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칼럼]도깨비가 바라보는 윗동네,아랫동네

  • 사람들
  • 뉴스

[독자칼럼]도깨비가 바라보는 윗동네,아랫동네

정종한(국가미래전략아카데미 상임대표.선진통일건국연합 대전시회장. 통일시인)

  • 승인 2025-01-23 15:15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정종한사진
정종한(국가미래전략아카데미 상임대표.선진통일건국연합 대전시회장. 통일시인)
2025년 을사년 새해도 세계는 여전히 소란스럽다.

국민들의 바람은 평온한 일상과 하루하루가 소중한 날들이기를 원하지만 나라 안이나 나라 밖이나 소란스러워 그 희망이 언제쯤 올지는 가늠할 수가 없다.

우리 역사 속에 도깨비는 늘 존재해 왔다. 때로는 친근한 존재로, 때로는 위험한 존재로 느껴왔다. 그러나 도깨비가 있다고는 하는데 누가 본 사람이 있을까?

이제는 5천만 인구중에 스마트폰을 가진 사람이 4500만은 될 텐데 그중에 한 사람이라도 도깨비를 보고 도깨비를 찍었다면 그건 엄청난 특종이 되겠지만 아쉽게도 아직 보지도 듣지도 못했다.



필자는 1963년 토끼띠로 한국전쟁 베이비 붐 세대의 끝자락에 태어나 70년대 반공교육을 투철하게 받아왔고, 80년대 대학가에서 최루탄 냄새를 맡으며 성장해 왔다.

1979년 통일을 위해 평생을 살겠다고 결심하고도 북녘 사람들을 머리에 뿔이 난 도깨비로 생각했고 그렇게 봐 왔다.

지금 생각하면 그때의 통일은 관념상의 도깨비였고 필자도 도깨비였던 셈이다.

통일을 위해 자료를 수집하려 동북 삼성을 30여 차례 방문하며 유랑했던 시절에 심양 서탑의 뒷골목에서 윗동네 처자를 만난 적이 있다. 그리고 그 때 깨달았다. 아! 윗동네 사람도 사람이구나!

머리에 뿔난 도깨비가 아니고 한 핏줄을 이어받은 같은 민족임을 깨달았다. 필자보다도 더 부모를 생각하고, 필자보다도 더 형제를 생각했다. 필자도 가족이 소중하다고 생각했지만, 형제를 위해 목숨을 건다고는 자신할 수가 없었는데 그는 부모 형제를 위해 목숨을 걸고 강을 건넜고, 중국 공안에 잡힐 것을 걱정하면서도 식당에서 설거지를 하면서 웃고 있었다. 그는 도깨비가 아니었고 진짜 사람이었다

그때부터 통일에 대한 필자의 관념도 실질적으로 바뀌었고 윗동네 사람들이 무섭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들은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12월 3일 도깨비가 여의도에 출현했다. 꿈속의 도깨비가 아니었고 TV카메라에 잡힌 도깨비였다.

그리고 그 날부터 윗동네에서 보내던 오물 풍선이 사라졌다. 괜히 시비를 걸었다가 한 대 맞을까 봐 무서웠기 때문이 아닐까? 사실 오물이라고 부르기도 애매하다. 2013년 윗 동네 사람의 친구가 전해준 북한 문건 여섯 건을 연길에서 받았다. 평양출판사에서 인쇄하고 노동당에서 발간한 핵심 당원 교육용 문건이었다. 북한 권력층의 세대교체를 위한 교육문건이었다. 필자가 놀란 것은 그 종이의 질이었다. 필자가 초등학생 때 쓰던 그런 시커먼 종이였다. 북한의 중앙당에서 발간한 문서의 질이 그렇다면 다른 것은 볼 것도 없고 그 때 윗 동네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알 수 있었다. 지금 우리가 오물 풍선이라고 부르는 풍선속의 종이는 윗 동네 사람들에게는 정말 소중한 종이를 모아서 보내는 것이니까.

연길 서 시장 안 콩나물 국밥집에서 친구의 친구와 밥을 먹으며 소주 한 잔 하면서 물었다.

‘이만갑’에 출연한 탈북자들의 말을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그 때 윗동네 정부의 과장급 친구가 말했다.

"먹고 살려고 그러는 걸 뭘 어케 해, 지들도 먹고 살려고 그러는 걸”. 그러더니 한마디 덧붙였다.

“그러나 근거없는 말로 최고 존엄을 모욕하는 건 언젠가는 대가를 치를 거야"라고 말했다

그리고 한 마디 더했다.

"비판하더라도 팩트를 가지고 비판하는 건 가슴 아파도 받아 들일 수 밖에 없어. 비판을 하더라도 예의는 지켜야지,친구야."

필자도 거기에는 공감할 수밖에 없었다.

