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북특별자치도청 |
4일 전북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이 사업은 보행, 의사소통, 청각·시각 보조기기 등 장애유형별로 필요한 기기를 지원하여 장애인의 자립능력 향상과 2차 장애 예방, 사회참여를 촉진하는 사업이다.
도는 올해 총사업비 4억 6,700만원(국비 60%, 지방비 40%)을 확보하여, 상반기 도내 총 171명(저소득층 397명 중)의 장애인에게 시군 보조기기 교부사업을 통해 필요한 기기를 지원하였고 전북보조기기센터에서는 보조기기 관련 통합적 지원체계를 통해 보조 기기 상담 및 정보제공 등 861건(상담 768, 체험 93), 맞춤형 지원 326건(대여 87, 제작 14, 평가 225), 사후관리 82건, 교육 및 홍보사업 18건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지원대상은 등록장애인으로 휠체어, 보청기, 음성확대기, 점자정보단말기 등 보조기기를 무상 또는 일부 본인부담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중증장애인과 저소득층, 기기 노후화된 대상자 등을 우선 선정한다.
신청은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상시 가능하며, 전북보조기기센터 등을 통해 상담도 병행하여 받을 수 있다.
보조기기 교부 이후에도 사후점검 및 기기 활용 방법에 대한 교육, 사용중 애로사항 상담, 유지관리 안내 등 사업을 내실화하고 있다.
윤효선 전북자치도 장애인복지정책과장은 "장애인보조기기는 단순한 편의기기가 아닌, 누군가에겐 외출의 시작이고, 누군가에겐 소통의 도구"라며 "앞으로도 장애인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한 맞춤형 지원을 통해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자립과 권익 향상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전북자치도는 신청자 수요를 분석해 기기품목의 다양화 및 성능 향상, 시군과의 연계 협력 강화, 정보 접근성 강화(홍보물 배포, 상담 확대) 등을 통해 도내 모든 장애인이 보조기기의 실질적인 혜택을 체감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이어갈 방침이다.
전주=이정진 기자 leejj053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