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영서 시의원./김해시의회 제공 |
김 의원은 AI가 이미 자율주행 버스, 민원 챗봇, 드론 배송 등 일상 곳곳에서 활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 또한 AI 행정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만큼, 김해시도 'AI 행정 선도 도시'로 도약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시가 그동안 독거노인 고독사 예방을 위한 AI 스피커 도입, 투명 페트병 회수 기기 설치, 하수과 AI 시스템 도입 등 AI 행정의 토대를 마련해왔다고 설명했다.
이에 김 의원은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안했다. 첫째, AI 행정을 전 부서로 확대하고, 전담 부서를 설치해 전문 인력을 확보하고 직원의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단순히 행정 업무를 자동화하는 것을 넘어, 재난 대응 등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추론형 AI 기반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부산시의 '재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사례를 참고해 정책 설계의 정밀성과 대응 역량을 강화할 것을 권했다.
셋째, AI 활용 확대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와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투명한 AI 행정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김해시 인공지능 기반 행정구현에 관한 조례' 제정을 통해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서 의원은 "AI 행정은 우리 시가 직면한 과제이자 새로운 기회"라며, "이 발언이 공직자와 시민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 행정 실현의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김해=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