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텃밭에 거름주기

  • 오피니언

[기고] 텃밭에 거름주기

안도현 대전시선거관리위원회 홍보담당관

  • 승인 2020-11-06 09:09
  • 신문게재 2020-11-06 18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안도현22
안도현 대전시선거관리위원회 홍보담당관
코로나에 장마까지 올 여름은 더위를 느껴볼 새도 없이 얼떨결에 지났다. 지난여름 끝자락에 김장할 무와 배추를 길러 보겠다고 텃밭에 씨앗을 뿌렸다. 씨를 뿌리고 2주가 지났는데 싹 난 자리가 듬성듬성해 씨앗을 추가로 뿌렸다. 한 달쯤 지났는데 크기가 들쭉날쭉하다. 옆 밭을 돌아보니 아주 깔끔하다. 분명 나보다 일주일 늦게 씨를 뿌렸는데 내 것보다 더 크고 고르게 잘 자랐다. 나보다 한수 위인 것이 틀림없다. 농부의 능력에 따라 작물이 자라는 형세도 다르다.

얼치기 농부로 몇 해 지내보니 농사는 정치와 비슷한 것 같다. 농작물의 상태가 농부의 수준을 보여 주듯이 정치 수준은 국민의 수준을 알려 준다. 밭은 저절로 좋아지지 않는다. 돌과 잡초를 골라내야 하고 거름도 줘야 한다. 정치도 저절로 좋아지지 않는다. 농부가 밭에 맞는 작물을 골라 심듯이 국민들도 제대로 된 정치인을 골라야 한다. "벼는 농부의 발걸음 소리를 듣고 자란다"는 말처럼 정치도 국민들의 관심을 먹고 자란다. 국민들이 정치에 관심이 없으면 정치인들은 국민을 무시하게 된다. 국민이 항상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는 표현이 바로 정치후원금이다. 국민이 정치자금을 후원하는 것은 농부가 밭에 거름을 주는 것과 같다. 거름이 넉넉한 밭에서 작물이 잘 자라듯이 정치자금이 안정적으로 확보되어야 국회의원들도 소신껏 의정활동에 전념할 수 있다.

정치후원금은 한 사람이 1년에 후원회마다 500만원씩 총 2천만 원 까지 기부할 수 있다. 공무원 등과 같이 정당 가입이 제한되는 사람들은 선거관리위원회를 통해서만 정치후원금을 낼 수 있는데 이를 '기탁금'이라고 한다. 기탁금이나 후원금을 내면 정치자금영수증을 준다. 후원회는 작년(2019) 한 해 선관위로부터 총4만 5095매의 영수증을 받아 5252매(11.6%)를 사용했다. 5년 전(2015)에 13만 6409매를 받아 4만 4980매(33%)를 사용한 이후로 계속 감소하고 있다. 이처럼 정치후원금 수기 영수증 사용 실적이 저조하다보니 선관위는 시대의 변화에 맞는 방법을 고민하게 되었다. 이 문제는 정치후원금 센터 홈페이지를 이용하면 쉽게 해결된다. 정치후원금 센터를 이용하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기탁금과 후원금을 납부할 수 있다. 정치자금영수증도 바로 출력할 수 있다. 물론 휴대폰으로도 가능하다. 결제 방식도 다양한데, 특히 평소에 금액이 적어 사용하지 못하고 묵혀두었던 신용카드 포인트로도 후원금을 납부할 수 있다. 정치후원금은 10만원까지는 세액공제도 받을 수 있다.

농사에 필요한 물과 햇빛, 바람 같은 자연적 요소는 똑똑한 농부라도 어쩔 수 없는 부분이다. 하지만 거름은 농부가 부지런하면 충분히 줄 수 있다. 거름이 좋아 작물이 잘 자라면 그것을 수확하는 것은 농부이다. 정치 성장에 필요한 거름은 정치후원금이다. 정치가 잘되면 그 수확의 기쁨은 국민의 몫이다. 안도현 대전시선거관리위원회 홍보담당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구도동 식품공장서 화재…통영대전고속도로 검은연기
  2. 대전 신탄진역 유흥가 '아가씨 간판' 배후 있나? 업소마다 '천편일률'
  3. 유성복합터미널 공동운영사 막판 협상 단계…서남부터미널·금호고속 컨소시엄
  4. 11월 충청권 3000여 세대 아파트 분양 예정
  5. 대전권 대학 대다수 기숙사비 납부 '현금 일시불'만 가능…학부모 부담 커
  1.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어디서든 걸을 수 있는 환경 만들겠다"
  2. 728조 예산전쟁 돌입…충청 與野 대표 역할론 촉각
  3.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자연과 함께 일상 속 피로 내려놓길"
  4. [오늘과내일] 대전시의회, 거수기 비판을 넘어설 마지막 기회
  5.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가을 도심 산행의 매력 흠뻑

헤드라인 뉴스


등록금은 카드 납부 되는데… 기숙사비 `현금 일시불` 여전

등록금은 카드 납부 되는데… 기숙사비 '현금 일시불' 여전

대학 기숙사비 결제 방식으로 대다수 대학이 카드 결제가 불가능해 학생과 학부모들의 부담이 크다는 지적이 이어졌으나, 여전히 대전권 대학들은 현금 일시불 납부만 고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교육부가 지난 10월 31일 공시한 '2025년 대학별 기숙사비 납부제도 현황'에 따르면, 올해 전국 대학 기숙사 249곳 (직영·민자 등) 가운데 카드 납부가 가능한 기숙사는 55곳(22.1%)에 불과했다. 현금 분할 납부가 가능한 기숙사는 79곳(31.7%)으로 절반도 안 됐다. 계좌이체 등 현금으로 일시 납부를 해야 하는 기숙사는 149곳..

대전 첫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예지중고` 2026년 2월 운영 종료
대전 첫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예지중고' 2026년 2월 운영 종료

대전 첫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로 지정돼 중·고등학교 과정 6000여명을 배출한 대전예지중고가 2026년 2월 끝내 문을 닫는다. 중학교 졸업생들은 대전시립중고에서 남은 배움을 이어나갈 수 있게 된다. 3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2024년 7월 예지중고를 운영하는 재단법인 예지재단의 파산 선고에 따라 2026년 2월 마지막 졸업생 250여명을 끝으로 시설 운영을 종료한다. 예지재단 파산은 2024년 7월 결정됐지만 재학생 피해 최소화를 위해 추가 신입생을 받지 않고 재학생의 졸업을 기다린 시점이다. 1997년 학령인정 시설로 설립인가를..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늦가을 찬바람이 부는 11월의 첫날 쌀쌀한 날씨 속에도 캠핑을 향한 열정은 막을 수 없었다. 중부권 대표 캠핑 축제 '2025 꿀잼대전 힐링캠프'가 캠핑 가족들의 호응을 받으며 진행됐다. 올해 두 번째로 열린 꿀잼대전 힐링캠프는 대전시와 중도일보가 공동 주최·주관한 이벤트로 1~2일 양일간 대전 동구 상소오토캠핑장에서 열렸다. 이번 캠핑 역시 전국의 수많은 캠핑 가족들이 참여하면서 참가신청 1시간 만에 마감되는 등 경쟁이 치열했다. 행운을 잡은 40팀 250여 명의 가족들은 대전지역 관광명소와 전통시장을 돌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