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박영신 정책국장이 이날 브리핑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시교육청 제공. |
박영신 시교육청 정책국장은 10일 오전 보람동 시교육청 대회의실에서 정례 브리핑을 통해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축소 움직임 등 불안정한 교육재정의 상황 아래 우리 교육청은 국별 예산조정을 통한 비효율적인 예산 감축, 정책사업 정비를 통한 유사·중복사업 통·폐합, 소모성 경비와 행사성 사업을 과감히 줄였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통합재정안정화기금 등 보유 기금을 적극 투입해 단위 학교 재정 운용 자율성 확대 등 학교 지원에 소홀함이 없도록 대응하고 있는 상황도 전했다.
세입·세출 예산안 총 규모는 전년 대비 17억 원(0.1%)이 감소한 1조 1817억 원으로 제시했다.
세입 예산 항목을 보면, 중앙정부 및 자치단체 이전수입 등이 전년 대비 177억 원(1.8%) 증가한 1조 25억 원, 예금이자 및 행정활동수입 등 자체수입은 전년과 비교해 1억 원(6.0%) 증가한 22억 원, 이월금인 기타수입은 이전보다 12억 원(18.5%) 늘어난 77억 원으로 반영했다.
학생의 종합적 성장 지원과 미래형 교육환경 조성 등 다양한 교육수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보유기금을 최대한 활용키로 했다. 이에 통합재정안정화기금 등 내부거래 전입금으로 1693억 원을 편성했다.
![]() |
| 시교육청의 26년 본예산 분야별 편성 현황. 사진=시교육청 제공. |
모두가 특별해지는 세종교육 비전 실현은 공교육의 공공성과 경쟁력 강화로 뒷받침한다. 학교회계의 자율성과 책무성을 제고해 학교자치를 강화하고, 이를 위한 학교운영비는 전년도 대비 60억 원이 증가한 1223억 원으로 담아냈다.
세부적으로는 물가지수 상승률 등을 반영한 기본경비 558억 원, 건물유지비 및 통학차량지원 등 학교특성경비 128억 원, 통합교부사업비 537억 원으로 요약된다.
사업별 기준으로 재구조화해 보면, 학생 개인별 기초학력 맞춤형 지원 및 방학 중 학생 성장 프로그램 운영 등 기초학력 책임교육 강화에는 60억 원을 투입한다. 또 AI 중점학교 운영과 정보교육실 구축 등 디지털로 확장되는 배움의 공간 조성을 위한 AI·디지털기반교육 예산은 41억 원으로 집행한다.
세종 이공계 인재 도약을 위한 지능형·첨단과학실 구축 지원 등 세종 이도 프로젝트 사업비는 38억 원, 교육-돌봄 생태계 구축과 모든 아이의 균형 잡힌 성장을 위한 늘봄학교 운영비는 163억 원, 학생정신건강 및 상담운영은 26억 원, 안전하고 건강한 학교 조성은 78억 원, 누리과정비와 현장체험학습비 및 무상급식비 지원 등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복지사업비는 962억 원을 각각 반영했다.
학교의 본질적 기능 강화를 위한 교육활동 지원 등 학교가 가르치고 배우는 일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학교지원본부 예산은 409억 원, 5-1 생활권 합강유·초·중학교 신증설비 등은 373억 원, 학교 내·외부 환경개선사업비는 263억 원, 복합업무지원센터 시설비는 229억 원,세종학생해양수련원 증축비는 104억 원으로 산정했다.
박영신 국장은 "갈수록 어려워지는 지방교육재정 여건 속에서도 우리 교육청은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재정운용을 위해 보통교부금 보정액 추가 확보, 강도 높은 지출구조조정 등을 다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세종 교육가족과 시민 여러분께서 맡겨주신 소중한 예산이 단 한 푼도 헛되이 쓰이지 않도록 투명하고 책임 있는 재정 운용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강조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이희택 기자![[사진] 20251110일자 제10회 세종시 교육청 기자회견 사진4](https://dn.joongdo.co.kr/mnt/images/file/2025y/11m/10d/2025111001000841700035861.jpg)



![[대전 유학생한마음 대회] "코리안 드림을 향해…웅크린 몸과 마음이 활짝"](https://dn.joongdo.co.kr/mnt/webdata/content/2025y/11m/10d/118_20251110010008006000339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