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의화]'자전거 발 받침대 볼라드'

  • 오피니언
  • 미디어의 눈

[김의화]'자전거 발 받침대 볼라드'

[중도시감]김의화 문화독자부장

  • 승인 2013-09-05 16:02
  • 신문게재 2013-09-06 21면
  • 김의화 문화독자부장김의화 문화독자부장
▲ 김의화 문화독자부장
▲ 김의화 문화독자부장
대전시가 전국 최초로 '자전거 발 받침대 볼라드'를 개발해 눈길을 끈다. 차량진입 방지를 위한 볼라드 기둥에 홈을 만들어서 자전거 횡단도에서 자전거를 타고 가다가 멈출 때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했다. 횡단보도 신호대기시 자전거에서 내렸다 다시 타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자전거 발 받침대 볼라드'는 자전거 횡단도에 볼라드가 미설치 되어 있는 곳을 포함, 대덕대로 파랑새네거리 등 50개소에 대해 11월말까지 시범적으로 설치하고 시민들의 호응이 높을 경우 자전거 전용도로 등에 확대 설치할 계획이라고 한다.

“작은 부분이지만 자전거 이용자들에게 편안함을 주면서 차량진입 방지 효과 등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것이 대전시 관계자의 설명이다.

자전거 인구 천만시대! 자전거 이용객이 많이 늘었고 자전거 이용환경 역시 상당히 좋아졌다.

하지만 도로 위에서 느끼는 몇가지 아쉬움을 짚어본다면, 첫째 '자전거 횡단도'가 아니라 보행자들이 이용하는 횡단보도에서는 자전거에서 내려서 끌고 가는 안전문화가 정착돼야겠다.(참고로 '자전거 횡단도'는 자전거가 일반도로를 횡단할 수 있도록 「도로교통법」 제4조의 규정에 의한 안전표지에 의하여 지정된 도로의 부분을 말한다)

자전거는 도로교통법상 엄연히 차에 해당하며 횡단보도는 보행자를 위한 구역이다. 횡단보도를 지날 때는 자전거를 타고 건너서는 안되며 내려서 끌고 건너야한다. 자전거에서 내려서 끌고 건널 경우에는 보행자로 구분되지만 타고서 건널 경우 차로 구분되기 때문에 사고 처리시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2011년 자전거 교통사고는 1만2000여건으로 급증했으며 그 중 30% 가량이 교차로와 횡단보도에서 발생했다. 횡단보도에서의 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자전거 이용자들은 횡단보도에서는 자전거에서 내려서 끌고 가야겠다.

둘째는 자전거 보행자 겸용도로의 안전성이다. 자전거 도로는 자전거전용도로, 자전거전용차로, 자전거 보행자겸용도로, 이렇게 세가지로 나눌 수 있다.

자전거 전용도로와 자전거 전용차로는 건설비용이 많이 들고, 차량 소통에도 방해를 줄 수 있기에 증설이 쉽지 않다. 그에 비해 자전거겸용도로는 상대적으로 증설이 용이하기 때문에 대부분 자전거 전용도로는 자전거 보행자 겸용도로로 설치되고 있다. 대전시 자전거 도로 중에서도 보행자 겸용도로가 전체 86%나 된다. 문제는 자전거 보행자 겸용도로가 제 기능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 겸용도로 위에 상점 입간판이 서있는 곳이 많으며 보도 위까지 올라온 자동차들의 불법 주정차 문제도 심각하다. 자전거 보행자 겸용도로에서 자전거와 보행자의 사고도 증가하고 있다. 자전거 대 보행자 교통사고는 2005년 226건에서 지난해 791건으로 늘었으며 사상자 또한 2005년 236명에서 2012년 850명으로 껑충 뛰었다.

자전거 이용자도, 보행자도 양쪽 모두 자전거 보행자 겸용도로 이용시 불편이 크다는 점에서 자전거 보행자 겸용도로 보다는 자전거 전용도로나 자전거 전용차로의 증설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에 귀기울여 봐야겠다. 또한 자전거 전용차로와 증설이 자전거이용의 증가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10년 정도가 지나야 효과가 제대로 발휘된다고 한다. 그 점에서 자전거 전용차로와 전용도로 설치는 장기적 관점에서 이뤄지고 지속적으로 관리돼야 한다는 점 역시 기억해야겠다.

그리고 사족 하나. 전국 최초의 '자전거 발 받침대 볼라드' 소식을 들으며 '빠름과 편리함에 익숙해진 도시인들이 자전거 횡단도 앞에서조차 잠시 내려서기를 귀찮아하는구나' 싶은 생각과 함께 문득 옛 인디언들의 이야기를 하나 떠올렸다.

