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라? 耳상하게 안들리네...

  • 문화
  • 건강/의료

어라? 耳상하게 안들리네...

<내몸의 이상신호-소음성 난청>

  • 승인 2010-02-10 19:16
  • 신문게재 2010-02-11 11면
  • 조진생 을지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조진생 을지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최신형 MP3플레이어를 사달라고 졸라대는 아들(17)에게 큰맘먹고 고가의 기계를 사준 주부 김모씨(45)는 최근 고민이 생겼다. 하루 종일 MP3플레이어로 음악도 듣고, 동영상도 보느라 아들의 귀에서는 이어폰이 떨어질 날이 없는 것이다. 처음에는 작은 소리로 음악을 들었지만 최근에는 근처에만 가도 듣는 음악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 정도로 볼륨을 높여 혹시 청력에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늘 걱정이다. 잦은 이어폰 사용과 소음으로 젊은층에서도 발생빈도가 높아진 소음성 난청에 대해 을지대학병원 이비인후과 조진생 교수의 도움말로 알아본다.(편집자 주)

 
▲ 조진생 을지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 조진생 을지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콘서트장, 노래방, 나이트클럽 등 큰 소음에 노출되었을 때 그 자리를 떠나도 한동안 귀가 먹먹한 경험이 있다. 보통 조용한 곳에서 몇 시간 동안 안정을 취하면 원래 상태로 돌아오지만 시끄러운 소음이 오랜 시간 반복되면 귀의 내이에 위치한 감각신경의 말단이 손상되어 청력을 잃게 된다. 이를 소음성 난청이라 한다.

  소음성 난청은 과거에는 소음이 심한 환경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발생하는 일종의 직업병이었으나 현재는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도시의 소음이 증가하고 MP3플레이어, PMP등 개인 오디오 사용이 증가하면서 소음성 난청을 호소하는 젊은 환자들이 꾸준히 늘고 있다.

 소음성 난청의 초기 증상은 자각 증상이 거의 없어 전에 비해 높은 음이 잘 들리지 않으며 주변 소음이 있는 상황에서 말소리를 분별하기가 어려워지는 증상을 보이며 청력이 서서히 약해진다. 난청이 진행되며 이명이나 귀가 먹먹하고 저리듯 아픈 증상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에는 소음에 의해 귀의 평형기능장애가 발생해 어지럼증, 수면장애, 전신피로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고혈압이나 소화 장애로 이어지기도 한다.

 소음성 난청은 더 이상 진행되는 것을 막거나 심할 경우 보청기를 사용하는 등의 처방 말고는 명확한 치료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예방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평소 이어폰보다는 헤드폰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볼륨은 최대치의 70% 이하로 유지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한다.

 시끄러운 곳에 있어야 한다면 귀마개를 착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렇지 않다면 15분에 한번 정도는 조용한 곳을 찾아 귀를 쉬게 해야 한다. 을지대학병원 이비인후과 조진생 교수는 “소음에 노출된 후 귀가 멍하거나 울림이 지속되는 경우, 사람이 많은 곳에서 말소리를 분별하기 어려운 소음성 난청의 초기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또한 지속적인 소음에 노출되어 있는 사람은 주기적인 청력 검사로 소음성 난청을 조기에 발견하여 더 이상의 손상을 예방하여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최대 30만 원 환급' 상생페이백, 아직 신청 안 하셨어요?
  2. 화성시, 거점도시 도약 ‘2040년 도시기본계획’ 최종 승인
  3.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4. 애터미 '사랑의 김장 나눔'… "3300kg에 정성 듬뿍 담았어요"
  5.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1. "르네상스 완성도 높인다"… 대전 동구, '주요업무계획 보고회'
  2.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7대 광역시 중 두번째
  3. 코레일, 겨울철 한파.폭설 대비 안전대책 본격 가동
  4. 대전권 14개 대학 '늘봄학교' 강사 육성 지원한다
  5. '대덕특구 사이언스센터' 딥테크 혁신성장 허브로 자리매김

헤드라인 뉴스


국내기업 10곳 중 7곳 이상 "처벌·제재로는 중대재해 못줄여"

국내기업 10곳 중 7곳 이상 "처벌·제재로는 중대재해 못줄여"

국내 기업 10곳 중 7곳 이상이 정부의 노동 안전대책에 우려를 나타낸 것으로 조사됐다. 처벌과 제재 중심의 정책으로는 중대재해 예방이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기 때문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국내 기업 262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새 정부 노동안전 종합대책에 대한 기업 인식도 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9월 발표된 노동안전 종합대책과 관련해 기업들의 인식과 애로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노동안전 종합대책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 중 73%(222곳)가 정부 대책이 '중대재해 예방에..

충청권 국회의원 전원, ‘2027 충청U대회 성공법’ 공동 발의
충청권 국회의원 전원, ‘2027 충청U대회 성공법’ 공동 발의

충청권 여야 국회의원 27명 전원이 ‘2027 충청 유니버시아드대회’(U대회) 성공 개최를 위한 국제경기대회 지원법 개정안을 공동 발의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의원은 25일 국제경기대회 조직위원회가 대회 운영에 필요한 기부금품을 직접 접수·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경기대회 지원법’ 일부개정법률안을 공동으로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현행 제도에서는 조직위원회가 기부금품을 접수할 때 절차가 복잡해 국민의 자발적인 기부 참여가 제한되고, 국제경기대회 재정 운영에 있어 유연성이 낮다..

국내 최대 돼지 사육지 충남서 ASF 첫 발생… 도, 긴급 차단방역
국내 최대 돼지 사육지 충남서 ASF 첫 발생… 도, 긴급 차단방역

국내 최대 돼지 사육지역인 충남에서 치사율 100%(급성형)에 달하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처음으로 발생했다. 충남도는 ASF 확산을 막기 위해 도내 양돈농가 등에 상황을 전파하고, 이동 제한 등 긴급 차단 방역에 돌입했다. 25일 도에 따르면, 총 463두의 돼지를 사육 중인 당진시 송산 돼지농가에서는 지난 17∼18일 2마리가 폐사하고, 23∼24일 4마리가 폐사했다. 농장주는 수의사의 권고를 받아 폐사축에 대한 검사를 도에 의뢰했다. 도 동물위생시험소는 폐사축에 대한 ASF검사를 진행, 이날 오전8시 양성 판정을 내렸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 대전시청에 뜬 무인파괴방수차와 험지펌프차 대전시청에 뜬 무인파괴방수차와 험지펌프차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