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대선 가능성에 무분별한 여론조사 보도 쏟아져

  • 사람들
  • 뉴스

조기 대선 가능성에 무분별한 여론조사 보도 쏟아져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오차범위 내 지지도 수치 놓고 수치 나열하거나 순위 매겨 불공정 보도로 여론 왜곡 우려 기사 135건 무더기 '주의'

  • 승인 2025-02-18 15:29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비상계엄 사태 이후 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지면서 정치 관련 여론조사 보도가 쏟아지고 있다.

그러나 여론조사 결과 보도의 상당수가 여론조사 보도의 일반 원칙을 제대로 지키지 않은 채 무분별하게 이뤄지고 많은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한국신문윤리위원회는 2025년 2월 제994차 회의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왜곡 보도한 일간 신문 기사 34건, 온라인 신문 기사 101건 등 모두 135건에 대해 무더기 제재 결정을 내려 '주의' 조처했다. 제재 이유는 신문윤리강령 제4조「보도와 평론」, 신문윤리실천요강 제3조「보도준칙」전문, 선거여론조사보도준칙 제16조「오차범위 내 결과의 보도」위반이다.

신문윤리위는 이들 기사가 "여론조사 결과를 왜곡함으로써 공정보도의 기본 원칙을 위배했고, 이로 인해 민의를 왜곡할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선거여론조사 보도에서 가장 흔하게 저지르는 잘못은 오차범위 내 수치를 강조하는 것이다. 오차범위 내 여론조사 결과를 자의적으로 해석해 제목과 본문에서 오차범위내 수치를 단순 나열하거나 순위를 매기고 서열화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여론을 잘못 인식하게 할 우려가 있다.

한국갤럽의 정당지지도 조사(1월 14~16일. 1001명. 휴대전화 가상번호 전화면접. 응답률 16.3%.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 ±3.1%p)에서 국민의힘 39% , 민주당 36% ,무당층 17%로 나타났다. 국민의힘과 민주당의 정당지지도 차이는 3%로, 오차범위 안에 있다.

그러나 기사들은 제목에「국민의힘 39% ,민주당 36%」등으로 오차범위 내에 있는 정당 지지도 수치를 단순 나열하거나 '역전' 등의 표현을 썼고, 본문에서도 "국민의힘이 더불어민주당을 오차범위 이내에서 앞섰다"고 적었다.

여론조사 업체 '조원씨앤아이'의 조사에서 '조기 대선에서 이재명 대표와 김문수 장관 중 누구를 뽑을 것이냐'는 질문에 김 장관 지지율은 46.4%, 이 대표는 41.8%로 나왔다. 두 사람의 지지율 차이는 4.6%포인트로 오차 범위(±3.1%포인트) 안에 있다.

이에 대해 기사들은 제목을 '김 장관이 이 대표를 앞질렀다'는 내용으로 뽑고 본문에서도 "김 장관이 앞섰다"고 썼다.

후보자나 정당의 지지율 등이 오차범위 내에 있는 경우 실제로는 뒤바뀔 수 있다는 게 통계학적 해석이다. 따라서 표본오차를 감안하지 않고 제목과 본문에 '1, 2위를 차지했다'거나 '오차범위 내에서 앞섰다' 등의 표현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 아무런 설명 없이 기사 제목에 지지도 또는 선호도 수치를 나열하는 것은 독자들로 하여금 우열이 확정된 것처럼 인식하게 할 수 있다.

선거여론조사 보도는 선거여론 형성에 영향을 주고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여론조사의 의미와 한계 등을 충분히 고려해 최대한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 여론조사 결과를 언론이 자의적으로 해석해서 보도하면 여론조사 결과가 왜곡될 위험성이 크고, 결과적으로 민의를 왜곡해 선거의 공정을 해칠 우려가 있다. 이는 언론의 정확성, 객관성, 신뢰성과 직결된 문제이기도 하다.

한국갤럽조사연구소 관계자는 "표본오차보다 훨씬 작은 변동에 대한 의미 부여는 해석이 아니라 허구(虛構)"라면서 "일부 언론이나 인사들이 표본을 통한 여론조사의 한계를 완전히 무시한 채, 단 0.1%포인트 차이도 국민 여론의 변화로 보고 그 원인을 해석한다"고 경계한다.

