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논단] 외통수 걸린 도쿄올림픽, 어쩔것인가?

  • 오피니언
  • 월요논단

[월요논단] 외통수 걸린 도쿄올림픽, 어쩔것인가?

정문현 충남대 스포츠과학과 교수

  • 승인 2021-06-27 09:35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정문현 충남대 스포츠과학과 교수
정문현 충남대 스포츠과학과 교수
IOC는 도쿄올림픽에 일본의 2차 대전 전범기인 욱일기 사용을 허용하고 있고, 도쿄올림픽 홈페이지 지도에 독도를 자국 영토로 표시하는 것도 사실상 허용했다. 욱일기는 일본이 독일과 2차 세계대전을 일으키고 욱일기와 나치기를 나란히 걸어 놓고 아시아 태평양 전 지역에서 살인, 강간, 도륙, 고문, 납치의 만행을 저지를 때 내세웠던 일본 침략의 상징물이다.

일본은 원래 침략국이다. 전쟁광 일본은 임진왜란(1592년), 청일전쟁(1894.7~1895.4), 타이완 침략(1895년), 러일전쟁(1904∼1905년), 만주사변(1931년), 중일전쟁(1937년), 일제강점기(1910~1945년), 제1차 세계대전(1914.7.28~1918.11.11), 제2차 세계대전(1939.9.1.~1945.8.15.)을 일으켰으며, 관동대학살(2만 3058명), 난징대학살(30만 명), 731부대, 위안부 등등 전쟁을 일삼는 망국의 나라이다.

1936년 베를린 IOC 총회에서 1940년 제12회 올림픽 개최국으로 도쿄가 선정됐었다. 그런데 일본은 바로 다음 해인 1937년 7월 7일 중일전쟁을 일으켰고, 국제 사회의 개최 중지 요구에 일본은 올림픽 개최를 포기했지만, 1945년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 2발을 맞고 항복할 때까지 무려 2000만 명의 사상자를 발생시켰다.

그러고도 일본은 1960년 올림픽유치에 도전했다 실패한 후 곧바로 1964년 동경올림픽을 유치했고 금 16개로 미국, 소련 다음으로 3위에 오르며 4년 뒤(1968년) 서독을 제치고 세계 제2의 경제대국 반열에 올라섰다.



일본은 1964년 동경올림픽 이후 생활체육 활성화로 엘리트 선수를 육성한다고 했다가 쫄닥 망했다. 1951년 인도의 뉴델리 아시안게임부터 1978년 태국 방콕 아시안게임까지 28년간 아시안게임에서 1위를 했었는데, 그 뒤로 20년간 한국에 뒤처졌던 것이다.

그 후 일본은 한국을 이기기 위해 태릉선수촌을 염탐한 후 체육청을 신설하고 최첨단 스포츠 과학시설인 '아지노모토 내셔널트레이닝센터'를 건립하면서 자국의 국가대표 선수들을 극진히 대접해 착실히 엘리트스포츠를 육성해왔다. 그 결과 대한민국은 2018년 자카르타 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 20년간 이겨왔던 일본에 40여 개의 메달 차이로 뒤처지며 참패했다.

현실을 보자. 호사카 유지 교수는 일본은 한국이 올림픽을 보이콧하면 좋아할 거라고 했다. 동의한다. 한국이 없는 올림픽에서 일본은 독도가 자기네 땅이라 우기고, 북치고 장구 치면서 세계인들을 실컷 구워삶으려고 할 것이다. 지도에 독도를 넣을 때부터 이미 계산된 계략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2021년 도쿄올림픽. 대한민국은 올림픽 출전으로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

필자의 부친은 57년 전인 1964년 동경올림픽에 배구선수로 출전하며 선수단 기수를 하신 정선흥(84세) 옹(翁)이시다. 출전 후 선수들의 요구로 태릉선수촌이 만들어졌고, 돈 없고 배고프던 시절에 장밋빛 미래를 꿈꿔온 수많은 선수와 지도자들의 희생으로 대한민국은 세계 스포츠계의 강자로 버텨 왔다.

일본은 올림픽을 철저히 국제정치에 이용하고 있다. 한국은 지금 외통수에 걸려 있다.

독도 문제로 불참을 얘기하던 정치인들의 입은 쏙 들어갔고, 문제가 해결도 안 됐는데 대통령은 공식초청도 못 받은 상황에서 올림픽을 간다고 하고 있다. 울화가 치밀고 성질이 나서 불참을 하고 싶지만, 불참에 따른 손실과 보상은 계산이 안 된다.

게다가 코로나19의 방역망은 더욱 위태로워지고 있고, 음식은 방사능에서 안전할 수 없는 후쿠시마산을 먹으란다. 출전해야만 하는 국가대표 선수단의 안전과 부담이 어느 해보다 가중되고 있는 위기 상황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대한체육회는 인생을 걸고 출전하는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과 안정적인 생활을 위한 지원을 충분히 하고 있는지 다시 한 번 살펴주길 바란다.

매우 힘들고 열악한 환경이지만 대한민국의 국가대표 선수들, 반드시 승리하고 돌아오길 바란다. 출전하는 모든 선수의 안전과 기원한다. / 정문현 충남대 스포츠과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무죄판결 파기환송…유죄 취지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무죄판결 파기환송…유죄 취지

대법원이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에 대해 유죄 취지로 파기 환송했다. 이에 따라 이 후보는 서울고법에서 다시 재판받아야 한다. 서울고법은 대법원의 판단 취지에 기속되므로 유죄를 선고해야 한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박영재 대법관)는 5월 1일 이 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대법원은 지난 3월 28일 사건을 접수한 뒤 국민의 관심이 지대하고 유력 대권 주자인 이 후보의 피선거권 여부가 달려있다는 점을..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세계노동절 대전대회 세계노동절 대전대회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