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현옥 세종시의원이 11일 제102회 세종시의회 정례회 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하고 있다. /세종시의회 제공 |
김현옥 세종시의원(새롬동)은 11일 제102회 세종시의회 정례회 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이같은 사실을 지적하며 '초기 대응자를 포괄하는 통합적 회복지원체계 구축'을 요구했다.
김 의원은 "투신은 대부분 공공장소나 거주지 주변 등 개방된 공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시민, 입주민, 관리소 직원들이 현장을 직접 목격할 가능성이 높다"며 "현장을 목격한 초기 대응자들의 충격은 불면·공포·회피 등 심리적 고통이 장기간 지속되며 일상생활이 무너질 정도의 후유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상황에도 세종시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트라우마를 겪는 대응자와 목격자에 대한 회복지원 제도가 미흡해 대부분은 개인의 힘으로 극심한 고통을 감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시의 자살예방 정책이 미온적인 사전 예방에만 머물러 체계적이고 선제적인 대응이 어렵다는 현실 인식에서다.
시 정신건강복지센터가 올해부터 자살 사후관리사업을 강화했지만, 유족 지원을 제외한 사후관리 예산은 연 200만원에 불과하고, 그마저도 비예산 사업으로 분류돼 있다는 사실을 근거로 제시했다.
또한 "대규모 재난 피해자에 대한 집단 심리지원은 일부 시행 중이나, 자살이나 사고 등 개인적인 외상 경험에 대한 트라우마 회복 지원 사업은 사실상 부재한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김현옥 의원은 이에 대한 해법으로 사후 회복 중심의 정책 강화와 자살·사고 현장의 초기 대응자를 포괄하는 통합적인 회복지원체계의 신속한 구축을 제안했다.
그는 "특히 근로자가 업무 중 재해나 동료의 자살 등 사고를 경험하거나 목격했을 때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직업트라우마센터'와 대부분의 광역시·도에서 운영 중인 '자살예방센터'를 조속히 설치해 상담·치료·사후관리 등 전 과정을 아우르는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지원 기반을 확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사고 직후에는 초기 대응자의 심리 응급지원체계를 가동하고, 근로복지공단 등 관련 기관과 협력해 산재신청과 치료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시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한다"며 "시가 트라우마 속에 남겨진 사람들을 외면하지 않고, 함께 회복의 길을 걷는 도시로 나아가길 바란다"고 말을 맺었다.
세종=이은지 기자 lalaej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이은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