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화유산회복재단은 8월 12일 충남 아산 환수문화유산기념박물관에서 오구라수집품 환수위원회를 발족했다. (사진=문화유산회복재단 제공) |
문화유산회복재단은 광복 80주년을 앞두고 8월 12일 충남 아산 환수문화유산기념박물관에서 한일문화재협정 지난 60년 미완의 환수로 여겨지는 오구라수집품 환수위원회를 출범했다.
도쿄국립박물관 소장 오구라 수집품은 1030점으로 일제강점기 오구라 다케노스케( 1870~1964)가 수집, 반출한 것으로 1965년 한일협정 당시 한국정부가 반환을 요구했으나 일본 정부는 '사유물'이라는 이유로 반환이 이뤄지지 않았다. 한일협정은 어업, 재일교포 지위, 청구권, 문화재 4대 협정과 25개 문서로 구성했으며 문화재협정 합의 의사록에는 "일본 정부는 사유물을 자발적으로 기증하도록 권장한다"하고 명시하고 이를 비준했다.
그러나 오구라 컬렉션 보존회가 1981년 도쿄국립박물관에 기증할 당시 일본 정부는 한국에 기증하지 않고 도쿄국립박물관이 양도받음으로 문화재협정을 위반하였다는 것이 문화유산회복재단의 설명이다. 오구라수집품은 선사시대부터 근대까지 한국 전체 역사를 대표하고 있으며 전국의 유산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가장 우선하여 환수할 대상이지만, 광복 이후 단 1점도 국내에 들어온 바가 없다.
오구라 수집품 환수위는 김경임 전 대사가 상임고문을 맡았고, 이상근 문화유산회복재단 이사장과 문영숙 독립운동가 최재형 기념사업회 이사장이 공동대표로 나선다. 강경숙, 박수현, 문진석, 정춘생(이상 국회의원), 안정헌, 김민수, 김 연, 이공휘(이상 전 현직 이상 충남도의원), 원우 스님 부석사 주지 등으로 구성되며 남지은 책임연구원으로 1차 구성하고 향후 1만 명까지 참가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문화유산회복재단 이상근 이사장은 "오구라수집품은 1981년 반환됐어야 했지만 일본정부가 문화재협정을 이행하지 않음으로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며 "우선 환수 대상으로 부여 금강사지 출토 금동약사불의 반환 소송을 준비하고 있으며 이를 계기로 전국으로 확대한 것이라며 이 중에는 북에서 출토한 유물 90여 점은 향후 남북공조를 통해 환수를 강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