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다문화] 여름방학 추천 여행지, 태안 갯벌 체험

  • 다문화신문
  • 태안

[대전다문화] 여름방학 추천 여행지, 태안 갯벌 체험

  • 승인 2024-07-31 17:32
  • 신문게재 2024-08-01 9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1-1
가네코사니에 명예기자
6월 말부터 2박 3일로 가족 여행으로 떠났습니다. 여행지는 태안군이고 이번 방문이 5번째가 되었습니다. 마침 장마철이 시작할 시기에 예약했기때문에 일기예보로는 여행가는 날이 강수확률이 아주 높았습니다. 저는 여행을 가기 10일 전쯤부터 계속 날씨를 확인하고 취소할까 말까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그러나 펜션을 저렴하게 예약했고 최근에 놀러 나갈 기회가 없었으니 비가 와도 가기로 했습니다.

가는 날짜가 다가올수록 우리가 놀러 가는 날의 강수확률이 점점 낮아지고 마침내 우리가 노는 날은 이틀 동안 날씨가 맑아졌습니다.

우리가 간 청포대해수욕장은 갯벌체험을 할 수 있고 작년에도 한 번 도전 해봤습니다. 그때는 아무리 열심히 캐봐도 조개가 별로 안 나왔는데 이번에는 남편이 조개를 캐는 방법을 미리 알아봤기 때문에 조개를 많이 캘 수 있었습니다.



밤에는 펜션 베란다에서 개별 바비큐를 즐기면서 캔 조개를 넣고 라면까지 맛있게 끓여 먹었습니다.

1-2
가네코사니에 명예기자
두 번째 날은 조금 늦게 일어나서 오후부터 사용 가능한 대형워터슬라이더가 있는 펜션 풀장에 갔습니다. 1시간 정도 놀았는데 우리 가족밖에 없어서 마음껏 즐길 수 있었습니다. 풀장에서 실컷 논 다음은 간조 시간에 맞춰서 어제처럼 조개를 캐러 바다에 나갔습니다. 저는 전날에 열심히 조개를 캐서 팔목이 아팠기 때문에 이틀째 날에는 둘째 유치원생 아들과 함께 모래놀이를 즐겼습니다. 유치원생 아들은 모래놀이를 하다가 가끔씩 나오는 아기 꽃게를 보고 기뻐하고 많은 사진을 찍었습니다.

우리 가족은 여름이 오면 매년 바다에 놀러 가고 있는데 그때마다 아이들의 성장을 느끼게 됩니다. 작년에 조개를 캐려고 하지 않았던 첫째가 열심히 조개를 캐고 물을 무서워하고 있었던 둘째는 풀장에서 잘 놀았고 아이들이 조금씩 성장해가는 모습을 보고 보람을 느꼈습니다.

집에 가는 날에는 어제까지 맑았던 하늘에서 많은 비가 내리고 있었습니다. 무사히 집에 도착한 후 시댁에 가서 열심히 캔 조개들로 조개 국수를 만들고 여행 이야기를 나누면서 맛있게 먹었습니다. 지금부터 내년 여행 가는 것이 너무 기대됩니다.

여러분도 이번 여름여행을 태안군 바다에서 가족과 함께 갯벌체험을 하시는 게 어떨까요?



- 가네코사니에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울공항 인근 도심 상공 전투기 곡예비행... 안전불감증 도마
  2. 옛 파출소·지구대 빈건물 수년씩… 대전 한복판 중부경찰서도 방치되나
  3. <속보>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4. AI 시대 모두가 행복한 대전교육 위해선? 맹수석 교수 이끄는 미래교육혁신포럼 성료
  5. [기고] 전화로 모텔 투숙을 강요하면 100% 보이스피싱!
  1. 충남도 "해양생태공원·수소도시로 태안 발전 견인"
  2.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논산여자상업고 글로벌 인재 육성 비결… '학과 특성화·맞춤형 실무교육'
  3. 충남교육청 "장애학생 취업 지원 강화"… 취업지원관 대상 연수
  4. 태안국제원예치유박람회 조직위, 준비상황보고회 개최
  5. "도민 안전·AI 경쟁력 높인다"… 충남도, 조직개편 추진

헤드라인 뉴스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대전의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납세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세무서가 3곳에 불과해 세무서 신설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대전 유성구갑)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전시의 2024년도 주요 세목별 신고인원은 2019년 대비 부가가치세 17.9%, 종합소득세 51.9%, 법인세는 33.9% 증가했다. 또 대전의 2023년도 지역내총생산(GRDP)은 54조원으로, 전년 대비 3.6% 성장해 전국 17대 시·도 중 두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납세 인원 역시 2019..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조선시대 순성놀이 콘셉트로 대국민 개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3.6km)'.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주·야간 개방 확대로 올라가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주·야간 개방 확대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간 개방은 '국가 1급 보안 시설 vs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 가치 충돌을 거쳐 2019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럼에도 제한적 개방의 한계는 분명하다. 평일과 주말 기준 6동~2동까지 매일 오전 10시, 오후 1시 30분, 오후..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최근 3년간 대학 내 실험실에서 발생한 사고로 매년 2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문정복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시흥갑)이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최근 3년간 전국 대학 연구실 사고로 총 607명의 부상자와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같은 기간, 대학 내 실험실 사고로 지급된 공제급여는 총 8억 5285만 원에 달한다. 특히 4월에 매년 사고가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23년 4월에 33명, 2024년 4월에 32명, 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