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트 폭력’ 사망만 年46명...신고‧상담 방안은?

  • 사회/교육
  • 사건/사고

‘데이트 폭력’ 사망만 年46명...신고‧상담 방안은?

  • 승인 2017-07-19 17:15
  • 박도현 객원기자박도현 객원기자


데이트 폭력의 심각성이 매년 부각되고 있지만 신고 기관이나 상담 방법 등이 잘 알려지지 않은 실정이다.

경찰청에 따르면 매년 46명가량이 데이트폭력으로 사망에 이른다. 지난 18일 오전 만취한 손(22)모씨는 여자친구를 무차별 폭행하고 트럭으로 돌진까지 했다. 피해자들은 연인에게 사랑과 교감이 아닌 폭력과 살인 및 살인 미수 급의 범죄를 당한다. 피해자가 최대한 빠른 보호와 적절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을 알아봤다.

가장 빠른 신고와 상담은 112 신고와 여성 긴급전화(1366)로 가능하다. 112는 전화신고 외에도 스마트폰의 ‘경찰청 SMART 국민제보’ 어플을 통해서도 신고할 수 있으며 사진과 동영상 등 증거자료 첨부도 가능하다.

여성 긴급전화(1366)은 연중무휴 24시간 데이트폭력 피해 상담과 대응방법 안내를 받을 수 있다. 피해상황에 따라 성폭력 상담소와 해바라기 센터 등 전문기관이나 법률‧의료지원기관 등 도 연계 지원받을 수 있다.

이외에도 117 학교‧여성 폭력 피해자 상담전화와 한국여성상담센터(02-953-2017), 한국여성의전화(02-2263-6464) 등이 있다.

통화가 어려울 시 여성폭력 사이버 상담‧신고 센터(http://www.womenhotline.or.kr)도 상담원과 실시간 1:1 채팅 및 게시판 상담이 상시 가능하다.

데이트 폭력 피해를 당했을 시 증거물 확보는 수사 및 가해자 처벌에 도움을 준다. 피해 날짜와 시간 등의 기록, 문자나 메일, 대화 녹음 등이 있으면 남기고 신체적 흔적은 사진을 찍어둬야 한다. 48시간 안에 몸을 씻지 않고 꼭 병원에 가 피해사실을 알려야 하며 진단서를 끊도록 한다.

당사자뿐만 아니라 주변 모든 사람들의 인식 변화도 중요하다. 신체적 상해를 입히는 폭력 뿐 아니라 물건을 던지고 위협적인 행위를 취하는 것도 모두 데이트 폭력이다. 언어폭력과 정신적 폭력, 취중 폭력, 스토킹과 몰래카메라 등도 마찬가지다.

‘여자가 맞을 짓을 했겠지’와 같은 시대착오적 인식은 물론 ‘데이트 폭력은 사적인 사랑싸움’이라고 간과하는 것도 피해야 한다. 피해자는 ‘내가 가해자를 보듬어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데이트 폭력은 사소한 행위에서 살인 등 강력 범죄로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은 범죄행위다. 평균 재범률이 76.5%에 육박해 초기대응과 신속한 신고, 정부 차원의 피해자 보호가 필요하다.

박도현 대학생 객원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 '복당' 주목...행정수도 완성의 또다른 퍼즐
  2. [대입+] 5월 학평 '사탐런' 뚜렷… N수생 가세 6월 모평부턴 점수 예측 어려워
  3. 산단공 충청지역본부, 지역안전지킴이 육성 프로그램 업무협약
  4. 세종 아파트값 5주 연속 전국 상승률 1위… 대전은 하락세 이어
  5. 사이언스짐 신동식, 제36회 Mr.대전 그랑프리 우승
  1. 대전 200억원대 전세사기 피해자들 "임대인 엄벌을" 탄원
  2. 세종시 '올스타 배팅센터'...학생 야구 저변 확대 돕는다
  3. 'Disease X' 대응전략은? 대전시감염병관리지원단 심포지엄
  4. 백석대, 2024학년도 연구실적 우수교원 시상
  5. 한기대 '2025 ESG 포럼' 성료

헤드라인 뉴스


[대입+] 5월 학평 `사탐런` 뚜렷… N수생 가세 6월 부턴 예측 어려워

[대입+] 5월 학평 '사탐런' 뚜렷… N수생 가세 6월 부턴 예측 어려워

2026학년도 대입에서 '사탐런(사회탐구 과목 쏠림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면서 수험생들의 선택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N수생이 가세하는 6월 모평 이후엔 이 현상이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23일 종로학원이 5월 8일 실시된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채점 분석결과 사회탐구(사탐) 응시 인원이 전년보다 10만707명 증가한 43만 415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30.2% 증가한 수치다. 과학탐구(과탐) 응시자는 21만7723명으로, 4만 4810명 줄어들며 17.1% 감소 폭을 보였다. 5월 학평 기준 사탐 응시율은 20..

천안아산 강소특구, 미래차 전장산업 중심지로… 2단계 특화발전사업 추진
천안아산 강소특구, 미래차 전장산업 중심지로… 2단계 특화발전사업 추진

천안아산 강소특구가 미래차 전장산업 혁신 중심지로 도약한다. 충남도는 천안아산 강소특구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단계 특화발전 사업계획 종합 평가'를 통과해 내년부터 5년간 국비 100억 원을 확보했다고 22일 밝혔다. 2단계 사업에는 국비와 동일한 규모의 지방비 100억 원을 포함해 총 2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며, 1단계 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특화발전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특히 지역 전략산업인 '미래 모빌리티 전장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고도화 전략을 집중 전개해 지역 산업의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세계적인 기술 혁신..

세종 아파트값 5주 연속 전국 상승률 1위… 대전은 하락세 이어
세종 아파트값 5주 연속 전국 상승률 1위… 대전은 하락세 이어

대통령 선거가 1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세종시 아파트값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대통령실 이전 기대감에 따른 대선 호재를 등에 업고 5주 연속 전국 상승률 1위를 기록하고 있어서다. 2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5월 셋째 주(19일 기준)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세종 아파트 매매가격은 0.30% 올랐다. 전국 시도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5주 연속 기록했다. 세종은 고운·소담동 선호단지 위주로 매매 수요가 증가해 상승세가 지속됐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세종 집값은 4월 둘째 주 0.04%, 셋째 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유성구, 전동보조기기 운전연습장 교육 대전 유성구, 전동보조기기 운전연습장 교육

  •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 ‘실제 상황이 아닙니다’…재난현장 긴급구조 종합훈련 ‘실제 상황이 아닙니다’…재난현장 긴급구조 종합훈련

  • 한빛탑 앞 선관위 캐릭터 `참참이` 눈길 한빛탑 앞 선관위 캐릭터 '참참이' 눈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