정치 목적의 회담이 아니었고 친구의 생일 날 만난 친구였기 때문에 가슴에 담아둬야 했다.

필자는 그렇게 윗동네 친구들한테 많은 비판을 했다. 친구는 받아들일 건 받아들이고 때로는 화도 냈지만 아직도 그리운 술 친구다.

아랫동네에서도 윗동네로 풍선을 보낸다.

그 중에는 진정으로 윗동네 사람들을 위한 풍선도 있지만 때로는 도를 넘어서는 내용의 풍선도 있다.

그때마다 윗동네에서 오물풍선이라고 불리는 도깨비가 날아온다.

그걸 보내는 윗동네 사람들의 심리는 "니들도 당해봐라, 얼마나 귀찮은지."

윗동네를 조금은 이해하는 필자가 볼 때 그런 맘일 거라고 생각한다.

도깨비는 한반도 어디에나 있다. 윗동네도, 아랫동네에도.

이제 우리는 성숙해졌다. 세계 최고의 시민들이라고 필자는 확신한다. 그런 현명한 시민들이니 이제는 사람을 도깨비로 보는 관념을 깨야 한다고 본다. 도깨비는 도깨비 눈에만 보인다(참고로 그 때 받은 중앙당 문건은 우리 정부 비밀 경로로 전달해 줬다).

정종한(국가미래전략아카데미 상임대표.선진통일건국연합 대전시회장. 통일시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동남서-압구정KM 성형외과, 마약범죄예방 나선다
  2. 한덕수 대행 “직면한 위기, 제가 해야하는 일 하고자”… 총리 사퇴
  3. [르포] "안전한 게 맞나요?"…관저다목적체육관 천장 낙하에 불안 고조
  4. 세계노동절 대전대회
  5. 보이스피싱 예방, 우리가 앞장선다
  1. 대전관광공사.과학산업진흥원 이달 원도심 행… 산하기관 이전 신호탄
  2. 대전시, 국토부 '수소교통 복합기지 구축'공모 최종 선정
  3. 충남교육청 장애학생 위기행동 중재 지원 강화 "모두가 안전한 학교로"
  4. 도시재생 뉴딜사업 핵심 어울림그린센터 본격 착수
  5. 청주공항 활성화에 대전시 힘 보탠다

헤드라인 뉴스


대선 앞 세종 집값 상승률 2주 만에 12배↑… 대전·충남은 `하락`

대선 앞 세종 집값 상승률 2주 만에 12배↑… 대전·충남은 '하락'

6월 대선을 앞두고 대통령실 이전 기대감에 세종시 집값이 급등하고 있다. 최근 70주 만에 아파트 가격이 상승세로 전환한 데 이어, 이번 주에는 4년 8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하면서다. 2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4월 넷째 주(28일 기준)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세종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대비 0.49% 상승했다. 2주 전(0.04%)과 비교해 무려 12배 이상 오른 수치다. 세종 집값은 2023년 11월 이후 하락세를 보이다가 4월 둘째 주 0.04%로 70주 만에 상승 전환됐다. 셋째 주(0.23..

한덕수, 대선출마 선언…"임기단축 개헌후 대선·총선 동시실시"
한덕수, 대선출마 선언…"임기단축 개헌후 대선·총선 동시실시"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한 전 총리는 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임기 첫날 대통령 직속 개헌 지원기구를 만들어 개헌 성공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3년 차에 새로운 헌법에 따라 총선과 대선을 실시한 뒤 곧바로 직을 내려놓겠다"고 말했다. 이어 "취임 첫해에 개헌안을 마련하고, 2년 차에 개헌을 완료하겠다"며 "개헌의 구체적인 내용은 국회와 국민들이 치열하게 토론해 결정하시되, 저는 견제와 균형, 즉 분권이라는 핵심 방향만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한 전 총리는 "나..

세종시 베어트리파크, 어린이날 특별한 추억 선사
세종시 베어트리파크, 어린이날 특별한 추억 선사

세종시 베어트리파크가 어린이날 연휴를 맞아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5월 5일 아기 반달곰의 백일잔치를 포함해 다양한 어린이날 행사를 진행한다. 국내 유일의 행사로, 어린이와 가족들에게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예정이다. 베어트리파크는 5월 1일부터 6일까지 무료 체험과 나눔, 마술쇼, 버블쇼 등 다양한 이벤트를 준비했다. 5월 5일에는 아기 반달곰의 백일잔치가 열리며, 관람객들은 마술과 버블쇼를 즐기며 아기 반달곰의 새로운 이름을 짓고 축하 노래를 부르는 시간을 갖는다. 이 외에도 5월 1일과 6일에는 입장객에게 선착순으로 새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세계노동절 대전대회 세계노동절 대전대회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