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지역 2개사, ‘중기부 도약 프로그램’ 선정

  • 전국
  • 부산/영남

구미지역 2개사, ‘중기부 도약 프로그램’ 선정

엘씨텍, ㈜씨엠티엑스 2개사 ‘글로벌 중견기업진출 청신호’

  • 승인 2025-04-01 15:18
  • 김시훈 기자김시훈 기자
구미시정0401-1
구미시청사전경. 구미시
구미시는 1일 "중소기업 벤처기업부가 기술력과 혁신성 등 성장잠재력이 우수한 중소기업 100개사를 선정해 지원하는 '도약(Jump-up) 프로그램'에 지역기업 엘씨텍,(주)씨엠티엑스 2개사가 선정 됐다"라고 밝혔다.

중기부 '도약(Jump-up) 프로그램'은 유망기업이 신사업·신시장에 과감하게 진출해 중견기업으로 스케일업(Scale-Up)할 수 있도록 ▲디렉팅(밀착 지원) ▲오픈 바우처 ▲네트워킹 ▲정책연계 등 4가지 프로그램을 3년간 종합적·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에 선정된 지역기업은 기업인과 컨설팅사, 연구기관 등으로 구성된 디렉터가 신사업 방향과 전략수립에 이어 경영·기술 문제 해결 등을 밀착 지원하게 된다.

또 스케일업 추진에 직접 소요되는 각종 사업화 비용을 기업당 매년 2억 5000만 원씩 최대 3년간 총 7억 5000만 원을 오픈 바우처로 지원하게 된다.



구미시 대표 허리기업인 △엘씨텍(대표 김영복)은 1998년에 설립된 방위산업 관련 전동기 전문 제조기업으로 유도무기 구동장치 분야 등에 기술력 발전에 노력해 오고 있다.

국내 1위 고신뢰도, 내구성 전동기기술을 활용한 ROBO-SPACE (첨단로봇+우주/항공) 시장을 개척해 나갈 Pioneer로써 경쟁 우위 기술력을 활용한 핵심 전동기기술 국산화 등 신사업 확장을 통한 매출 증가가 기대된다.

△㈜씨엠티엑스(대표 박성훈)은 다년간의 Silicon Parts 제품개발의 독보적 기술력 확보로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받은 반도체 식각공정용 소모성 부품을 생산하는 기업이다.

첨단 메모리반도체 및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제조 식각공정용 소모성 부품 분야에서 신사업·신시장에 도전하고 있다.

특히 올해 코스닥 상장도 준비 중에 있어 상장 이후 수출성장과 해외시장 확대로 중견기업으로 도약이 기대되는 기업이다.

한편, 구미시는 유망중소기업을 발굴,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구미 허리 기업 성장 레벨업 1+1사업을 통해 최대 2년 자율선택형 패키지 맞춤형 성장지원 프로그램과 더불어 전담 PM(Project Manager)을 운영해 기업 애로 발굴 및 해결, 정보공유, 정부 지원사업 기획 및 코디네이팅 등 밀착형 기업지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구미=김시훈 기자 silim5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산을 비롯한 서해안 '물폭탄'… 서산 420㎜ 기록적 폭우
  2. [우난순의 식탐] 열대의 관능과 망고시루의 첫 맛
  3. 세종시 북부권 중심으로 비 피해...광암교 붕괴
  4. 김석규 대전충남경총회장, 이장우 대전시장과 경제발전방안 논의
  5. [대전다문화] 아이들의 꿈과 열정, 축구
  1. 국민연금공단 대전·세종본부, 취약계층 아동 지원
  2. 세종시, 에너지 자립 스마트시티로 도약 선언
  3. [대전다문화]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사례관리 신청하세요!!
  4. 한밭대 성백상·이주호 대학원생, OPC 2025 우수논문상
  5. 초복 앞두고 삼계탕집 북적

헤드라인 뉴스


충청 덮친 ‘500㎜ 물폭탄’… 3명 사망 피해신고 1883건

충청 덮친 ‘500㎜ 물폭탄’… 3명 사망 피해신고 1883건

16일 밤부터 17일 오후까지 충청권에 500㎜가 넘는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곳곳에서 인명사고 등 비 피해가 속출했다. 시간당 110㎜ 이상 기록적 폭우가 내린 서산에선 2명이 사망했고, 당진에서도 1명이 물에 잠겨 숨지는 등 충남에서 인명사고가 잇따랐으며, 1800건이 넘는 비 피해가 접수됐다. 세종에서는 폭우로 인해 소정면 광암교 다리가 일부 붕괴 돼 인근 주민 30명이 식당으로 대피하는 소동이 빚어졌다. 17일 충청권 4개 시·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까지 충남 지역에만 1883건, 충북 222건, 세종 48건,..

[WHY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WHY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우리에게 달콤한 꿀을 선사해주는 꿀벌은 작지만 든든한 농사꾼이기도 하다. 식탁에 자주 오르는 수박, 참외, 딸기 역시 꿀벌들의 노동 덕분에 먹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공급의 약 90%를 담당하는 100대 주요 농산물 중 71종은 꿀벌의 수분 작용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와 '꿀벌응애'라는 외래종 진드기 등장에 따른 꿀벌 집단 폐사가 잦아지면서다. 전국적으로 '산소호흡기'를 들이밀듯 '꿀벌 살리자'라는 움직임이 일고 있으나 대전 지역 양봉..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효과 100배? 역효과는 외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효과 100배? 역효과는 외면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이 가져올 효과는 과연 세종시 잔류보다 100배 이상 크다고 단언할 수 있을까. 객관적 분석 자료에 근거한 주장일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4일 충청 타운홀 미팅, 전재수 해수부 장관 후보가 14일 청문회 자리에서 연이어 강조한 '이전 논리'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한 '효과 분석' 지표는 없어 지역 갈등과 분열의 씨앗만 더욱 키우고 있다. 사실 이는 최소 6개월 이상의 용역(가칭 해수부의 부산 이전 효과)을 거쳐야 나올 수 있을 만한 예측치로, 실상은 자의적 해석에 가깝다. 해수부의 한 관계자는 "수도권 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