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칼럼] 110. 실패를 두려워하지 마라

  • 오피니언
  • 사외칼럼

[염홍철 칼럼] 110. 실패를 두려워하지 마라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 승인 2025-03-06 12:00
  • 현옥란 기자현옥란 기자
염홍철칼럼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학부모들에게 강의를 할 때마다 강조하는 말이 있습니다. 아이들에게 '성공만 가르치지 말고 실패도 가르쳐라'는 것입니다. 이 말은 성공의 성취는 모두가 추구하는 것이지만 실패의 교훈도 값지다는 뜻이지요.

당연히 인생은 성공도 있고 실패도 있습니다. 사람들은 감옥에 가는 것을 인생에서 최악의 실패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성공과 실패라는 '양대 사기꾼'을 동등하게 대우하라는 말도 있습니다. 성공이 좋고 감옥에 안 가는 것이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말한다면 누구도 반론을 제기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로버트 케네디는 "처절하게 실패할 용기가 있는 자만이 위대한 성취를 이룰 수 있다"고 말했고, 이집트 대통령으로 노벨 평화상까지 수상한 안와르 사다트가 생전에 "감옥에 투옥되어 있을 때 내면의 평화를 찾았으며, 놀랍게도 감옥에서 보낸 마지막 8개월은 내 인생의 가장 행복한 시기였다"고 말했으며, 가혹한 강제노동수용소에 갇혀있던 솔제니친은 "하나님께 감옥 주심을 감사한다"라고도 했습니다. 이 얘기들을 종합하면 '성공과 실패'를 이분법적으로만 볼 수 없다는 것이지요.

많은 선각자들은 인간은 실패에서 교훈을 얻을 수 있고, 실패는 더 현명하게 새로이 시작할 수 있는 기회라고 얘기합니다. 물론 실패는 모든 것을 다 잃을 수 있고, 가족과 주위 사람들에게 큰 상처가 될 수도 있습니다. 실패의 결과가 감옥행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요. 이렇게 실패는 당시에는 두렵고 고통스럽지만, 그것이 위대한 자산이 될 수 있다는 것은 많은 사례에서 증명되었습니다.

대표적인 사람은 링컨이 아닐까요? 이분의 삶은 대통령이 되기 전까지 실패의 연속이었습니다. 각종 선거에서 7번이나 낙선을 하였고 가정적으로도 불운하고 불행하였지요. 그리고 사업에서도 여러 번 실패하여 빚쟁이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 실패들이 그의 바른 인성을 만드는 데 기여를 하여 미국의 가장 훌륭한 대통령 중 한 사람으로 꼽히게 만드는 동력이 되었습니다. 이는 토머스 헉슬리가 얘기한 "인생 초기에 몇 번 실패하면 심리적인 혜택은 거대하다"라는 것을 실천으로 증명한 것이 아닐까요?



그리고 실패에서 교훈을 얻어 위대한 성공을 이룬, 또 한 사람이 있지요. 바로 에디슨입니다. 에디슨은 백열전구의 필라멘트를 만들기 위해 1000개가 넘는 재료를 실험하였습니다. 다시 말하면 1000번의 실패를 한 것이지요. 그러나 그는 "나는 실패하지 않았다.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1만 가지 방법을 알아냈을 뿐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여기에서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는 말이 나왔겠지요.

해럴드 마이라 등이 쓴 '빌리 그레이엄의 리더십 비밀'에서는, 맥스웰의 책 '실패를 딛고 전진하라'는 책을 인용하면서 '실패를 위하여 연습하라'는 개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실패를 적으로 간주하는 사람들을 실패하는 사람들의 노예가 된다고 하였습니다. 즉 "절대적으로 실수를 하지 않는 사람들은 실수를 하는 사람들의 밑에서 일한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실패, 실패, 일부 성공, 다시 실패, 궁극적이고 완전한 성공'이라는 공식이 성립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성공을 위해 연습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실패를 위해 연습하고 있는 것입니다. (해럴드 마이라 외 '빌리 그레이엄의 리더십 비밀' 199~200쪽 참조)

우리는 실패할 때마다 배우고 성장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진정성 있는 노력을 해야 하고 목표에 접근하는 방향성이 있어야 합니다. 배우기를 포기하거나 방향성과 성장에 대한 신념이 없으면 그것은 바로 실패를 다시 맞는 순간이 되겠지요.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현상에 학생·교사 대피…경찰 조사 중
  2.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3. 2026년 지방선거 향하는 세종시 정치권...'시장 선거' 구도는
  4.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5. 문화재 내부 공사인데도 '자체심의'…문화재 보존 사각지대 심각
  1. 대전 초등학생 11년 만에 순유입 전환… 유성·중구 전국 상위권
  2. 광복 80주년 대전 시내버스 통해 '호국 영웅' 알린다
  3. 주말까지 비 예보…장마 시작에 침수 피해 지역 '불안'
  4. 대전선화초 증축사업 시작… 220억 들여 2026년 8월 준공
  5. [사설] 서해 어민 위협할 중국 불법 구조물

헤드라인 뉴스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과학수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이 있는 경남 사천으로 이전하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돼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충청권 국회의원들까지 공동 발의자로 참여하면서 공동 대응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국민의힘 서천호 국회의원(경남 사천·남해·하동)은 17일 우주항공청 소재지인 경남 사천시를 중심으로 우주항공분야 연구개발과 산업기능을 연계하기 위해 우주항공기술 연구개발 관련 기관인 항공우주연구원과 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 인근에 소재하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한 ‘우주항공청 설치·운영에 관한..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의 공동주택 노후화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도 주택 노후화가 심화되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7일 부동산R114가 정부 '공동주택관리 정보시스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전국 30년 초과 노후주택은 260만 6823채로 전체의 22%로 나타났다. 즉 전국 주택 4채 중 1채가 노후주택인 셈이다. 노후 주택은 2022년 135만 9826채(12%), 2023년 170만 5215채(15%), 2024년 219만 4122채(18%)로 꾸준히 늘..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충청권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지역민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피해구제 신청 중 환불 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해 캠핑장을 예약하기 전 날씨와 환불 규정을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17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접수된 캠핑장 관련 피해구제 사건(327건) 중 환불 불만 사례가 246건으로 전체의 75.2%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이 48.1%(157건)로 가장 많았고, 대전·세종·충청이 15.7%(51건), 강원 12.9%(42건), 부산·울산·경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