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0년부터 2024년까지 농협의 군납실적은 농산물 물량 40% 감소 (6만2382t→3만7927t), 납품액은 28% 감소(1891억 원→1363억 원 )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우유 54%(2만7233 →1만2576t), 쇠고기 52%(5289t→2582t), 과일 52%(9813→4790t), 잡곡 52%(651t→313t) 등 대부분의 주요 품목이 절반 이하로 줄었다.
같은 기간 수협의 수산물 군납실적은 물량이 47%(6159t→3312t), 납품액은 36%(1418억 원→913억 원) 감소했으며 조기 87%(177t→24t), 고등어순살 83%(383t→67t), 갑오징어 61%(163t→64t) 등 주요 어종의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국방부는 2021년 '군 급식 개선 대책'을 통해 농수축산물 수의계약 비율을 기본급식량의 70%로 축소하고 2025년부터는 완전경쟁체제로 전환할 계획이며 올해까지는 한시적으로 기존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국방부는 올해 민간위탁 급식 본사업을 추진하며 49개 부대·누적 5만2000명 규모로 사업을 확대했다 .
그러나 장병 1인당 기본급식비가 2022년 1만3000원으로 책정한 이후 물가와 인건비가 지속 상승하면서 국산 농수축산물 원재료 예산 비중은 2021년 66%(4600원)에서 2024년 31%(3384원)로 줄어든 반면 즉석 반조리 등 가공식품 비중은 같은 기간 34%(2339원)에서 69%(7549원)으로 늘어났으며 이는 국산 식재료의 절반 이상이 가공품으로 대체된 셈이다 .
어 의원은 "군 급식의 목적은 장병의 영양 관리와 함께 국산 농수축산물의 안정적 공급을 보장하는 것"이라며 "국산 식재료 비중이 줄면 결국 농어민의 판로가 축소되고 장병의 급식 질이 저하될 수 있는 만큼 군 급식의 공공성을 강화할 실질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진=박승군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