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국보 시의원(동래구3)./부산시의회 제공 |
그는 연간 1만 톤이 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식이 '주먹구구식' 행정의 전형이라고 비판했다.
서 의원이 지적한 문제는 '관리 시스템의 부재'다. 학교별로 폐기물 처리업체와 개별 계약을 맺으면서 비슷한 양의 쓰레기를 처리하는 비용이 학교마다 최대 5배 가까이 차이 나는 등 예산 낭비가 심각하다고 말했다.
교육청 자료에 따르면 A학교는 연간 13톤의 쓰레기를 170만 원에 처리했지만, B학교는 같은 양을 처리하는 데 900만 원을 지출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도입의 취지가 무색하게 관리 부실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경기도 교육청의 공동 계약 사례를 들며, 부산교육청은 '쓰레기 줄이기 대책 수립'이라는 추상적인 문구만 되풀이할 뿐 실효성 있는 대책이 전무하다고 말했다.
서 의원은 부산교육청의 '학교급식 음식물쓰레기 처리 통합관리시스템' 구축과 도입된 음식물 감량기에 대한 전수조사 및 표준 운영 지침 마련을 촉구했다.
그는 "진정한 해결책은 아이들의 잔반 줄이기 캠페인이 아니라 교육청의 행정 시스템 개선에 있다"고 강조하며 즉각적인 대책 수립을 요구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