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역사상 최고의 상소문 기해봉사!

  • 오피니언
  • 사외칼럼

[기고] 역사상 최고의 상소문 기해봉사!

이연우 충남도정책자문위원회 위원장

  • 승인 2024-08-12 10:40
  • 현옥란 기자현옥란 기자
KakaoTalk_20240731_140030101
이연우 충남도정책자문위원회 위원장
우리 역사에서 상소(上疏)의 백미(白眉)로 꼽는 기해봉사(己亥封事)는 초려(草廬) 이유태(1607~1684)선생이 효종의 북벌(北伐)을 위한 만전지책(萬全之策)으로 제진(製進)한 국정 혁신 대개혁안이다.

이는 조선초의 경국대전과 율곡 이이, 남명 조식 선생의 개혁론을 사상적 기반으로 하고 있으나 당시 조선의 실질적 혁신과 개혁을 위한 대방책(方策)이었다.



그 의미와 목적과 내용, 전체적인 구성, 표현방법 그리고 여기에 파급된 영향 등에서 다른 상소문들과는 비교가 안 되는 깊은 의의와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본소(本疏) 2만여 자와 별책부록으로 첨부된 향약(鄕約) 2만여 자로 그 길이가 무려 4만 2000여 자에 이르는 상소문 중에 최장(最長)이다.



일반적인 현안이나 사회 문제에 국한된 글이 아니라 국정 전반을 다루고 또, 그 폐단과 실제를 지적하여 개혁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를 묻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 역사적 중요성과 가치가 있다.

상소문은 10여일만에 작성되었지만 그 구상과 문제 제기는 1649년 기축년 낙향한 이후 1659년 기해년까지 무려 10년이 걸렸다.

그 저술의 목적은 임병양란(壬丙兩亂)이후 국가 문란과 사회 혼란을 종식시켜 나라를 다시 반석위에 올려놓고 백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북벌을 단행, 천하의 정의를 구하고자 했다.

내용은 국정의 전 분야에서 개혁해야 할 폐단과 보국안민의 정책을 세세하게 언급하고 또, 실제와 비교하여 그 문제의 핵심을 지적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데 일관되어 있다.

폐단은 7가지 분야로 제시하고 보국안민 정책은 3강령에서 16조목으로 제시하였고 변혁과 개혁을 위한 군주에 대한 교육론은 수기(修己) 7단계, 제궁가(齊宮家) 4조목 그리고 치국(治國) 이론을 핵심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글의 구성 또한 치밀하여 기·서·결이 잘 갖추어져 있으며 본소 2만여 자는 군더더기 하나 없이 아주 간결하고 명쾌하다.

본론에서는 그 원인과 대안, 결과가 잘 나타나 있으며 앞 부분에는 이를 전제로 개혁의 당위성을 역설하고 뒷 부분엔 이의 실행을 위한 군왕의 수기(修己)와 교육의 중요성을 따지고 물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각각의 대단원에 도입, 본론과 결론 그리고 종합까지 논술의 걸작이 아닐 수 없다.

표현방식은 거침없이 구사(驅使)된 폐단의 원인과 결과를 댓구(對句) 형식으로 기술하여 누구나 읽기 쉽고, 이해하기 편하게 정리했다.

최근의 이석우 전 계룡용남고 교장의 저서 '초려선생의 기해봉사 쉽게 읽기'를 읽어보면 더 그렇다.

그만큼 초려선생은 문제의 핵심을 꿰뚫고 그대안을 제시했다.

단락과 조목, 행과 열까지 연결이 매우 자연스럽고 매끄러워 어느 곳 하나 뜬금없이 이어지는 곳이 없다.

효종조에 두 차례 밀지(密旨)를 받고 상경(上京)하여 북벌의 취지와 당위성을 듣고 누가, 왜,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정리, 마무리까지 하였으나 효종의 갑작스런 요절(夭折)로 모든 것은 수포로 돌아갔다. '승정원일기' 현종조엔 하루 종일 점심도 거르고 밤 늦게까지 승지가 대독하는 자리에 현종은 그 때 그 때 초려의 이유와 설명을 듣고 눈물을 흘리며 '옳다! 옳다! 초려의 말대로 바로, 실행하라'고 의정부에 하명하였지만 이의 실행을 두고 조야(朝野)에서는 논쟁만 하다가 말았다.

그것이 조선 중기 이후 조선을 개혁하지 못한 후기의 역사가 그대로 보여 주고 있다.

이연우 충남도정책자문위원회 위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2. 이중호 "한밭대전, 대전의 고유 e스포츠 축제로 키워야"
  3. [2026 수능] 국어·수학 변별력 있게 출제 예상… 수험생 증가·사탐런·의대정원 조정 등 '변수'
  4. 충청 4개 시도 수험생 5만 5281명 응시… 수능 한파 없어
  5. 서해안 해양치유산업 핵심거점 '태안 해양치유센터' 개관
  1. "시민 빠진 문화행정"…대전시, 수치만 채운 예술정책 도마에
  2. ‘선배님들 수능 대박’
  3. 김영삼 "대덕특구 순환버스 중단 우려"… 산건위 市 교통국 행정사무감사
  4.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5. 이장우 시장 "지방재정 부담 사전협의 및 예타제도 개선 필요"

헤드라인 뉴스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국어는 독서가 어렵게, 수학은 공통·선택 모두 까다로운 문항이 배치되면서 수험생 체감 난도가 크게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영어도 지난해 수준을 유지했지만 일부 고난도 문항이 포함돼 상위권 변별력을 갖췄다는 평가다. 13일 입시 전문가들에 따르면 국어 영역은 지난해 수능보다 약간 어렵고 9월 모평보다는 부담이 덜한 수준으로 출제된 것으로 파악된다. 독서는 지문 난도가 높았던 반면 문학과 선택과목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구성됐다. 법 해석·담보 기능을 다룬 사회 지문은 개념 추론 과정이 복잡했고,..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