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원기자]'위대한 개츠비' 초등생에 괜찮을까?

[객원기자]'위대한 개츠비' 초등생에 괜찮을까?

불륜·자살 등 수위 높은 내용… 무조건적 독서열풍 지양돼야

  • 승인 2013-09-04 17:19
  • 신문게재 2013-09-06 12면
  • 박지민 객원기자박지민 객원기자
▲ 영화 '위대한 개츠비' 의 한 장면.
▲ 영화 '위대한 개츠비' 의 한 장면.
지난 5월 국내개봉한 영화 '위대한 개츠비' 의 인기에 힘입어 성인은 물론 많은 초등학생들까지도 동일 제목의 책을 읽는 과열현상이 일어났었다. '위대한 개츠비'는 기자가 다닌 미국 학교 11학년 문학시간에 일년간 공부한 다섯 권의 책 중 한 권이기도 했다. 약 두 달간의 수업을 통해 읽게 된 '위대한 개츠비'는 미국의 1920년대를 배경으로 쓰여진 소설이다.

저자 F. 스콧 피츠제럴드(F. Scott Fitzgerald)는 당시 전례가 없던 미국의 경제 향상과 다양한 문화가 꽃피우던 시대를 일컬어 '재즈 에이지'(The Jazz Age)라고 이름 붙인 장본인이다. 미국의 1920년대에는 술의 제조와 판매를 금지했던 금주법에 따라 각종 주류 밀매점이 부상했고 1차 세계대전 이후 황폐하고 암담했던 현실을 도피하려던 사람들에 의해 돈과 물질이 사회의 중점이 됐다.

책의 주인공인 닉은 이러한 사회에 유혹되어 부자들을 때때로 우상화 하곤 한다. 따라서 이 책엔 재즈 에이지에 유행하던 건전하지만은 않은 문화에 대한 갈등이 틈틈이 나타난다. 내용상 건전하고 아름다운 부분 만이 있지는 않다. 불륜, 자살, 사기 등 초등학생들이 이해하기엔 다소 수위가 높은 내용들이 주를 이룬다. 미국학교 11학년은 한국의 고 2에 해당하는 나이의 학생들이다. 나이제한을 두지 않은 무조건적인 독서 열풍은 지양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박지민 객원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시의회 노종관 의원 대표발의, '천안시 건축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본회의 통과
  2. 21년 만의 행정수도 재추진...3가지 관문 통과가 관건
  3. 일상 속 위험, 예방이 먼저!
  4. 원모어아이 v2.0, 조달청 혁신제품 선정...기술력 입증
  5. 국세청, 집중호우 피해 납세자에 세정지원 강화
  1. 매월 22일 '소등의 날' 실천...세종시민이 탄소중립 선도
  2. 타이어뱅크(주)의 서비스 혁신·지역사회 나눔....7월에도 쭈욱~
  3. 19일 오후부터 충청권에 또 폭우…오전까지 침수·담장 붕괴 등 비 피해
  4. 지역 어르신들에게 삼계탕 선물
  5. 천둥 번개 동반한 강한 비… 대전·세종·충남 최고 150㎜

헤드라인 뉴스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7월 16일부터 나흘간 충청권에 600㎜ 가까운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3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으며 900명이 넘는 이재민이 발생했다. 충남은 전국 피해의 80%를 차지하는 농작물이 침수됐고 가축 수십만 마리가 폐사해 피해가 극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예산과 아산, 당진에서 수해 복구 작업이 한창인 가운데, 충남도는 피해조사와 복구 대책 마련을 위한 합동조사단을 꾸린 상태다. 20일 충청권 4개 시·도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이어진 극한 호우에 충남에서는 서산(2명), 당진(1명)에서 3명이 침수 피해로 사망했다. 세종에서는..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더불어민주당 당권 주자와 최고위원 후보들이 8.2 전당대회 충청권 순회경선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 논란에 일제히 침묵,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행정수도 완성 역행 우려와 공론화 없이 일방통행식으로 강행되는 이 사안에 대해 일언반구도 없어 지역 민심을 외면했다는 것이다. 19일 당 대표 후보인 정청래 의원(서울마포을)과 박찬대 의원(인천연수갑), 최고위원 후보로 단독 출마한 황명선 의원(논산금산계룡) 등 3명은 8·2 전대 첫 지역별 순회 경선지인 충청권 온라인 합동연설에 나섰다. 이 가운데 정 의원과 황 의원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산다'는 비판을 받았던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이 11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고액 보조금 경쟁을 막고 소비자를 보호하겠다며 시행된 단통법이 22일 폐지되면서다. 이와 함께 휴대전화 유통 구조도 크게 요동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단통법은 2014년 10월 휴대전화 유통시장의 혼탁한 보조금 경쟁을 바로잡기 위해 도입됐다. 정부는 이통사가 지원금을 의무적으로 공시하고, 유통점이 지급할 수 있는 추가 지원금을 공시지원금의 15% 이내로 제한했다. 하지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