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칼럼]도깨비가 바라보는 윗동네,아랫동네

  • 사람들
  • 뉴스

[독자칼럼]도깨비가 바라보는 윗동네,아랫동네

정종한(국가미래전략아카데미 상임대표.선진통일건국연합 대전시회장. 통일시인)

  • 승인 2025-01-23 15:15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정종한사진
정종한(국가미래전략아카데미 상임대표.선진통일건국연합 대전시회장. 통일시인)
2025년 을사년 새해도 세계는 여전히 소란스럽다.

국민들의 바람은 평온한 일상과 하루하루가 소중한 날들이기를 원하지만 나라 안이나 나라 밖이나 소란스러워 그 희망이 언제쯤 올지는 가늠할 수가 없다.



우리 역사 속에 도깨비는 늘 존재해 왔다. 때로는 친근한 존재로, 때로는 위험한 존재로 느껴왔다. 그러나 도깨비가 있다고는 하는데 누가 본 사람이 있을까?

이제는 5천만 인구중에 스마트폰을 가진 사람이 4500만은 될 텐데 그중에 한 사람이라도 도깨비를 보고 도깨비를 찍었다면 그건 엄청난 특종이 되겠지만 아쉽게도 아직 보지도 듣지도 못했다.



필자는 1963년 토끼띠로 한국전쟁 베이비 붐 세대의 끝자락에 태어나 70년대 반공교육을 투철하게 받아왔고, 80년대 대학가에서 최루탄 냄새를 맡으며 성장해 왔다.

1979년 통일을 위해 평생을 살겠다고 결심하고도 북녘 사람들을 머리에 뿔이 난 도깨비로 생각했고 그렇게 봐 왔다.

지금 생각하면 그때의 통일은 관념상의 도깨비였고 필자도 도깨비였던 셈이다.

통일을 위해 자료를 수집하려 동북 삼성을 30여 차례 방문하며 유랑했던 시절에 심양 서탑의 뒷골목에서 윗동네 처자를 만난 적이 있다. 그리고 그 때 깨달았다. 아! 윗동네 사람도 사람이구나!

머리에 뿔난 도깨비가 아니고 한 핏줄을 이어받은 같은 민족임을 깨달았다. 필자보다도 더 부모를 생각하고, 필자보다도 더 형제를 생각했다. 필자도 가족이 소중하다고 생각했지만, 형제를 위해 목숨을 건다고는 자신할 수가 없었는데 그는 부모 형제를 위해 목숨을 걸고 강을 건넜고, 중국 공안에 잡힐 것을 걱정하면서도 식당에서 설거지를 하면서 웃고 있었다. 그는 도깨비가 아니었고 진짜 사람이었다

그때부터 통일에 대한 필자의 관념도 실질적으로 바뀌었고 윗동네 사람들이 무섭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들은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12월 3일 도깨비가 여의도에 출현했다. 꿈속의 도깨비가 아니었고 TV카메라에 잡힌 도깨비였다.

그리고 그 날부터 윗동네에서 보내던 오물 풍선이 사라졌다. 괜히 시비를 걸었다가 한 대 맞을까 봐 무서웠기 때문이 아닐까? 사실 오물이라고 부르기도 애매하다. 2013년 윗 동네 사람의 친구가 전해준 북한 문건 여섯 건을 연길에서 받았다. 평양출판사에서 인쇄하고 노동당에서 발간한 핵심 당원 교육용 문건이었다. 북한 권력층의 세대교체를 위한 교육문건이었다. 필자가 놀란 것은 그 종이의 질이었다. 필자가 초등학생 때 쓰던 그런 시커먼 종이였다. 북한의 중앙당에서 발간한 문서의 질이 그렇다면 다른 것은 볼 것도 없고 그 때 윗 동네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알 수 있었다. 지금 우리가 오물 풍선이라고 부르는 풍선속의 종이는 윗 동네 사람들에게는 정말 소중한 종이를 모아서 보내는 것이니까.

연길 서 시장 안 콩나물 국밥집에서 친구의 친구와 밥을 먹으며 소주 한 잔 하면서 물었다.

‘이만갑’에 출연한 탈북자들의 말을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그 때 윗동네 정부의 과장급 친구가 말했다.

"먹고 살려고 그러는 걸 뭘 어케 해, 지들도 먹고 살려고 그러는 걸”. 그러더니 한마디 덧붙였다.

