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머니사정 뻔한 서민들에게 단돈 몇 천원으로 배불리 먹을 수 있는 음식은 과연 몇 가지나 될까? 뜨끈한 국물에 고깃덩어리가 가득 들어있는 돼지국밥. 장이 열리는 날 시장통 뒷골목에서 서민들의 배를 채워준 추억의 음식 돼지국밥이 세월이 흐르며 새로운 변신을 하고 있다.
▲ 돈탕반 상차림
대전시 유성구 봉명동에 위치한 돼지국밥 전문점 ‘돈수백 대전점’은 중장년층 세대가 즐겨 먹던 전통방식의 돼지국밥에 젊은 세대에게 어필할 수 있는 깔끔한 메뉴구성과 인테리어로 입소문이 퍼지고 있는 집이다.
▲ 돈수백 최고 인기메뉴 돈탕반
이 집이 최고 인기메뉴는 ’돈탕반’이다. 진한 육수에 돼지 앞다리살을 넣어 부드러운 식감이 일품이다. 특유의 돼지국밥 누린내가 전혀 없어 여성과 젊은 남자 손님들에게도 인기 만점이다. 가장 맛있게 먹는 방법은 돼지국밥의 단짝친구 부추를 가득 얹어 먹는 방법이다. 부추 겉절이의 새콤하고 향긋한 향은 돼지국밥의 담백하고 깔끔한 뒷맛을 더해준다. 기호에 따라 다데기와 김치국물을 넣어 먹어도 맛이 좋다.
▲ 주인장의 정성과 인심이 듬뿍 들어간 돈탕반 쫄깃하고 담백한 식감이 일품이다.
또 하나의 맛 요소가 있다면 맛장고에 담겨 나오는 마늘김치다. 일반 김치에 들어가는 액젓을 빼고 마늘을 가득 넣어 아삭함을 살렸다. 특히 김치의 온도를 유지시켜주는 맛장고(냉매용기)에 담겨 나와 24시간 막 담은 김치의 식감을 맛볼 수 있다.
▲ 돼지국밥에 단짝친구 부추겉절이가 빠질수 없다. 여기에 국내산 배추와 마늘로 담은 마늘김치가 별미다.
무엇보다 이 집 국밥 맛을 더욱 맛있게 해주는 요소는 고기를 더 얹어주는 라정숙 사장의 인심이다. 라정숙 사장은 본점에서 권장하는 양보다 고기를 더 얹어 손님상에 올린다. 주변에서 남는 것이 있냐고 걱정을 할 정도지만 라 사장은 “음식은 푸짐해 보여야 먹는 이들도 더 맛있게 느껴지는 법”이라며 “조금 벌고 손님들 배불리 드시는 것에 만족한다”고 말했다.
▲ 수육은 저녁시간 술과 함께 식사를 즐기는 손님들에게 인기가 좋다. 수육을 시키켠 탕이 함께 제공된다.
저녁시간에는 수육이 인기 만점이다. 술과 잘 어우러질 수 있도록 삼겹살, 항정살, 목살 등 최상의 고급 정육을 사용했다. 여기에 탕이 함께 제공돼 한 끼 식사로도 손색없다. 얼큰하고 개운한 국물에 각종 버섯과 채소, 오소리감투(돼지 위 내장)가 들어간 모듬전골도 수육에 버금가는 인기메뉴다.
▲ 상큼한 파향과 담백한 살코기가 조화를 이룬 수육
▲ 여성들의 피부미용에 좋은 콜라겐의 보고 불껍데기
▲ 쫄깃하고 매콤한 식감이 일품인 불족
▲ 얼큰하고 칼칼한 묵은지와 함께 묵은지 수육
개업한지 몇 달 되지 않았지만 단골 고객들도 제법 생겨났다. 인근 오피스텔에서 근무하고 있다는 한 손님은 “누린내 없는 깔끔한 뒷맛이 이 집 돼지국밥을 찾는 이유”라며 “무엇보다 국밥과 마늘김치의 조합은 다른 곳에서는 절대 따라할 수 없는 맛”이라고 칭찬했다. 대학생이라 밝힌 여성 손님은 “평소 입에도 대지 않았던 돼지국밥과 수육 맛을 이 집에서 알게 됐다”며 “1인분 국밥도 푸짐하게 나와 혼밥족(혼자 밥을 먹는 사람)들에게도 편하게 한 끼 해결할 수 있는 집”이라고 말했다.
▲ 요즘같은 여름엔 시원한 냉면이 최고! 고소한 떡갈비도 함께 드려요
▲ 수육백반정식으로 수육, 국물, 밥, 보쌈속이 제공되는 1인 만찬 돈수백 혼밥족들에게 특히 인기가 좋다.
라 사장은 “서민들이 푸짐하게 한 끼 부담 없이 해결할 수 있는 넉넉한 인심이 있는 집으로 기억되기를 바란다”며 “멋 훗날 나의 노하우와 손맛이 담긴 나만의 식당을 차려 보는 것이 꿈”이라고 전했다.
"반드시 이겼어야 하는 경기를 이기지 못했다. 야구 참 어렵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패배한 뒤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화는 이날 선발 투수 와이스의 호투에 힘입어 경기 후반까지 주도권을 챙겼지만, 9회에 LG에 역전을 허용하며 4-7로 패했다. 와이스와 교체해 구원 투수로 나선 김서현의 부진에 김 감독은 "할 말이 크게 없다. 8회에는 잘 막았다"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