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 어기구<사진> 의원(민주당, 당진)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 년부터 2024 년까지 전국 양식장의 고수온 피해액은 2170억여 원에 달했다.
특히 지난해에는 피해액이 1430 억 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고 같은 기간 재난지원금 1164억 원, 보험금 지원 1159억 원을 지급하는 등 총 2323억 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
문제는 피해 규모가 해마다 커지는 데 비해 근본적인 대책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점이며 현재 양식재해보험이 태풍·적조 등 주요 재해는 기본으로 보장하지만 고수온 피해는 기본계약에 포함되지 않는다 .
어민이 별도의 특약을 들어야 보장이 가능하나 보험료 부담 탓에 8월 기준 전국 평균 가입률은 30.7%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피해를 본 어가 상당수는 정부의 지원금에 의존하고 있으며 지원 한도액은 5000만 원 수준으로 실제 손실을 보전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
반면 정부가 연구개발 차원에서 추진해온 고수온 적응 어종 육성사업도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
해양수산부는 2018년부터 넙치·전복·김 등 주요 양식품종의 내성 품종 개발과 신품종 양식기술 연구에 약 246억 원을 투입했으나 현장 보급이나 상용화된 사례는 전무하다 .
어기구 의원은 " 우리 바다의 고수온은 이제 계절적 이상이 아니라 일상이 됐고 피해가 반복되는 상황에서 복구 위주의 지원만으로는 어민들의 고통을 줄일 수 없다"며 "이번 정기국회를 계기로 고수온 적응 어종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양식재해보험 제도를 전면적으로 손질해 어민들이 실질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당진=박승군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