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첫 날인 29일 대전시청 1층 전시실에 마련된 사전투표소에서 시민들이 투표를 하고 있다. [사진=이성희 기자] |
이번 대선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치러지는 궐위 선거로, 4월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과 동시에 열린 초단기 대선 레이스가 지금까지 숨 가쁘게 이어졌다.
60일의 짧은 기간 동안 각 정당과 후보들은 총력전을 펼쳤다. 특히 전통적 캐스팅보터 지역이자, 역대 선거마다 승패를 결정지은 금강벨트 표심을 초반부터 집중적으로 공략했다.
그 결과, 충청의 숙원인 행정수도 완성을 비롯한 첨단산업벨트 구축과 주요 공공기관 이전, 관광벨트 조성 등 지역발전과 직결하는 다양한 현안들이 대선 과정에서 이슈화 또는 공약에 반영돼 지역 차원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무엇보다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집무실 건설에 각 당과 후보들이 이견 없이 한목소리를 냈다는 점이 의미가 깊다. 세종이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서 기능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고, 충청을 국가균형발전 중심지로 주목하고 있다는 방증이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대덕연구개발특구의 글로벌과학기술 혁신클러스터 전환, 핵융합 에너지 클러스터 구축, 충청권 광역철도(CTX) 조기 완공, 대청호 환경규제 완화 등 충청의 과학기술 역량과 교통·지리 인프라를 획기적으로 확충하는 공약들도 지역으로선 반가운 소식이다.
판세는 '1강 1중 1약' 흐름 속 새로운 여론조사 결과 공표를 금지하는 '깜깜이' 기간에 돌입해 속단할 수 없다. 각 정당 충청진영의 판단은 각기 다르다. 더불어민주당은 우위 굳히기, 국민의힘은 막판 뒤집기, 개혁신당은 맹추격, 민주노동당은 선전을 자신하고 있다.
앞선 29~30일 진행된 사전투표를 놓고도 계산은 다르다. 전국 사전투표율은 34.74%를 기록했는데, 충청의 경우 대전 33.88%, 세종 41.16%, 충남 32.38%, 충북 35.98%로 조사됐다. 각자 지지층의 결집이 이뤄졌다고 주장하지만, 본투표까지 표심의 흐름을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각 당과 대선 후보들은 대선 전 마지막 주말에도 충청공략에 박차를 가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5월 31일 청주, 세종, 대전에서 집중유세를 벌이며 충청의 선택을 호소했다.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는 같은 날 충남 서천, 서산, 태안을 돌며 유권자들과 직접 소통을 강화했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2일 대전에서 총괄 거점 유세에 나선다.
대선 당일인 3일 본 투표는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지정된 투표소에서 할 수 있다. 충청에선 대전 363곳, 세종 86곳, 충남 756곳, 충북 496곳의 투표소가 마련됐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