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Q] 19강. 낙찰 받고도 뺐기는 공유자우선매수권

  • 경제/과학
  • 이경태기자의 부동산Q

[부동산Q] 19강. 낙찰 받고도 뺐기는 공유자우선매수권

  • 승인 2013-12-10 23:07
  • 이경태 기자이경태 기자
<이경태 기자의 부동산Q - 듣는 특강>

이영구의 부동산교실의 열아홉번째 강의입니다.
경매 투자에 앞서 공유자우선매수권에 대한 간단한 설명입니다.

부동산에 대해 문외한인 사람들이 가볍게 듣고 가볍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마련했습니다. 혹시 궁금한 점 있으면 아래 참여사이트에서 질문하면 됩니다.


▲ 참여 사이트 = http://alturl.com/99ay8(여러분의 의견을 보내주세요)

▲ 듣는 특강 청취 = http://youtu.be/4DDrJns8tcs








‘이영구의 부동산교실’ 목차 살펴보기(전체 강의가 링크로 연결돼 있습니다.)


▲ 내용 읽기

낙찰 받고도 뺐기는 공유자우선매수권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공유자란 무엇인가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아파트를 사는데 부부가 공동명의로 구입을 하였다.
이 경우 남편과 아내가 반반씩 지분을 보유하게 됩니다. 이 대 지분을 보유한 사람을 공유자라 합니다. 즉 남편과 아내는 아파트를 공유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남편이 사업이 잘못돼서 남편의 아파트 지분이 경매로 나왔다.
이대 공유자인 아내에게 주어지는 권리가 공유자우선매수청구권입니다.

이 공유자우선매수청구권은 경매로 낙찰받은 낙찰자의 권리를 빼앗아 올 수 있는 권한이 있습니다.

공유자우선매수청구권은 행사방법이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무조건 신청하는 방법.
이는 경매신청이 되어 입찰에 들어가기 전에 신청하는 방법으로 언제 낙찰되든 낙찰가로 내가 매입하겠다는 의사 표현입니다. 이 경우 경매공지시에 우선매수청구권 행사중 이라는 문구가 명시되어 일반인들이 잘 응찰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엄한사람이 1억원에 나온 물건을 2억원에 응찰한 경우에 그 2억원에 매수권을 행사하던가 우선매수청구권을 포기해야 합니다.

이 때 우선매수청구권은 1번만 행사할 수 있고 그 이후에는 효력을 행사하지 못합니다.
혹 이해당사자들이 있어 어떻게든 꼭 인수해야 하는 상태가 아니라면 자제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 번째는 입찰당일 경매장에 출두하여 입찰자가 없는 경우 최저가매수가격으로 인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억원짜리가 5000만원에 나왔는데 아무도 응찰하지 않았지만 내가 사겠다고 의사표시를 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에도 경매를 진행하는 집행관이 응찰자가 없는 사건에 공유자분 나오셨습니까?
공유자우선매수권 행사하실 분 계십니까? 하고 공지를 할 때 행사하면 됩니다.

마지막은 경매가 진행될 때 현장에 있다가 낙찰자가 나오면 우선매수청구권을 행사하는 방법입니다.

1억원짜리 경매물건이 5000만원으로 떨어 졌는데 어떤 사람이 6000만원에 최고가 매수인이 되었다하면
법원에서 경매를 진행하는 집행관이 공유자 나오셧습니까?
공유자우선매수권 행사하실 분 계십니까? 하고 물어봅니다.

이때 공유자인 아내가 저요 하고 손들고 나가면 최고가 매수인이 응찰한 6000만원에 인수하게 되는데 응찰자와 똑같이 낙찰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지금도 공유자이면 서도 공유자우선매수권의 존재를 몰라 지분을 가진 공유자가 높은 금액으로 낙찰을 받는 사례가 많습니다.

내가 공유자이면 공유자우선매수청구권을 현명하게 행사하는 방법을 알아야하고
입찰자라면 공유자의 우선매수청구권 행사의 가능성을 염두해 두고 입찰에 응해야 합니다.

공유자이든 입찰자이든 무서운 효력을 가지고 있는
공유자우선매수청구권에 대해서 잘 기억해 두시기를 바랍니다.

 
▲ 참여자 그룹 = 도담도담, 도담도담 맘스클럽







이경태 기자 biggerthanseoul@gmail.com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시의회 노종관 의원 대표발의, '천안시 건축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본회의 통과
  2. 일상 속 위험, 예방이 먼저!
  3. 21년 만의 행정수도 재추진...3가지 관문 통과가 관건
  4. 원모어아이 v2.0, 조달청 혁신제품 선정...기술력 입증
  5. 국세청, 집중호우 피해 납세자에 세정지원 강화
  1. 매월 22일 '소등의 날' 실천...세종시민이 탄소중립 선도
  2. 타이어뱅크(주)의 서비스 혁신·지역사회 나눔....7월에도 쭈욱~
  3. 19일 오후부터 충청권에 또 폭우…오전까지 침수·담장 붕괴 등 비 피해
  4. 지역 어르신들에게 삼계탕 선물
  5. 천둥 번개 동반한 강한 비… 대전·세종·충남 최고 150㎜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62.7% 충청서 기선제압 …與 당권주자들 해수부 논란엔 `침묵`

정청래 62.7% 충청서 기선제압 …與 당권주자들 해수부 논란엔 '침묵'

더불어민주당 8·2 전당대회 첫 지역 순회 경선인 충청권 권리당원 선거인단 투표에서 정청래 후보가 62.77%의 득표율로 중원을 민심을 잡으면서 기선을 제압했다. 그러나 정작 충청권 강력 반발하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논란에 대해 당권 주자와 최고위원 등 세 명의 후보 모두 한마디도 하지 않아 지역 민심을 외면했다는 비판이 거세다. 19일 민주당에 따르면, 충청권 권리당원 투표 결과 정청래 후보가 3만 5142표(62.77%)를 획득하며 2만 846표(37.23%)를 얻은 박찬대 의원을 큰 격차로 제쳤다. 투표에는 전체 권리당..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올해로 10회를 맞은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KITS:Korea International Tourism Show)가 18일부터 21일까지 나흘간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 7홀에서 열린다.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와 KITS조직위원회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전시산업원이 주관하는 이번 박람회는 국내외 관광업계 정보 제공의 장과 관광객 유치 도모를 위한 비즈니스의 장을 마련해 상호 교류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KITS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 지역별 특색을 살린 여행 콘텐츠와 국제 관광도시 및 국가 홍보, 국내외 관광 콘텐츠 간 네트워..

[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우리에게 달콤한 꿀을 선사해주는 꿀벌은 작지만 든든한 농사꾼이기도 하다. 식탁에 자주 오르는 수박, 참외, 딸기 역시 꿀벌들의 노동 덕분에 먹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공급의 약 90%를 담당하는 100대 주요 농산물 중 71종은 꿀벌의 수분 작용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와 '꿀벌응애'라는 외래종 진드기 등장에 따른 꿀벌 집단 폐사가 잦아지면서다. 전국적으로 '산소호흡기'를 들이밀듯 '꿀벌 살리자'라는 움직임이 일고 있으나 대전 지역 양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