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점관리대상업체 비상대비업무 담당자 협조회의<제공=거창군> |
이번 회의는 특별재난지역 선포로 을지연습이 제외된 상황에서 부족한 실무 훈련을 보완하고 민·관·군 통합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회의에서는 업체별 비상대응계획과 연락망 점검, 민·관·군 동원계획 연계성 검토, 전투식량 시식 체험, 자원 관리와 배급 절차 확인 등이 진행됐다.
또한 자원 조사 결과 분석과 변동 자원 대조, 중점관리업체의 임무 수행 가능 여부 점검을 통해 동원 태세를 확인하고 개선사항을 도출했다.
김현미 부군수는 이번 협조회의가 담당자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실천형 훈련을 통해 협력 체계를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
다만 회의와 점검만으로는 위기 대응 능력을 온전히 검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실제 비상상황에서는 즉각적 판단과 유기적 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현장 모의훈련이 정례화되지 않으면 회의에서 논의된 체계가 실제 상황에서 작동할지 확신하기 어렵다는 분석도 있다.
이에 따라 거창군은 정례적 훈련 확대와 참여 기관별 역할 세분화, 현장 중심의 시뮬레이션 도입을 통해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는 과제가 남았다.
거창군은 협조회의로 통합 대응의 틀을 다졌다.
그러나 대응의 진정한 힘은 문서가 아닌 현장에서 증명된다.
거창=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