인디언은 말을 타고 가다가도 이따금씩 말에서 내려서 자기가 달려온 쪽을 한참동안 바라본 뒤 다시 말을 타고 달린다고 한다. 혹시 너무 빨리 달려 자기의 영혼이 미처 뒤쫓아오지 못했을까 봐, 자기의 영혼이 돌아올 때를 기다리는 것이라고 한다.

가을이다.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계절의 변화를 실감하게 하는 요즘. 잠시 멈춰설 줄 아는 지혜, 쉼표의 여유를 찾아보는 것은 어떨까 싶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충남대+공주대, 순천향대, 연암대, 한남대, 한밭대, 한서대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2. 계약비리 혐의 대전 서구 전 비서실장…스쿨존 안전펜스도 일감 몰아주기?
  3. 조류에서 포유류로 인플루엔자 전파 확산…"진단과 백신 등 소홀할 수 없어"
  4. [춘하추동]용기를 음미(吟味)하며 사는 삶
  5. 대덕연구단지보건협의회, 2025년도 상반기 보건포럼 개최
  1. [2025 글로컬 예비지정] 지역대 6개 혁신기획서 어떤내용 담겼나
  2. 함께 하는 나눔행사 찾아가는 짜장면 데이
  3. "암 통증, 참지 말고 관리해요" 건양대병원 캠페인 개최
  4. 초록우산, 위기영아지원사업 파트너 기관 간담회
  5. [홍석환의 3분 경영] 기록 관리

헤드라인 뉴스


6·3 대선 사전투표 29일 시작… 승부처 충청의 선택은?

6·3 대선 사전투표 29일 시작… 승부처 충청의 선택은?

제21대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의 날이 밝으면서 최대 승부처인 충청의 선택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대선 정국 초반부터 보인 '1강 1중 1약' 흐름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 아래 28일부터 여론조사 공표금지로 '깜깜이' 기간까지 겹치면서 역대 선거마다 승부를 결정지은 금강벨트의 표심을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 충청권 중도성향 유권자들의 표심과 기존 지지층들의 충성도, 최종 투표율 등이 마지막 변수로 꼽히는 가운데 각 정당과 대선후보들은 마지막까지 충청공략을 위해 총력전을 벌인다는 각오다. 이번 대선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대전 내달 `대전문화공원 수자인` 공급… 부동산 시장 분위기 바뀔까
대전 내달 '대전문화공원 수자인' 공급… 부동산 시장 분위기 바뀔까

대전에서 내달 '대전문화공원 수자인'이 공급될 전망이다. 올해 공급 절벽 우려 속에서 분양 소식이 전해지며 부동산 시장 분위기가 바뀔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28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대전문화공원 수자인은 대전 중구 문화동 일원에 지하 3층~지상 16층, 11개 동 총 509세대로 공급된다. 타입별로는 전용 84㎡ 419세대, 126㎡ 90세대 등 중·대형으로 구성됐다. 사업방식은 사업시행자인 문화드림파크개발이 KB부동산신탁에 자금·공사발주·분양·관리 및 운영 등을 모두 위탁하는 차입형 토지신탁으로 진행된다.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국공..

[우리동네 자영업 스토리] 대전 `카페 모퉁이`
[우리동네 자영업 스토리] 대전 '카페 모퉁이'

동네를 산책하다 보면 한 번쯤은 본 듯한 카페와 식당 등이 눈에 익는다. 언젠가 한 번 가보겠다는 생각에 스치면 다른 업종으로 바뀌기도 한다. 새 업종이 들어오면 궁금하던 찰나에 영업을 종료한다. 손쉽게 바뀌는 자영업의 생태계 속에 이를 바라보는 지역민들은 어떤 스토리로 가게가 만들어졌는지, 가게만의 장점은 무엇인지 궁금한 이들이 많다. 하지만 막상 발길이 닿지 않는 경우도 있다. 방문 전 그곳만의 스토리와 강점 등을 자세히 안다면 가게를 방문하는 데 거리낌이 없어진다. 자연스레 발길이 닿고, 자영업자는 매출이 오르고, 지역에서 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통령선거 사전투표소 ‘점검 또 점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소 ‘점검 또 점검’

  • 한화사회봉사단, 13년째 현충원 묘역 정비 한화사회봉사단, 13년째 현충원 묘역 정비

  • ‘소중한 한 표’…장애인 유권자 투표체험 ‘소중한 한 표’…장애인 유권자 투표체험

  • ‘청탁은 멀리 청렴은 가까이’ ‘청탁은 멀리 청렴은 가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