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경기 속 ‘우뚝’…4대 금융지주 최대 실적 행진

  • 경제/과학
  • 금융/증권

불경기 속 ‘우뚝’…4대 금융지주 최대 실적 행진

시장금리 내리며 이자마진 줄었지만, 대출 늘어나
4대 금융 이자 이익 통해 순이익 역대 최대 수치 달성
전국 영업점 축소 및 통합 추진으로 비용 더 절감할 듯

  • 승인 2025-02-09 11:47
  • 수정 2025-02-09 11:53
  • 심효준 기자심효준 기자
PYH2024122310740001300_P4
(사진=연합뉴스)
국내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가 지난해 많게는 5조 원이 넘는 순이익을 기록하면서 사상 최대 실적을 갱신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지주는 지난해 5조 782억 원의 당기 순이익을 냈다. 2023년(4조 5948억 원)보다 10.5% 늘면서 국내 금융지주 중 최초로 5조 원 시대를 열었다.

다음으로 높은 이익을 낸 건 신한금융지주다. 신한금융은 지난해 당기순이익을 4조 5175억 원까지 끌어올렸다. 2023년(4조 3680억 원)보다 3.4% 늘어난 수치다.

하나금융지주도 역대 최대 실적을 갱신했다. 하나금융의 지난해 순이익은 3조 7388억 원으로, 전년(3조 4217억 원)보다 9.3% 올랐다. 같은 기간 우리금융은 2023년(2조 5063억 원)보다 23.1% 급증한 3조 860억 원의 순이익을 달성했다. 4대 금융의 지난해 순이익은 16조 4205억 원으로, 전년(14조 8908억 원)보다 10.3% 불었다.



금융지주의 실적을 끌어올린 건 이자이익이다. 4대 금융지주가 지난해 거둬들인 이자이익은 41조 8763억 원으로, 2023년(40조 6208억 원) 대비 1조 2555억 원(3.1%) 증가했다.

금융지주별로 보면 KB금융의 이자이익(12조 8267억 원)은 전년보다 5.3%, 신한금융(11조 423억 원)은 5.4%, 우리금융(8조 8860억 원)은 1.6% 늘었다. 하나금융(8조 7610억 원)만 홀로 전년보다 1.3% 감소했다.

시장금리 인하로 인한 이자 마진 감소에도 불구하고 대출 증가가 수익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서울과 수도의 매매가 늘어나면서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했고, 기업 차원의 대출 수요도 꾸준히 늘면서다.

KB국민은행의 원화 대출은 2023년 말 342조 원에서 지난해 말 364조 원으로 6.4% 증가했다. 이와 함께 신한은행은 320조 2233억 원, 하나은행은 302조 1890억 원, 우리은행은 302조 1000억 원으로 원화 대출금이 1년 사이 각각 10.3%, 4.0%, 6.3%씩 올랐다.

이자이익으로 수익성을 크게 개선한 금융지주는 오프라인 영업점 축소로 비용 절감에 나선다. KB국민은행은 다음 달 대전 둔산크로바점을 포함한 전국 28개 영업점을 폐쇄하고 인근 영업점과 통합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도 영업점 축소에 나서면서, 2023년 말 대비 올해 3월 말 기준 137개의 지점이 사라질 예정이다. 은행별 예상 영업점 증감 규모는 ▲ KB국민은행 -25개 ▲ 신한은행 -29개 ▲ 하나은행 +5개 ▲ 우리은행 -52개 ▲ NH농협은행 -36개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일과 중 가방 메고 나간 아이들, 대전 유치원서 아동학대 의혹
  2.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이장우 "0시축제 3대하천 준설…미래위해 할일 해야"
  5.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3.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4. 1년치 단순통계 탓에 400여개 환자병상 사라질판…"현저한 의료격차 만들어"
  5.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헤드라인 뉴스


대전도시철도 무임손실 지난해 125억… 정부, 국비요청 묵묵부답

대전도시철도 무임손실 지난해 125억… 정부, 국비요청 묵묵부답

대전을 포함해 전국 도시철도가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액이 매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뒷짐을 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가 정책에 따라 법정 무임승차를 이어오고 있지만, 정부는 수십 년간 요청됐던 국비 보전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어 재정 문제는 지자체와 운영기관이 고스란히 떠안고 있다. 8일 대전을 포함해 전국 6개 교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도시철도운영기관 무임승차 손실액은 7228억 원에 달했다. 대전은 지난해 125억 원으로 4년 전(76억 원) 대비 약 64.4%나 늘어난 셈이다. 도시철도 운영기관은 도시철..

올해 수능 55만 4174명 지원… 10명 중 6명이 `사탐런` 최대변수
올해 수능 55만 4174명 지원… 10명 중 6명이 '사탐런' 최대변수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지원자가 전년보다 3만1504명 늘어나며 55만 명을 넘어섰다. 또 응시자 10명 중 6명은 사회탐구(사탐) 영역을 선택하면서 '사탐런'이 이번 수능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8일 발표한 원서접수 결과에 따르면 올해 수능 응시생은 55만4174명으로 집계됐다. 전년도(52만 2670명)보다 3만1504명 늘었다. 이는 2007년 '황금돼지 해' 출생자가 올해 고3에 진학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번 수능은 고3 재학생이 37만 1897명(67.1%), 졸업생 15만 9922명..

국회에 ‘기념사’ 해명하러 왔다가 혼쭐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국회에 ‘기념사’ 해명하러 왔다가 혼쭐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항일 독립운동 폄훼와 친일 논란을 빚고 있는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이 8일 국회를 찾았다고 혼쭐이 났다. 8·15 광복절 기념사 왜곡과 광복회원 농성의 부당성 등에 대해 입장을 밝혔지만, 독립운동가 후손과 시민단체의 반발을 사면서 쫓기듯 국회를 벗어날 정도였다. 김 관장은 이날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기자회견은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이 주선했다. 김민전 의원은 12·3 비상계엄 후 올해 1월 ‘윤석열 전 대통령을 지키겠다’며 한남동 공관 앞에서 시위를 벌이며 자신들을 ‘백골단’으로 소개한 ‘반공청년단’의 국회 소통관 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