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역사상 최고의 상소문 기해봉사!

  • 오피니언
  • 사외칼럼

[기고] 역사상 최고의 상소문 기해봉사!

이연우 충남도정책자문위원회 위원장

  • 승인 2024-08-12 10:40
  • 현옥란 기자현옥란 기자
KakaoTalk_20240731_140030101
이연우 충남도정책자문위원회 위원장
우리 역사에서 상소(上疏)의 백미(白眉)로 꼽는 기해봉사(己亥封事)는 초려(草廬) 이유태(1607~1684)선생이 효종의 북벌(北伐)을 위한 만전지책(萬全之策)으로 제진(製進)한 국정 혁신 대개혁안이다.

이는 조선초의 경국대전과 율곡 이이, 남명 조식 선생의 개혁론을 사상적 기반으로 하고 있으나 당시 조선의 실질적 혁신과 개혁을 위한 대방책(方策)이었다.

그 의미와 목적과 내용, 전체적인 구성, 표현방법 그리고 여기에 파급된 영향 등에서 다른 상소문들과는 비교가 안 되는 깊은 의의와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본소(本疏) 2만여 자와 별책부록으로 첨부된 향약(鄕約) 2만여 자로 그 길이가 무려 4만 2000여 자에 이르는 상소문 중에 최장(最長)이다.



일반적인 현안이나 사회 문제에 국한된 글이 아니라 국정 전반을 다루고 또, 그 폐단과 실제를 지적하여 개혁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를 묻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 역사적 중요성과 가치가 있다.

상소문은 10여일만에 작성되었지만 그 구상과 문제 제기는 1649년 기축년 낙향한 이후 1659년 기해년까지 무려 10년이 걸렸다.

그 저술의 목적은 임병양란(壬丙兩亂)이후 국가 문란과 사회 혼란을 종식시켜 나라를 다시 반석위에 올려놓고 백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북벌을 단행, 천하의 정의를 구하고자 했다.

내용은 국정의 전 분야에서 개혁해야 할 폐단과 보국안민의 정책을 세세하게 언급하고 또, 실제와 비교하여 그 문제의 핵심을 지적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데 일관되어 있다.

폐단은 7가지 분야로 제시하고 보국안민 정책은 3강령에서 16조목으로 제시하였고 변혁과 개혁을 위한 군주에 대한 교육론은 수기(修己) 7단계, 제궁가(齊宮家) 4조목 그리고 치국(治國) 이론을 핵심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글의 구성 또한 치밀하여 기·서·결이 잘 갖추어져 있으며 본소 2만여 자는 군더더기 하나 없이 아주 간결하고 명쾌하다.

본론에서는 그 원인과 대안, 결과가 잘 나타나 있으며 앞 부분에는 이를 전제로 개혁의 당위성을 역설하고 뒷 부분엔 이의 실행을 위한 군왕의 수기(修己)와 교육의 중요성을 따지고 물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각각의 대단원에 도입, 본론과 결론 그리고 종합까지 논술의 걸작이 아닐 수 없다.

표현방식은 거침없이 구사(驅使)된 폐단의 원인과 결과를 댓구(對句) 형식으로 기술하여 누구나 읽기 쉽고, 이해하기 편하게 정리했다.

최근의 이석우 전 계룡용남고 교장의 저서 '초려선생의 기해봉사 쉽게 읽기'를 읽어보면 더 그렇다.

그만큼 초려선생은 문제의 핵심을 꿰뚫고 그대안을 제시했다.

단락과 조목, 행과 열까지 연결이 매우 자연스럽고 매끄러워 어느 곳 하나 뜬금없이 이어지는 곳이 없다.

효종조에 두 차례 밀지(密旨)를 받고 상경(上京)하여 북벌의 취지와 당위성을 듣고 누가, 왜,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정리, 마무리까지 하였으나 효종의 갑작스런 요절(夭折)로 모든 것은 수포로 돌아갔다. '승정원일기' 현종조엔 하루 종일 점심도 거르고 밤 늦게까지 승지가 대독하는 자리에 현종은 그 때 그 때 초려의 이유와 설명을 듣고 눈물을 흘리며 '옳다! 옳다! 초려의 말대로 바로, 실행하라'고 의정부에 하명하였지만 이의 실행을 두고 조야(朝野)에서는 논쟁만 하다가 말았다.

