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구의 성지로 자리 잡은 단양, 지속적인 대회 유치로 지역 활성화

  • 전국
  • 충북

배구의 성지로 자리 잡은 단양, 지속적인 대회 유치로 지역 활성화

-유금식 회장의 노력과 지역 경제 기여-

  • 승인 2025-03-13 10:26
  • 수정 2025-03-13 13:08
  • 신문게재 2025-03-14 17면
  • 이정학 기자이정학 기자
보도 1) 단양군 배구협회장 유금식(2)
유금식 단양군 배구협회장
충북 단양군이 대규모 배구대회를 연이어 개최하며 '배구의 성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난해 13개의 배구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단양군은 올해도 '단양소백산기 전국초등배구대회'를 시작으로 '춘계 전국중고배구연맹전', '단양소백산배 전국남녀9인제 배구대회', '단양도담삼봉배 전국남녀9인제 배구대회' 등 굵직한 대회를 이어갈 계획이다.

이 같은 성과의 중심에는 유금식 단양군 배구협회장의 노력이 있었다. 유 회장은 2007년 협회장에 취임한 이후 다양한 배구 관련 직책을 맡으며 단양을 배구대회의 중심지로 성장시키는 데 기여했다. 특히, 대회 시상금을 단양사랑상품권으로 지급하는 방식을 도입해 지난해 총 1억 7,600만 원 규모의 시상금이 지역 상권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었다.

배구대회가 열리는 동안 선수와 가족, 팬들이 단양에 머무르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TV 중계와 언론 홍보를 통해 단양의 인지도도 크게 상승했다. 또한, 유 회장은 단양 지역 주민들을 위해 서울 대형병원과 협약을 맺어 연간 200∼300명의 주민이 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지역 사회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다.

유 회장은 "단양이 배구의 중심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배구 발전을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며,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건강한 스포츠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단양=이정학 기자 hak482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학교 태블릿PC 시험 중단 원인은? 대전교육청 "무선인터넷망은 괜찮아"
  2. [사설] 지방 집값 하락 때 취약가구도 는다
  3. 충청권 산불예방진화대원 60대 이상 고령 뿐… 전문 대원 운영·처우 '열악'
  4. 4.2 재·보궐선거 사전투표소 설치
  5. 천안함 46용사 ‘영원히 기억하겠습니다’
  1. 대전시와 5개 자치구, 지역 밀착형 공동 과제 논의
  2. 대전 비위생매립장 60곳 중 2곳만 관리…침출수·매립가스 실태조사 필요
  3. [기획특집]대전미래교육연구회 교육정책토론회
  4. 장애인들 취업 지원 위해 후원금 전달
  5.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 첫 달, 교사들 "현장 혼란 극심과 업무 부담 급증"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산불예방진화대원 60대 이상 고령 뿐… 전문 대원 운영·처우 `열악`

충청권 산불예방진화대원 60대 이상 고령 뿐… 전문 대원 운영·처우 '열악'

매년 산불 발생이 증가하고 있지만, 충청권 산불 진화 전문인력 운영 체계와 처우는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 소속 산불 예방진화대는 단기 일자리로 고용돼 60대 이상 노인이 대부분이라 전문 정예화가 어렵기 때문이다. 산림청 소속인 산불재난특수진화대는 공무직임에도 불구하고 위험수당조차 받지 못해 정부 차원에서 인력과 예산 지원에 대한 개선 논의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7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법적으로 산불 현장에 투입되는 진화 인력으로 각 지자체마다 산불전문예방진화대를 운영 중이다. 현재 대전에서는 71명, 충남은 6..

30대 초반 전세 줄고 월세·자가소유 늘어… 양극화 심화 우려
30대 초반 전세 줄고 월세·자가소유 늘어… 양극화 심화 우려

30대 초반에 전세 세입자 비율이 감소한 반면, 월세·자가 거주 비율은 늘었다는 통계가 나왔다. 월세와 자가 거주 비율이 늘어남에 따라 부동산 급등기 자산 격차가 확대되면서 가정을 꾸리는 청년 세대의 '주거 양극화' 심화에 대한 우려도 있다. 27일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이 발표한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 혼인·출산·주거' 보고서에 따르면, 31∼35세(이하 30대 초반) 연령대 가구원 중 월세와 자가 형태 비율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보고서는 5년 단위로 시행되는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를 코호트(cohor..

대전 비위생매립장 60곳 중 2곳만 관리…침출수·매립가스 실태조사 필요
대전 비위생매립장 60곳 중 2곳만 관리…침출수·매립가스 실태조사 필요

<속보>=40년 전 사용을 마친 생활폐기물 매립장에서 지금까지 침출수가 유출되면서 나머지 비위생매립장에 대한 실태조사가 요구된다. 사용 완료 매립장 중에 지자체는 국유지에 있는 2곳만 침출수와 매립가스를 관리하는 중으로 대다수 매립장은 침출수 처리공정과 차수막도 없이 그대로 묻혀 있는 실정이다. <중도일보 3월 25일자 3면, 26일자 1면, 27일자 6면 보도>대전 서구 봉곡동의 1985년 매립을 완료한 비위생매립장에서 침출수가 현재까지 유출되는 게 확인된 가운데 중도일보가 추가로 확인한 사용완료 매립장 3곳에서도 오염을 예방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현장최고위원회의 참석한 이재명 대표 대전 현장최고위원회의 참석한 이재명 대표

  • 4.2 재·보궐선거 사전투표소 설치 4.2 재·보궐선거 사전투표소 설치

  • 천안함 46용사 ‘영원히 기억하겠습니다’ 천안함 46용사 ‘영원히 기억하겠습니다’

  • ‘무럭무럭 자라렴’ ‘무럭무럭 자라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