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공=경북도) |
16일 도에 따르면 이번 공모사업은 전국 에너지다소비 산단 30개 중 1개소를 선정해 국비 500억 원, 지방비 500억 원, 민간컨소시엄 300억 원, 참여기업 200억 원 등 1500억 원을 투입해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사업이다.
사업은 SK이노베이션 E&S, 한수원, 한국산단공 경북본부,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구미전자정보연구원 등 5개 기관이 컨소시엄을 맺고, 올해 9월부터 2029년 12월까지 4년 3개월 동안 진행한다.
구미 국가산단은 공모사업을 통해 태양광 발전과 에너지저장장치(BESS)를 연계한 가상발전소(VPP) 구축, 재사용 배터리를 활용한 이동형 ESS 실증 기반 구축, 산업단지 에너지 전환 지원 및 친환경 설비 보급, 글로벌 탄소 규제 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주요 사업을 살펴보면, 우선 산단 내 기업의 탄소 배출량을 최소화하는 지능형 전력망을 구축한다. 30MW의 태양광 발전소와 50Mwh이상의 BESS 통합발전소를 연계 구축해 기업 RE100 달성 등 산단 내 다양한 전력 소비를 통합 관리하고, 실시간 에너지 거래를 지원하는 탄소중립형 전력거래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인공지능·반도체를 품은 구미 국가산업단지가 재생에너지를 통한 기후변화 대응에 선도하는 RE100산단으로 발돋움하고 나아가 경상북도의 탄소중립 선도 도시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고 밝혔다.
안동=권명오 기자 km1629km@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