“그러나 근거없는 말로 최고 존엄을 모욕하는 건 언젠가는 대가를 치를 거야"라고 말했다

그리고 한 마디 더했다.

"비판하더라도 팩트를 가지고 비판하는 건 가슴 아파도 받아 들일 수 밖에 없어. 비판을 하더라도 예의는 지켜야지,친구야."

필자도 거기에는 공감할 수밖에 없었다.

정치 목적의 회담이 아니었고 친구의 생일 날 만난 친구였기 때문에 가슴에 담아둬야 했다.

필자는 그렇게 윗동네 친구들한테 많은 비판을 했다. 친구는 받아들일 건 받아들이고 때로는 화도 냈지만 아직도 그리운 술 친구다.

아랫동네에서도 윗동네로 풍선을 보낸다.

그 중에는 진정으로 윗동네 사람들을 위한 풍선도 있지만 때로는 도를 넘어서는 내용의 풍선도 있다.

그때마다 윗동네에서 오물풍선이라고 불리는 도깨비가 날아온다.

그걸 보내는 윗동네 사람들의 심리는 "니들도 당해봐라, 얼마나 귀찮은지."

윗동네를 조금은 이해하는 필자가 볼 때 그런 맘일 거라고 생각한다.

도깨비는 한반도 어디에나 있다. 윗동네도, 아랫동네에도.

이제 우리는 성숙해졌다. 세계 최고의 시민들이라고 필자는 확신한다. 그런 현명한 시민들이니 이제는 사람을 도깨비로 보는 관념을 깨야 한다고 본다. 도깨비는 도깨비 눈에만 보인다(참고로 그 때 받은 중앙당 문건은 우리 정부 비밀 경로로 전달해 줬다).

정종한(국가미래전략아카데미 상임대표.선진통일건국연합 대전시회장. 통일시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2.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3.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4.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5. 어기구 의원, ‘K-스틸법’ 후속 국가재정법 개정안 대표 발의
  1. 양상추 가격 급등 현상에 대전 소상공인도 직격탄... 높아진 가격에 한숨만
  2. '사건 25%↑' 대전경찰, 우수부서 찾아 시상…서부署·중부署 등
  3.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4. 대전상의-국정원 '기업 기술유출 예방 설명회' 개최
  5. 설동호 교육감 시정연설 "모두 균등한 기회 누리는 든든한 대전교육 만들 것"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집값 `온도차`… 대전·충남은 감소, 세종·충북은 상승

충청권 집값 '온도차'… 대전·충남은 감소, 세종·충북은 상승

충청권 부동산 가격이 지역별로 뚜렷한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대전과 충남 집값은 여전히 하락세를 이어간 반면, 세종은 오름폭을 키우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충북은 보합에서 상승으로 전환했다. 2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셋째 주(1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매매가격은 0.07% 올랐다. 전주(0.06%)보다 0.01%포인트 오른 수치인데, 서울과 수도권, 지방 모두 상승했다는 분석이다. 충청권에선 대전의 집값은 0.02% 내렸다. 올해 들어 꾸준한 하락세를 보이며 누적 하락률이 2.11%를 기록했..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국회 패스트트랙(Fast Track: 신속처리안건) 충돌 사건으로 기소된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에게 유죄가 선고됐다. 당시 대표였던 황교안 전 국무총리와 원내대표였던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한 자유한국당 인사들도 마찬가지다. 서울남부지법 형사합의 11부(장찬 부장판사)는 19일 오후 2시 특수공무집행방해와 국회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된 황교안 전 총리와 나경원 의원, 이장우 시장과 김태흠 지사 등 26명에 대한 선고 공판에서 유죄를 인정하고 벌금형을 선고했다. 나 의원은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벌금 2000만원,..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사상 첫 직선제로 이사장을 선출한 대전 대덕구 법동 으뜸새마을금고가 불법 선거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대해 수사를 벌인 경찰은 최근 사전 선거 운동 혐의 등으로 올해 7월 당선된 이사장 A씨를 검찰에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20일 경찰과 법조계에 따르면 올해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이사장에 선출된 A씨는 공식 선거 운동 예정일 전부터 실질적인 선거유세를 펼쳤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는 2021년 제6대 선거까지 간선제로 진행됐지만, 올해 치러진 제7대 선거는 금고 설립 이후 처음으로 전체 회원이 투표에 참여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