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창형 청년창업농 스마트팜 기공식/고창군 제공 |
8일 고창군에 따르면 청년층 인구유출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주거 불안정이다. 고창군은 지방소멸대응기금 초기 투자 단계부터 이를 핵심 과제로 설정하고,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한 실질적인 정주 기반 마련에 집중해왔다. 대표 사례인 '신혼부부 및 청년 창업 농 보금자리 조성사업'은 쇠퇴한 터미널을 청년문화복합공간으로 탈바꿈하는 '터미널 도시재생혁신지구 국가시범사업'과 연계하여 약 200호 규모의 임대주택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단순한 주택 공급을 넘어 청년의 생활과 미래가 공존하는 주거 생태계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또한, 고창 신활력 산단 내 청년 근로자 전용주택도 조성될 예정이다. 산단 입주기업 근로자들을 비롯해 중소기업 종사자, 청년 창업 인을 대상으로 공급되며, 인근 시세 대비 저렴한 임대료로 제공될 예정이다. 산업단지와 주거지를 유기적으로 연계함으로써 청년 인구 유입은 물론 기업의 투자와 입주를 유도하는 핵심 인프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 |
고창군 청년농업인 스마트팜단지 조감도/고창군 제공 |
성송면 일대 부지에 스마트 형 연동형 단동형 3종의 온실과 지원센터를 구축하고, 12개 팀의 청년농에게 임대하는 구조로 운영될 예정이다. 여기에 고창군 농업기술센터와 연계한 재배기술 교육, 유통네트워크 지원까지 더해져, 단순한 체험 중심의 농업이 아닌 실질적인 창업 기반과 기술 역량을 갖춘 전문농업인 양성 플랫폼으로 자리 잡게 된다.
![]() |
전북 고창군 서남부권 어울림문화공간 조성사업 기공식./고창군 제공 |
공연, 전시, 창작 활동 등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경험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지역 청년들의 문화 접근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청소년과 청년들이 지역 내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 제공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지난해 봄 밸리 곰과 가을 버스킹으로 큰 인기를 끌었던 '고창 꽃정원 프로젝트'도 지역의 문화 정주 여건을 높이는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도시의 품격과 삶의 질, 미래경쟁력을 단번에 보여주는 바로미터(지표)가 바로 도시 속 녹지공간, 정원이다.
![]() |
고창군 고창꽃정원./고창군 제공 |
![]() |
고창군 꽃정원단지./고창군 제공 |
앞으로도 고창군은 지방소멸대응기금을 청년들이 실제로 살아가고 머무를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주거와 일자리는 물론, 농업과 문화, 관광까지 아우르는 다양한 분야에서 청년이 지역 안에서 미래를 그릴 수 있도록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다.
심덕섭 고창군수는 "지방소멸은 막아내기 위해선 지역의 고유한 자원과 문화, 사람을 결합해 외부 변화에 흔들리지 않는 자립기반을 만드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으로 물음표(?)를 느낌표(!)로 바꿔내겠다. 많은 이들의 애정어린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고창=전경열 기자 jgy36712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