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참가자들이 단체 사진 촬영에 응하고 있는 모습. 사진=한국농어촌공사 제공. |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어촌공사가 지원한 '필리핀 고품질 쌀 종자의 지속 가능한 생산 및 보급을 위한 역량 강화 사업' 준공식이 지난 6일 필리핀 누에바에시하에 위치한 필리핀 미작 연구소 본부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는 정현정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경제 참사관과 니콜스 마날로 필리핀 농업부 차관보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해 국제농업협력사업(ODA) 지원 시설에 대한 인수인계 서명식을 진행했다.
필리핀은 이모작이 가능한 기후에도 불구하고 쌀 자급률이 낮아 2022년에는 77%로 2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저품질 종자로 인한 쌀 생산성 저하와 국가 차원의 정선시설 부족으로 인한 종자 손실과 오염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또 종자 보급 전 저장하는 시설의 노후화로 인해 종자가 고온 다습한 환경에 노출되는 문제도 있었다.
![]() |
| 인계인수 서명식 모습. |
김성경 한국농어촌공사 글로벌사업처장은 "협력국 실정에 맞춘 종자 정선·저장 기반 시설을 갖춘 것이 이번 사업의 핵심 성과"라며 "향후 농업기계 현대화, 관개시설 개선, 유통·가공 가치사슬 구축 등으로 협력을 넓혀 지속 가능한 성과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어촌공사는 필리핀 정부와 협력해 농기계 조립단지 조성 사업 등 농업 인프라 개선 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김신재 농림축산식품부 글로벌농업개발추진팀 과장은 "'지속 가능한 식량 체계 구축'과 '농업기술 이전'을 중심으로 맞춤형 국제농업협력을 강화하겠다"며 "케이(K)-농업 협력을 바탕으로 협력국과의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 우리나라의 위상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필리핀의 쌀 자급률을 높이고 식량안보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필리핀을 포함한 아시아 주요 농업국과의 협력을 통해 국제사회에서의 위상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농업 발전을 도모키로 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 |
| 이번 제막식 모습. |
![]() |
| 현지 정선시설 내부.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이희택 기자





![[대전 유학생한마음 대회] "코리안 드림을 향해…웅크린 몸과 마음이 활짝"](https://dn.joongdo.co.kr/mnt/webdata/content/2025y/11m/10d/118_20251110010008006000339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