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방시대위원회와 더불어민주당 충청권 국회의원 모임인 '충대세포럼' 회원들이 20일 세종시 어진동 지방시대위 대회의실에서 간담회 후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이재관(충남 천안시을)·송재봉(충북 청주 청원)·이강일(충북 청주 상당)·강준현(세종시을)·박정현(대전 대덕구) 국회의원·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박용갑(대전 중구)·장철민(대전 동구) 국회의원. 사진제공=지방시대위원회 |
이를 위해 지방시대위는 자체 ‘행정수도 완성 추진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이춘희 전 세종시장을 위원장으로 위촉했다.
특히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은 해양수산부 외에 부처 추가 이전은 없다고 재확인하며 행정수도 완성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세종시 어진동에 있는 지방시대위는 20일 오전 대회의실에서 충대세포럼과 국회세종의사당 예정지를 방문한 후 간담회를 했다.
현장방문과 간담회에는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과 충대세포럼 박범계(대전 서구을) 회장과 강준현(세종시을) 사무총장, 이재관(충남 천안시을)·송재봉(충북 청주 청원구) 부총장, 장철민(대전 동구)·박용갑(대전 중구)·박정현(대전 대덕구)·이강일(충북 청주 상당구) 의원 등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는 수도권의 경제와 인구·산업 집중으로 지방소멸과 지역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수도권 1극 체제를 극복하고 지방 주도의 국가균형성장 실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 |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이 20일 더불어민주당 충청권 국회의원 모임인 '충대세포럼'과의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지방시대위원회 |
5극은 충청권과 부울경, 광주·전남, 대구·경북권, 수도권, 3특은 제주·강원·전북특별자치도로, 전국을 5개의 광역경제·행정 거점과 3개의 전략적 특별권역으로 나눠 권역별 맞춤형 발전을 추진하는 구상이다.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고 비수도권의 자생적 성장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이재명 대통령의 핵심 공약 중 하나다.
김경수 위원장은 “5극 3특 균형성장 전략은 수도권 일극 체제를 넘어 전국 어디서나 함께 잘사는 대한민국을 위한 근본적인 대전환 전략”이라며 “특히, 행정수도 세종 완성과 충청권 메가시티 구축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동시에 수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행정수도 완성은 이재명 정부의 새로운 균형성장 전략의 핵심"이라며 "임기 내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이 차질 없이 신속하게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5극 3특 균형성장전략과 행정수도 완성 등을 위한 법적 기반과 지속적인 정책 추진력의 뒷받침 없이는 어렵다고 충대세포럼에 협조를 요청했고, 충대세포럼은 입법과 재정지원 등 국회 차원의 적극적인 노력과 협력을 약속했다.
특히 김 위원장은 국회세종의사당 현장방문에서 “해수부 외 부처 추가 이전은 없다. 대통령이 확인해주지 않았냐”고 재차 강조했다. 앞서 8월 1일 이 대통령은 17개 시·도지사와의 간담회에서 "해수부 이전은 부산의 항구도시로서의 상징성을 고려한 결정”이라며 “타 부처의 분산 이전은 없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 |
지방시대위원회가 8월 19일 이춘희 전 세종시장을 위원장으로 하는‘행정수도 완성 추진 특별위원회’를 구성한 후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제공=지방시대위원회 |
특위는 1차 회의에서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 등 국가 중추 기능 이전 현황을 점검·관리하고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과 향후 추진계획을 논의했다.
서울=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