언론단체와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여론조사 보도를 할 때 '신문윤리강령'과 언론 5단체가 제정한 '선거여론조사보도준칙'을 충분히 숙지하고 보도해 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신문윤리강령 제4조「보도와 평론」은 사실의 전모를 정확하고,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보도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신문윤리실천요강 제3조「보도준칙」②(공정보도)는 '경합 중인 사안을 보도할 때 한 쪽의 주장을 편파적으로 보도하지 않는다. 여론조사 등을 바탕으로 보도할 때는 조사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를 분명히 밝혀야 하며, 통계를 왜곡해서는 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선거여론조사보도준칙' 제16조「오차범위 내 결과의 보도」는 '지지율 또는 선호도가 오차범위 안에 있을 경우 순위를 매기거나 서열화하지 않고 ‘경합’또는 ‘오차범위 내에 있다'고 보도한다'며 '수치만을 나열하여 제목을 선정하지 않는다'고 규정했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현충원 하이패스 IC' 재추진 시동…타당성 조사 연말 완료
  2. "석식 재개하라" 둔산여고 14일부터 조리원 파업 돌입… 4~5개교 확산 조짐
  3. "캄보디아 간 30대 오빠 연락두절 실종" 대전서도 경찰 수사 착수
  4. "대법원 세종으로 이전하자" 국감서 전격 공론화
  5.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1. '오늘도 비' 장마같은 가을 농작물 작황 피해… 벼 깨씨무늬병 농업재해 조사
  2. 추석 지난지가 언젠데…
  3. 세종시 '버스정류장' 냉온열 의자 효율성 있나
  4. 가을비 머금은 화단
  5.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내년 지방선거 앞 존재감 경쟁

헤드라인 뉴스


LH `전관 카르텔` 여전… 퇴직자 483명 1년간 8096억원 수주

LH '전관 카르텔' 여전… 퇴직자 483명 1년간 8096억원 수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출신 퇴직자들이 관련 업계에 취업해 사업을 수주하는 '전관 카르텔'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이 지난 1년간 수주한 사업 금액의 규모는 8096억 원에 달한다. 1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정준호 의원이 LH 퇴직자 현황 시스템을 전수조사한 결과, 지난해 10월 이후 LH 사업을 수주한 업체 91곳에 LH 출신 퇴직자 483명이 근무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해당 업체들이 1년간 수주한 사업은 355건, 수주액은 8096억 원이다. LH는 2009년 출범 이래 지금까지 4700명이 퇴직했다. 연평..

문체부, 尹 체포영장 발부·집행 시기 국힘 지도부에 설 선물 왜?
문체부, 尹 체포영장 발부·집행 시기 국힘 지도부에 설 선물 왜?

윤석열 정부 문화체육관광부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발부와 집행 시기인 올해 1월 국민의힘 지도부에게 설 명절 선물을 발송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정 정당 지도부에게 보낸 건 이례적인 데다, 당시는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과 그에 따른 서부지법 폭동 등 상당히 민감한 시기였다는 점에서 내란 옹호 논란을 자초한 꼴이 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의원(충남 공주·부여·청양)이 문체부로부터 제출받은 '명절 선물 발송 현황' 자료에 따르면, 유인촌 장관이 이끌던 문체부는 2025년 1월 설 연휴를 맞아 국민의힘..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전국체전을 앞둔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훈련장에는 뜨거운 열기가 감돈다. 체육관 바닥을 때리는 육중한 바벨의 굉음 속에도 선수들의 눈빛은 흔들림이 없다. 이들의 목표는 '대전의 힘'으로 금메달을 들어 올리는 것이다. 그 중심에는 대전체고와 한국체대를 거쳐 성장한 전해준 선수와 꾸준한 성적으로 대전 역도의 저력을 이끄는 한지안 선수가 있다. 대전체고와 한국체육대학을 졸업한 전해준(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선수는 고교 시절 제100회 전국체전 역도 인상 부분 금메달을 목에 걸며 유망주로 성장했다. 대학 진학 후 한동안 부상과 재활을 거듭하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 가을비 머금은 화단 가을비 머금은 화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