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후선박이 폐선되는 모습./부산항만공사 제공 |
이번 조치는 부산항의 안전을 확보하고 해양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이뤄졌다.
부산항에는 100여 척의 소형 선박이 운항하지 않은 상태로 계류돼 있다. 이 중 일부는 선주가 관리하지 않아 안전 위협과 해양오염 위험을 키웠다. 이에 세 기관은 지난 5월 업무협약을 맺고 합동 실태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고위험 선박 12척이 확인됐다. 이 중 단일선체로 장기 방치된 노후 유조선 3척에는 약 235톤의 잔존유가 남아있어 침몰 시 대규모 해양오염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이었다.
세 기관은 선박 내 잔존유를 모두 제거하고 소유권 및 채권·채무 문제를 조율해 폐선 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했다. 이를 통해 안전사고와 환경오염 위험을 선제적으로 차단했다.
남은 9척의 고위험 선박은 관계자들과 협의해 연내에 수리하거나 매각할 계획이다.
남해해경청 이종남 해양오염방제과장은 "장기 방치된 선박 안의 폐유는 항만 안전을 위협하고 해양오염 시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며 "앞으로도 관계 기관과 협조해 안전점검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에도 관계기관 협업 TF팀을 구성해 선박 7척(해체 5척, 수리 2척)을 처리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