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주택 시의원 (중구)./부산시의회 제공 |
그는 "조기 발견과 조기 개입은 아이의 인생을 바꾸는 기회"라며 부산시의 적극적인 정책 추진을 촉구했다.
강 의원은 현재 부산의 장애위험 영유아 비율은 전국 평균보다 높고, 규모는 서울 다음으로 많다고 말했다.
그는 부산시의 조기발견 및 개입 사업이 치료 중심으로 치우쳐 있으며, 우리아이발달지원단 운영 역시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고 지원 기준도 불명확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2024년 1월 개정된 '영유아보육법'에 따라 육아종합지원센터에 상담전문요원을 배치하도록 규정됐으나, 부산은 현재 전문인력이 배치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일부 지역의 장애 어린이집이 전무하거나, 장애통합 어린이집의 지역별 격차가 커 조기 개입의 사각지대가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강 의원은 부산시가 장애 영유아 지원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전문 인력 배치와 기관 간 연계 체계를 신속히 정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장애아동복지지원법'에 따른 조기발견 센터 설치와 같은 제도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회가 먼저 다가가 조기발견의 골든타임을 지켜야 한다"며 발언을 마쳤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