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포신도시 대형마트 '속수무책'

  • 정치/행정
  • 충남/내포

내포신도시 대형마트 '속수무책'

홍성·예산 재래시장 피해 불보듯… 道, 대책마련 손놔

  • 승인 2012-01-17 18:31
  • 신문게재 2012-01-18 2면
  • 박태구 기자박태구 기자
충남도가 내포신도시의 대형마트 입점과 관련, 주변지역 소상공인에 대한 피해대책 마련에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대형마트는 신도시 입주민들의 생활편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지만, 재래시장이나 소상공인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탓에 심각한 상권피해 우려가 제기됐기 때문이다.

17일 도와 충남개발공사에 따르면 도는 내포신도시 초기생활권 입주자 정착을 위해 공동주택 공급과 주민편익시설 설치, 학교 설립 등 주민생활 여건 조성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특히 편익시설 가운데 민간상업시설·업무용지시설의 적극적인 유치 활동을 펼쳐 이달 현재 358필지 16만 7000㎡ 규모를 매각했다.

지난해 7월에는 내포신도시에 첫 대형마트인 홈플러스 입점이 확정됐다. 충남개발공사는 중심상업용지의 분양공고를 통해 홈플러스(주)를 최종 낙찰자로 선정했다. 내포신도시 홈플러스는 7900㎡ 규모로 2014년 입주할 계획으로 관련 절차를 밟고 있다.

중심상업용지는 홈플러스 외에 1개 필지가 더 남아 있어 총 2개의 대형마트가 입점할 예정이다. 충남개발공사는 상반기 중 나머지 상업용지에 대한 분양을 계획 중이다. 내포신도시에 대형마트가 입점함으로써 입주민들의 생활불편 해소와 공동주택용지 분양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홍성·예산 등 인근 시·군 재래시장 및 소상공인에 대한 상권 피해 우려도 제기됐다.

홍성에는 현재 광천시장 등 3곳의 재래시장이, 예산에는 덕산시장 등 6곳의 전통시장이 운영되고 있는데, 이곳 상인들의 피해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들 재래시장은 기존 대형마트에다 새로 입점하는 대규모 점포에 손님을 빼앗길 경우 상권붕괴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현재 홍성에는 롯데마트 등 5곳이, 예산에는 GS마트 등 2곳의 대규모 점포가 입점해 있다.

따라서 대형마트 입점에 관한 종합적인 피해대책은 물론, 재래시장과의 상생발전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사정이 이런데도 충남도는 내포신도시의 성공적인 조성을 위해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내포신도시의 대형마트는 입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고, 이런 시설들이 많이 들어와야 10만명의 도시 형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도청사 이전 후 상업시설이 바로 입주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아직 시간적 여유가 있다”고 말했다.

박태구 기자 hebalak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셔츠에 흰 운동화차림' 천태산 실종 열흘째 '위기감'…구조까지 시간이
  2. 노노갈등 논란에 항우연 1노조도 "우주항공청, 성과급 체계 개편 추진해야"
  3.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홍성공업고, 산학 결합 실무중심 교육 '현장형 스마트 기술인' 양성
  4. 대전 중구, 국공립어린이집 위·수탁 협약식 개최
  5. 충청권 국립대·부속병원·시도교육청 23일 국정감사
  1. '충남 1호 영업사원' 김태흠 충남지사, 23일부터 일본 출장
  2.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
  3. 대전관평초 '학교도서관 운영 유공' 국무총리 표창
  4.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5. 대전권 대학 산학협의체, ‘한국-베트남 글로벌 청년 경진대회 행사 개최

헤드라인 뉴스


대전시-KAIST 국내 최대 양자팹 구축 착수

대전시-KAIST 국내 최대 양자팹 구축 착수

국내 최대 규모 '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이하 개방형 양자팹) 구축에 대전시와 KAIST가 나섰다. 대전시와 KAIST는 23일 이장우 대전시장과 KAIST 이광형 총장이 참석한 가운데 KAIST 본원에서 '개방형 양자팹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양자 산업화 시대를 대비한 필수 기반 시설인 '개방형 양자팹' 구축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마련됐다. KAIST '개방형 양자팹' 구축사업은 국내 최대 규모의 첨단 양자팹 건립과 양자 인프라 시설 및 장비 구축을 포함한 사업으로, 2031년까지 국비 2..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대전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목줄을 끊고 탈출해 대전시가 시민들에게 재난안전문자를 발송한 사건에서 견주가 동물보호법을 지키지 않은 정황이 여럿 확인됐다. 담장도 없는 열린 마당에 목줄만 채웠고, 탈출 사실을 파악하고도 최소 6시간 지나서야 신고했다. 맹견사육을 유성구에 허가받고 실제로는 대덕구에서 사육됐는데, 허가 주소지와 실제 사육 장소가 다를 때 지자체의 맹견 안전점검에 공백이 발생하는 행정적 문제도 드러났다. 22일 오후 6시께 대전 대덕구 삼정동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사육 장소를 탈출해 행방을 찾고 있으니 조심하라는 경고 재난..

[2025 국감] 적자에 차입금 부담만 커져… 충남대병원 재정문제 도마 위
[2025 국감] 적자에 차입금 부담만 커져… 충남대병원 재정문제 도마 위

차입금 부담만 수천억 원에 달하는 충남대병원의 누적 적자액이 1300억 원이 넘고 재원 환자도 줄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국회에서 제기됐다. 국회 교육위원회가 23일 충북대에서 연 충남대·충북대·부속 병원 국정감사에서다. 이날 오전 피감기관 대표로 조강희 충남대병원장과 김원섭 충북대병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문정복(더불어민주당·경기 시흥갑) 의원은 "누적적자가 충남대병원은 1374억 원, 충북대병원은 1173억 원"이라며 "독립 재산제로 운영되는 국립대병원에서 차입금 상환은 어떻게 할 것이냐"며 따져 물었다. 최근 3년간 두..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