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츠러든 충청권 상장사…1년 간 시가총액 10조 원 감소

  • 경제/과학
  • 금융/증권

움츠러든 충청권 상장사…1년 간 시가총액 10조 원 감소

지난해 상장법인 수 14곳 늘었지만
거래대금 및 시가총액 규모는 감소

  • 승인 2025-01-30 17:11
  • 신문게재 2025-01-31 6면
  • 심효준 기자심효준 기자
12월
2024년 11월~12월 말 기준 충청권 상장법인 시가총액.(자료=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 제공)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이 지난 일 년 동안 10조 원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에 따르면 2024년 1월 말 기준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35조 8476억 원에 달했지만, 12월 말에는 125조 7561억 원까지 내려앉았다. 한 해 동안 충청권에서만 약 10조 원의 시총이 증발한 것이다.

시총의 감소는 지난해 침체를 겪은 2차전지 관련 기업이 다수 분포한 충북에서 두드러졌다. 2024년 1월 말 기준 충북지역 소재 상장법인의 시총은 65조 7128억 원의 규모를 자랑했지만, 12월에는 41조 1937억 원까지 떨어지면서다.

특히 2차전지 업종의 대표 주자인 에코프로비엠의 시총은 1월 말엔 20조 8806억 원에 달했으나 12월 말엔 10조 7000억 원까지 하락했다. 이와 함께 에코프로는 13조 3671억 원에서 7조 7000억 원, 코스모신소재는 4조 3337억 원에서 1조 7000억 원까지 하락했다.



1월
2024년 1월~2월 말 기준 충청권 상장법인 시가총액.(자료=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 제공)
같은 기간 대전·세종·충남지역 소재 상장법인의 시총은 바이오 업종의 성장세에 힘입어 70조 1348억 원에서 84조 5623억 원까지 늘어났다.

성장세가 두드러진 기업은 대전 소재 바이오 기업인 알테오젠이다. 지난해 1월 말 기준 4조 978억 원에 불과했던 알테오젠의 시총은 12월 말 기준으로 16조 5000억 원까지 성장했기 때문이다.

244곳이었던 충청권 상장법인 수는 한 해 동안 14곳이 늘어나 258곳이 됐다. 전체 상장법인(2607사)의 9.9%에 달하는 규모이며 유가증권시장에 등록된 곳은 54곳,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곳은 204곳이다. 이 기간 대전·세종·충남에서만 11곳이 코스닥에 신규 상장했다.

정치적 불안의 지속과 무안공항에서의 제주항공 참사 등의 여파가 지속하면서 충청권 투자자의 거래대금도 줄었다. 지난해 1월 말 기준 5조 5106억 원에 달했던 충청권 투자자의 거래대금은 12월 말에 3조 4136억 원까지 감소했다. 시장 전체 투자자의 거래대금 대비 충청권 투자자의 거래대금 비중은 0.91%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는 "12월 초 코스피는 계엄령 선포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되는 가운데 하락하며 연저점(2360.58)을 경신했다가 이후 연기금 중심 저가매수세가 유입되며 낙폭을 일부 회복했다"며 "수급특징으로는 기관의 4개월 연속 순매수(+3조 4677억 원)와 외국인의 다섯 달 연속 순매도(-3조 438억 원)가 두드러진다"고 분석했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일과 중 가방 메고 나간 아이들, 대전 유치원서 아동학대 의혹
  2.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이장우 "0시축제 3대하천 준설…미래위해 할일 해야"
  5.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3.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4. 1년치 단순통계 탓에 400여개 환자병상 사라질판…"현저한 의료격차 만들어"
  5.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헤드라인 뉴스


대전도시철도 무임손실 지난해 125억… 정부, 국비요청 묵묵부답

대전도시철도 무임손실 지난해 125억… 정부, 국비요청 묵묵부답

대전을 포함해 전국 도시철도가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액이 매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뒷짐을 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가 정책에 따라 법정 무임승차를 이어오고 있지만, 정부는 수십 년간 요청됐던 국비 보전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어 재정 문제는 지자체와 운영기관이 고스란히 떠안고 있다. 8일 대전을 포함해 전국 6개 교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도시철도운영기관 무임승차 손실액은 7228억 원에 달했다. 대전은 지난해 125억 원으로 4년 전(76억 원) 대비 약 64.4%나 늘어난 셈이다. 도시철도 운영기관은 도시철..

올해 수능 55만 4174명 지원… 10명 중 6명이 `사탐런` 최대변수
올해 수능 55만 4174명 지원… 10명 중 6명이 '사탐런' 최대변수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지원자가 전년보다 3만1504명 늘어나며 55만 명을 넘어섰다. 또 응시자 10명 중 6명은 사회탐구(사탐) 영역을 선택하면서 '사탐런'이 이번 수능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8일 발표한 원서접수 결과에 따르면 올해 수능 응시생은 55만4174명으로 집계됐다. 전년도(52만 2670명)보다 3만1504명 늘었다. 이는 2007년 '황금돼지 해' 출생자가 올해 고3에 진학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번 수능은 고3 재학생이 37만 1897명(67.1%), 졸업생 15만 9922명..

국회에 ‘기념사’ 해명하러 왔다가 혼쭐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국회에 ‘기념사’ 해명하러 왔다가 혼쭐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항일 독립운동 폄훼와 친일 논란을 빚고 있는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이 8일 국회를 찾았다고 혼쭐이 났다. 8·15 광복절 기념사 왜곡과 광복회원 농성의 부당성 등에 대해 입장을 밝혔지만, 독립운동가 후손과 시민단체의 반발을 사면서 쫓기듯 국회를 벗어날 정도였다. 김 관장은 이날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기자회견은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이 주선했다. 김민전 의원은 12·3 비상계엄 후 올해 1월 ‘윤석열 전 대통령을 지키겠다’며 한남동 공관 앞에서 시위를 벌이며 자신들을 ‘백골단’으로 소개한 ‘반공청년단’의 국회 소통관 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