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의 기억속으로②] 갈마동 여중생 살인사건 : 범인이 남긴 'DNA'

[그날의 기억속으로②] 갈마동 여중생 살인사건 : 범인이 남긴 'DNA'

  • 승인 2021-08-23 15:00
  • 수정 2021-08-23 16:54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컷-미제사건

 

 

 

 

사인은 경부압박질실사… 범인 것 추정 DNA 확인

대전청 미제사건팀 "작은 단서도 들여다보고 있어"

 

 

그날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세상의 보호가 필요한 15살 임지선(가명) 양이 눈을 감은 지 올해로 24년이 흘렀다. 살았더라면 이젠 마흔을 넘은 중년이었을 임 양은 24년 전 이맘때 즈음인 1998년 8월 20일 새벽 대전 서구 갈마동 월평산 아래 차가운 시신으로 발견됐다. 전날 밤 임 양은 대덕구 오정동 지인의 집에서 나온 후 남자친구를 만나기 위해 갈마동으로 향했다. 임 양 주변을 통해 경찰이 당시 알아낸 행적은 여기까지다. 다음 날인 21일 정오께 임 양은 산에 오르던 한 시민에 의해 발견됐다.  

 

1290599204
본문과는 관련 없는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당시 임 양은 속옷이 내려진 채 낙엽으로 덮여 있었다. 불상의 도구에 의해 목이 졸린 흔적이 남아 있었다. 부검 결과 정확한 사인은 경부압박질식사였다.

당시는 지금처럼 휴대전화나 CCTV가 보급되지 않았던 시기다. 기지국을 통한 위치파악이나 CCTV를 이용한 행적 추적은 거의 불가능했다. 미성년자인 임 양의 신원 확인부터 애를 먹어야 했다. 경찰은 임 양의 얼굴을 공개하며 신원 파악에 나선 끝에 가족을 찾을 수 있었다.



24년 전 사건을 여전히 수사 중인 대전경찰청 미제사건전담수사팀(이하 미제사건팀)은 단 하나의 단서도 가볍게 여기지 않고 사건에 대한 촉수를 뻗치고 있다. 지난 2011년 신설된 대전청 미제사건팀은 당시 용의 선상에 올랐던 임 양의 주변 인물을 중심으로 사건을 훑은 데 이어 조사를 지속하고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오래 전 사건을 기억하는 제보는 많지 않다. 사건 당시 현장 목격자도 현재까지 나타나지 않은 상황.

2015년 7월 이른바 태완이법이라 불리는 형사소송법 개정으로 살인죄에 대한 공소시효가 폐지되면서 2000년 8월 1일 이후 발생한 사건은 형벌권이 소멸되지 않게 됐다. 1998년 8월 일어난 임 양 사건은 현장에서 범인의 것으로 추정되는 DNA가 남아 있어 성폭력처벌법에 따라 공소시효가 10년 연장된 상태서 태완이법 개정을 맞이했다. 이 사건 공소시효가 완전히 사라져 범인이 완전범죄를 꿈꿀 수 없게 된 것이다.



경찰은 현장에 남아 있는 범인의 것으로 추정되는 DNA를 대조군으로 남겨두고 언제라도 진범을 밝히겠다는 의지다. 경찰은 "사건 당시와는 환경이 많이 바뀌었기 때문에 다양한 창구로 사건에 대한 제보를 받고 들여다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날에 대한 기억이나 현장을 목격한 이들은 대전경찰청 미제사건전담수사팀으로 제보해 달라. <제보 전화 042-609-2772 / 010-2062-4446>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2.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3.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4.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5.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1.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4.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5.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헤드라인 뉴스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전국 거점국립대 9곳 모두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재정을 집중 지원한다는 방침이지만, 예상과 달리 평가에 따라 일부 대학에 예산을 몰아주거나 차등 지원한다는 얘기가 나오면서다. 여기에 일반 국립대와 사립대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건의까지 속출하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19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전날인 18일 내년도 예산안을 심의한 국회 예결위 예산소위는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위한 '국립대학 육성' 사업비 심사를 보류한 것으로..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