012년 뉴욕을 강타한 허리케인 샌디를 취재하면서 큰 충격에 빠졌습니다. 그 당시 허리케인 샌디가 뉴욕시를 강타한 뒤 물이 빠진 지역을 샅샅이 취재했는데, "동네에는 곰팡이 냄새, 썩은 냄새가 진동하고 전기는 나갔으며 상점은 문을 닫았다. 부러진 나무, 방치된 자동차, 곳곳에 널린 잔해"를 보면서 불과 몇 시간 만에 밀려온 홍수 때문에 이런 상황이 되었다면 아예 대서양이 밀려 들어와서 그대로 머문다면 어떻게 될까 하는 문제의식을 갖게 된 것입니다.

20세기 바다는 약 15cm 상승했습니다. 그렇지만 오늘날의 바다는 지난 세기에 기록된 것보다 아마 2배 이상 속도로 상승할 것입니다. 해수면 상승 속도가 급속히 증가하는 것이지요. 미국 국립해양대기국 보고서에 의하면 "전 세계 해수면 상승 폭은 2100년까지 최소한 30cm에서 최대 2.5m 이상에 이를 수 있다"고 예측하였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화석 연료 이용을 중단해야 한다는 해법이 나옵니다. 그런데 제프 구델은 그것도 완벽한 대책이 아니라고 합니다. 왜냐하면 오늘날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상당량은 향후 수천 년 동안 대기 중에 남아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결국 우리가 당장 이산화탄소를 감축하더라도 우리가 이미 공중에 쏟아버린 이산화탄소로부터 비롯되는 온난화를 중지시킬 수 없다는 뜻입니다. 지구를 식히는 데 수백 년이 걸릴 것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효과가 없는 것은 아니지요. 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섭씨 1.5도 이내로 제한할 수 있다면, 이번 세기의 해수면 상승은 60cm에 그치고, 사람들에게 적응할 시간을 더 많이 주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돈만 충분하다면 해안 장벽을 쌓고, 하수도 시설을 개선하고, 주요 기관 시설을 돋워 개선한다면 대비할 수 있겠으나, 상당한 비용이 들지요. 구델은 2100년에 이르려면 매년 100조 달러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전망합니다. 그러나 구델이 걱정하는 것은 기후 과학이 아니라 인간 심리의 복잡성에도 있습니다. 이와 관련 구델의 질문을 소개하면, 첫째, 우리는 이산화탄소 오염을 줄이기 위한 극적인 행동에 돌입할 것인가? 둘째, 상승하는 물에 도시가 대비할 수 있도록 적절한 기반 시설을 확충하는 데에 수십억 달러를 사용할 것인가? 셋째, 우리의 정치 경제 시스템이 이런 도전에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까? 하는 것입니다.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지만, '물이 몰려오면 우리의 능력이 그 물에 서서히 잠식될 것'이라는 끔찍한 전망도 가능합니다.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이제는 작업복만 봐도 이 사람의 삶을 알 수 있어요." 28일 오전 9시께 매일 고된 노동의 흔적을 깨끗이 없애주는 세탁소. 커다란 세탁기 3대가 쉴 틈 없이 돌아가고 노동자 작업복 100여 벌이 세탁기 안에서 시원하게 묵은 때를 씻어낼 때, 세탁소 근로자 고모(53)씨는 이같이 말했다. 이곳은 대전 대덕구 대화동에서 4년째 운영 중인 노동자 작업복 전문 세탁소 '덕구클리닝'. 대덕산업단지 공장 근로자 등 생산·기술직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일반 세탁으로는 지우기 힘든 기름, 분진 등으로 때가 탄 작업복을 대상으로 세탁한다...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