그것이 조선 중기 이후 조선을 개혁하지 못한 후기의 역사가 그대로 보여 주고 있다.

이연우 충남도정책자문위원회 위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SMR 특별법' 공방 지속… 원자력계 "탄소중립 열쇠" vs 환경단체 "에너지 전환 부정"
  2. 천안시, PM 견인 강화로 질서 확립 '고삐'
  3. 李정부 첫 조각 마무리…충청 고작 2명 홀대 심각
  4. 조국혁신당 대전시당, '검찰개혁 끝까지 간다'… 시민토크콘서트 성황
  5. [오늘과내일] 더 좋은 삶이란?
  1. 더불어민주당 전대주자들, '충청당심' 공략 박차
  2. [월요논단] 지역주택조합의 분담금 반환과 신의성실의 원칙
  3. 대전문화재단,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사회공헌활동 펼쳐
  4. 대전미술대전 무산 위기 넘기고 올 가을 정상 개최 가시화
  5. 가까스로 살린 대전미술대전…문화행정은 이제부터 숙제

헤드라인 뉴스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 외국인 관광객 유치 특례 추가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 외국인 관광객 유치 특례 추가

국가균형발전과 수도권 일극체제 극복을 위한 시대적 과제 중 하나인 대전·충남 행정통합 을 위한 특별법안이 완성됐다. 12·3 계엄 사태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등 정치적 격변기 속 잠시 주춤했던 이 사안이 조기 대선 이후 다시 가속페달을 밟고 있는 것이다. 14일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이하 민관협)는 대전시청 대회의실에서 제5차 회의를 열고, '대전충남특별시 설치 및 경제과학수도 조성을 위한 특별법안(가칭)' 최종안을 확정했다. 민관협은 이날 완성된 법안을 이장우 대전시장과 조원휘 대전시의회 의장, 김태흠 충남도지사와 홍..

전재수 "해수부, 세종보다 부산이 더 효과" 발언에  충청권 `발끈`
전재수 "해수부, 세종보다 부산이 더 효과" 발언에 충청권 '발끈'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해양수산부가 세종보다 부산에 있어야 더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과 관련 충청 보수 야권이 발끈하고 나섰다. 전 후보자는 이날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해수부가 세종에 있을 때 그 효과를 100이라고 한다면, 부산으로 오는 것이 1000, 1만의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믿는다"며 "해수부 부산 이전을 차질 없이 완수하겠다"고 말했다. 전 후보자가 내세운 해수부 부산 이전 근거는 북극항로였다. 그는 "북극항로를 둘러싸고 세계 각국이 경쟁하고 있다"며 "해수부를 거점으로 삼아 부산에서..

국내 증시 활황…대전 상장기업 시총도 사상 최대
국내 증시 활황…대전 상장기업 시총도 사상 최대

국내 증시가 연일 활황을 이어가면서 대전 상장기업의 시가총액도 매달 최고치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6.26포인트(0.83%) 상승한 3202.03으로 장을 마감했다. 코스피가 종가 기준 3200선을 넘긴 건 2021년 9월 6일(종가 3203.33) 이후 처음이다. 코스닥은 전 거래일 대비 1.10포인트(0.14%) 하락한 799.37로 거래를 마쳐 희비가 엇갈렸다. 주목할 건 대전지역 상장기업의 성장세다. 대전테크노파크에 따르면 6월 기준 대전지역 상장기업의 시가총액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 요란한 장맛비 요란한 장맛비

  • ‘민생회복지원금 21일부터 사용 가능합니다’ ‘민생회복지원금 21일부터 사용 가능합니다’

  • 폐업 늘자 쏟아지는 중고용품들 폐업 늘자 쏟아지는 중고용품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