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지역 가계부채.(자료=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 제공) |
10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의 '대전지역 가계부채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지역내 가계 부채는 직전분기 대비 1조 5000억 원 증가한 약 48조 5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 말보다 21.8% 늘어난 수준이며,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도 두 번째로 높다.
가계부채 증가세를 견인한 건 비은행권의 주담대다. 올해 1분기 대전지역의 주담대는 전기보다 1조 4000억 원 증가하며 대전지역 전체 가계부채 증가폭(1조 5000억 원)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특히 단위농협을 포함한 상호금융권의 주담대가 크게 늘어나면서, 대전지역 비은행 주택담보대출 증가율(전기 대비 18%)은 전국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주담대가 급격히 증가한 원인으로는 대출금리의 완만한 하락세와 아파트 구입자금 수요 확대 등이 지목된다.
특히 최근 은행권 중심의 가계대출 관리 기조가 연일 강화되면서, 대출 수요가 비은행 및 상호금융권으로 쏠리기 시작한 것도 한몫했다.
![]() |
대전지역 주담대 각종 증감 추이.(자료=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 제공) |
올해 1분기 LTI는 222.3%로 절대적 수치는 전국 대비 낮은 수준이지만 6개 광역시 중에서 상승 속도는 가장 가파른 것으로 집계됐다. 청년층은 최근 5년간 증가 폭이 48.1%포인트로, 중장년층(24.6%포인트)과 고령층(-15.9%포인트)을 크게 상회했다. 소득수준별로는 저소득층의 채무상환부담이 지속적으로 가중되는 실정이다.
이와 함께 대전지역 연체율이 지난해 하반기 이후 비은행권과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단 점에서 한은 기획금융팀은 우려를 표했다.
한은 대전세종충남본부 기획금융팀은 "향후 정부의 거시건전성 정책 강화와 대전지역 주택경기 변화가 가계부채에 미칠 영향에 대해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청년·저소득층의 채무상환 부담이 가중되고 비은행권 금융기관 자산 건전성 등 가계부채 리스크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취약계층에 대한 선별적 지원 프로그램의 유효성을 제고해 채무상환능력 및 부채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