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파, 국산화 앞장서며 첨단 반도체 기술 선도

  • 경제/과학
  • IT/과학

㈜케이파, 국산화 앞장서며 첨단 반도체 기술 선도

['방산도시 대전'을 이끄는 작은 거인들] ③케이파
드론특화 방산혁신클러스터로 국방 자립도 강화
고출력 GaN 전력증폭기로 세계 시장 경쟁력 확보
대전시, 글로벌 국방산업 허브로 자리매김 기대

  • 승인 2025-09-26 09:49
  • 신문게재 2025-09-26 5면
  • 금상진 기자금상진 기자
스크린샷_24-9-2025_102925_
케이파 대표기술 고전력 MMIC증폭기 20W급 X-band GaN MMIC(KX2-2046)설계 회로 도면과 파형 이미지. 사진=케이파 제공
['방산도시 대전'을 이끄는 작은 거인들] ③케이파

대전시가 방위사업청 이전과 '드론특화 방산혁신클러스터' 사업을 기반으로 국방 신산업 중심도시로 도약하는 가운데, 첨단 반도체 기술을 무기로 성장하는 지역 기업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특히, ㈜케이파(K-PA)는 RF GaN 전력증폭기 전문 기업으로, 국방·드론·위성통신 분야의 핵심 기술 국산화에 앞장서며 주목받고 있다.

㈜케이파는 24년 이상의 MMIC(마이크로파 집적회로)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2022년 11월 설립된 젊은 기업이다. 출발은 짧지만, 성장 속도는 가파르다. 2023년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에 선정되며 전투기 AESA 레이더에 적용 가능한 20W급 X-band GaN MMIC(KX2-2046)를 개발했고, 이 성과를 발판 삼아 불과 2년 만에 대전광역시,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대전테크노파크 등 지역 기관의 핵심 사업에 잇따라 이름을 올렸다.

특히 2024년에는 대전시 '레전드50+' 융복합 국방산업 핵심부품기업으로 선정되었고, 드론특화 창업기업 아이템 개발 지원사업을 통해 국내 최초 X-band RF 송수신 칩(KX-FEM1-2)을 개발하며 기술적 진보를 이뤘다. 같은 해 대전테크노파크의 'K-방산 생태계 활성화 사업'에서는 30W급 X-band GaN MMIC(KX1-3046)를 선보이며 국내 최고 수준의 고출력·고효율 전력증폭기 기술을 확보했다.



스크린샷_24-9-2025_103110_
케이파의 대표기수 30W X-밴드 GaN-On-SiC 고전력 MMIC 증폭기 설계도면과 이미지 사진.사진=케이파 제공
㈜케이파의 기술력은 단순한 연구 성과를 넘어 국방산업의 실질적 자립도를 높이는 데 이바지하고 있다. 기존 국방 레이더용 전력증폭기는 해외 의존도가 높아 안정적 수급과 가격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케이파는 세계 최고 수준의 효율과 소형화를 동시에 달성하며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다.

㈜케이파는 현재 KX1-3046과 KX2-2046 제품의 시제품을 완료해 상용화 기반을 확보했고, KX-FEM 1-2는 엔지니어링 샘플 단계에서 고도화 개발을 진행 중이다. 한화시스템, LIG넥스원 등 국내 대표 방산기업이 케이파 제품의 적용을 검토 중이며, 유럽과 중동 지역 해외 바이어와의 협의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케이파 안기범 대표는 "고출력·고효율 GaN 전력증폭기 기술은 국방 레이더와 드론탐지, 위성통신 등 미래 국방산업의 핵심"이라며 "국산화를 넘어 세계 시장에서도 경쟁할 수 있는 기업으로 성장해 대전을 글로벌 국방산업의 중심지로 만드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금상진 기자 jodp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글로컬대학 30 본지정 발표 임박…충청권 대학 운명은?
  2. 대전교통약자 이동지원 차량 증차에도 시민불편 여전
  3. 신임 대전경찰청장에 최주원, 충남 임정주, 충북 이종원 임명
  4. 영유아 육아 돕는 친족에 월 30만원… 충남도, 내달부터 가족돌봄 지원사업 시행
  5.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
  1. '교육자료'된 AI디지털교과서, 앞으로 갈 길은? 대전미래교육연구회 토론회
  2. 대전교육청 "제동장치 없는 픽시 자전거 타지 마세요"… 경찰 단속도
  3. 닥치는 대로 '무전취식' 50대 법원서 징역형 선고
  4. 30년 만에 폐지 수순 밟는 PBS… 정책변화 방향은?
  5. ‘대한민국 새 단장 합시다’

헤드라인 뉴스


노잼도시 탈출한 대전시… 전국서 찾는 ‘잼잼도시’로

노잼도시 탈출한 대전시… 전국서 찾는 ‘잼잼도시’로

대전은 과거 '노잼도시'이미지를 탈출하고 '잼잼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단순히 과학도시, 교통의 중심지, 그리고 정부 청사가 있는 행정도시로만 인식되던 과거와는 달리, 이제 대전은 필수 방문지로 탈바꿈했다. 노잼'은 부정어 'No'와 '재미'의 합성어다. '노잼도시'는 말 그대로 재미없는 도시를 말한다. 민선 8기 대전시는 0시 축제를 비롯해 성심당의 인기로 인한 빵의 도시 이미지, 대전 엑스포 마스코트였던 꿈돌이를 재해석한 꿈씨패밀리 브랜드화 등의 정책을 폈다. 효과는 고무적이었다. 대전은 '성심당'이라는 강력한 킬러콘텐츠를 갖고..

대전 석면 제거완료 학교 비율 전국 하위권… 세종은 100%
대전 석면 제거완료 학교 비율 전국 하위권… 세종은 100%

전국적으로 학교 석면 제거 공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대전의 제거 완료 학교 비율이 전국 하위권으로 나타났다. 세종은 전국 유일하게 100% 제거 완료했다. 국회 교육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문정복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1702개 학교 건물 내 석면이 철거되지 않았다. 충청권은 대전 71·충남 170·충북 102개 학교가 앞으로 석면 제거가 필요하다. 석면 제거 완료 전국 평균은 87.2%로, 대전은 78%에 그친다. 대상 학교가 가장 많은 경기도는 현재까지 1274개 학교 석면 제거를 완료했지만 여전히 451곳..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 위해 국가와 지방정부 지원 절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 위해 국가와 지방정부 지원 절실

파업과 치료 중단 사태를 빚은 대전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를 위해 국가의 안정적인 재정 지원과 대전시의 적극적인 해결 의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2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와 공공재활 의료 개선과제 국회토론회’에서다. 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대전 국회의원 7명과 충남의 이재관 의원(천안시을), 국힘 김예지 의원(비례), 조국혁신당 황운하 의원(비례), 사회민주당 한창민 의원(비례)이 공동으로 주최했다. 토론회에서는 연간 92억원을 투자하고도 68억원의 적자가 발생하는 점을 강조하며 국가가 운영비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웅장한 모습 드러낸 대전 갑천 생태호수공원…27일 개장 웅장한 모습 드러낸 대전 갑천 생태호수공원…27일 개장

  • ‘대한민국 새 단장 합시다’ ‘대한민국 새 단장 합시다’

  •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

  • 파란 가을 하늘 아래 산책 파란 가을 하늘 아래 산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