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0~2024 충남 시군별 이동자수. |
14일 충남도·통계청에 따르면 도 전체인구는 2022년 219만 3214명, 2023년 221만 6332명, 2024년 223만 8243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시군별 이동자 수 역시 대폭 늘어났다. 2020년 당시 순이동 741명이던 수치가 2024년엔 순이동 1만 4664명으로 전입인구가 급격히 상승했다.
해당 지표를 살펴보면, 천안·아산·당진·서산 등 산업단지와 정주여건이 비교적 좋은 북부권 도시엔 등 외부유입 인구가 꾸준히 늘어난 반면 서남부권 농촌지역을 중심으론 인구가 빠르게 줄고 있는 양상이다.
실제 보령, 서천, 논산, 부여, 청양지역은 2020~2024년 사이 유입인구보다 유출인구 수가 많아 지역소멸이 앞당겨지고 있다. 북부권을 제외한 나머지 시군 역시 상황은 비슷하다.
도는 15개 시군 중 천안·아산·서산·당진·계룡을 제외한 9개 시군을 대상으로 균형발전 2단계 1기 사업을 추진하며 간극을 좁혀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당 사업은 2021년부터 올해까지 5년간 7100억 원가량 투입해 개별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추가로 내년부터 2030년까지 기존 지원 지역에 홍성을 포함해 총 10개 시군에 1조 2000억 원 규모를 투입, 2단계 2기 사업도 앞두고 있다.
도는 내년부터 10개 시군에 공통으로 충남형 지역 상생 창업 생태계 조성사업 개발 계획을 수립 중이다. 또 공주·부여·청양 백제문화 복합단지 및 체험마을 조성 등 일부 시군에 대한 도제안 사업도 이어가고 있다.
이와 함께 도는 공공기관 유치에 대한 큰 그림도 그리고 있다.
공주의 경우 식품 안전 R&D 클러스터 기반 조성, 보령은 폐광을 이용한 천혜 자원 냉풍 활용 농촌 융복합 산업 클러스터 조성, 논산 지역은 국방 국가산단 기반시설 및 전력 지원책 구축 등 관련 공공기관 유치 여건을 마련 중이다.
일각에선 단기적 지원 정책만으로는 인구 유출을 근본적으로 막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수도권 집중 현상과 도시 선호가 뚜렷한 흐름에 인구유출 가속으로 시군 내 학교시설 등 기초 인프라가 무너지고 있기 때문이다.
도는 균형발전 2단계 지원을 통해 정착할 수 있는 환경조성과 이주 예방에 적극 지원하겠다는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인구 흐름을 보여주는 통계를 수치화해 소멸 위기 시군을 발굴해 지원을 하고 있다"며 "현재 사업을 진행 중이기 때문에 성과 분석은 이뤄지지 않았지만 2008년부터 2020년까지 진행된 1단계 사업을 미루어 봤을 때 인구감소 완화와 GRDP(지역 내 총생산)성장의 효과가 나타난 바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가정책과 연계해 일자리 창출, 정주여건 개선, 지역의 특장점을 활용한 신성장 능력 창출 등을 위주로 선정·지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내포=오현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