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원석 의원(사하구2)./부산시의회 제공 |
전 의원은 "재정부담, 공론화 부족, 환경적 리스크 등 핵심 위험이 해소되지 않았다"며 "속도보다 검증과 신뢰가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전 의원은 미술관 건립이 부산시 재정 건전성을 심각하게 훼손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부산시 추산 연간 운영수입 약 50억 원에 반해 지출이 126억 원에 달해 매년 70억 원대 구조적 적자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또한 관련 연구보고서를 인용해 재무적 순현재가치(FNPV ?1,697억 원)와 수익성 지수(PI 0.25)로 재무적 타당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시민사회와 예술계와의 공론화가 부족하고 투명성이 결여됐다고 비판했다. 그는 라운드테이블과 설명회가 진행됐지만 의견이 극명하게 엇갈리고 사회적 합의가 부족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입지 접근성과 환경적 리스크를 우려했다.
대상지인 남구 이기대 공원 일원은 주요 거점에서 이동에 1시간 이상 소요되며, 공원 진입로가 좁아 교통혼잡을 초래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전 의원은 협약서 내용이 굴욕적이고 일방적이라고 강조했다. 브랜드 사용, 세금, 운송, 보험 등 대부분을 부산시가 부담하고, 협약서가 영문과 불어로 작성되어 한글 번역본조차 불명확한 점이 많다고 비판했다.
그는 "프랑스법만 준거법으로 규정한 조항이 시민에게 공개되지 않은 것은 알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 의원은 "미술관 건립 논의는 단순한 찬반 문제가 아니라 시민의 세금과 도시의 미래를 좌우하는 진실의 문제"라며 공유재산 관리계획안을 부결해 달라고 강력히 촉구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