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한 대표, ‘도심형 스마트팜 딸기 식물공장’ 성공 화제

  • 전국
  • 논산시

김재한 대표, ‘도심형 스마트팜 딸기 식물공장’ 성공 화제

국내 8개 식물공장 중 세 번째 시작, 국내 최고 기술력 확보
100평 규모 하우스 1동, 연 소득 무려 2억5000만 원
작목반 10 농가 구성 통해 여름딸기 수출 목표!

  • 승인 2025-06-24 10:19
  • 수정 2025-06-25 13:43
  • 신문게재 2025-06-25 14면
  • 장병일 기자장병일 기자
IMG_9158
전국 최초로 2016년 9월부터 딸기의 왕이라 불리는 킹스베리를 재배해 딸기 청년으로 잘 알려진 논산 부적면 출신 김재한 ㈜가온스마트건설 기술이사 겸 비스마트팜 대표(44)가 ‘도심형 스마트팜 딸기 식물공장’을 성공시켜 화제다.

김 대표는 국내 8개 딸기 식물공장 중 네 번째로 시작해 지금은 단연 최고의 위치에 있다.

식물공장의 전망은 매우 좋다. 현재 다른 식물공장은 연간 평균 한 포기당 500~600g이 최대 생산인데, 김 대표는 연간 1.5Kg 이상 생산이 가능해 주위를 놀라게 하고 있다.

KakaoTalk_20250620_185417399
이는 딸기 식물공장 컨설팅과 재배기술지원 국내 유일인 ㈜가온스마트건설은 설계와 시공을 담당하고 있고, 비스마트팜은 제어운용시스템과 재배기술 분야에서 국내 최고 기술력을 자랑하고 있기 때문이다.



식물공장의 성공조건은 ▲식물공장 설계시스템 정확하게 숙지 ▲딸기재배 전문가 ▲환경제어시스템 운용기술 등을 갖춰야 한다.

실제 소프트웨어나 설비 엔지니어들이 이 사업을 하려 했지만, 딸기재배에 대한 경험이 없어 실패하고 있다.

KakaoTalk_20250620_185627177_04
대부분의 딸기는 3월까지 수확이 가능하지만, 식물공장은 7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8개월간 수확할 수 있어 엄청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김 대표가 생산하는 킹스베리 20~39g은 1Kg 5만원, 60~80g은 1Kg 13만~15만 원으로 판매된다.

보통 하우스 1동이 100평 규모인데 월 700~800Kg 생산할 수 있어 연 소득은 무려 2억5000만 원에 이른다.

유지관리비(전기요금) 월 200만 원, 양액비료비, 가스비, 인건비 등 연 총 6000만 원이 지출된 다 해도 순수입은 1억 9000만 원으로 고소득이 보장된다.

여기에다 처음 식물공장을 시작할 때 전체 설비 비용은 3억 정도 드는데 3년 차부터 투자 대비 순소득이 발생해 최고의 사업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KakaoTalk_20250620_185627177_07
식물공장의 경우 비닐하우스와 샌드위치 패널 방식으로 설비를 구성하는데 비닐하우스의 경우 3중 구조여서 시공비용이 저렴하고 안정적이다. 반면에 샌드위치 패널은 건축비만 2억 2000만원이고, 내부설비 포함하면 총 5억~6억원이 들어간다.

비닐하우스 방식으로 식물공장을 운영하는 김 대표는 논산의 경우 김제 h사, 연산식물공장(옛 오토팜)과 논산시 가야곡면 에파코케어팜 3군데 시설을 직접 설비를 구축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KakaoTalk_20250620_140923476
국내의 경우 3월부터는 딸기 수출이 중단되는 상황이다. 반면에 식물공장의 경우 3월 이후에도 아무런 문제 없이 수출할 수 있어 작목반 구성이 시급한 실정이다.

보통 1회 수출 시 800Kg의 생산량이 필요하다. 한국은 항상 일본에 딸기 수출 1위 자리를 빼앗기도 있는데 작목반 10 농가를 구성하면, 해외시장 개척과 함께 기존 일본 딸기를 거래하는 나라가 3개월만 생산되는 일본 딸기보다 1년 내내 수출이 가능한 한국딸기를 선호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루빨리 작목반을 구성해 해외 고급 매장 납품과 함께 새로운 수출판로를 모색해 대한민국의 딸기가 전 세계 수출 1위를 달성하겠다는 야심 찬 계획을 이루기 위해 김 대표는 오늘도 식물공장에서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논산=장병일 기자 jang3921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구도동 식품공장서 화재…통영대전고속도로 검은연기
  2. 대전 신탄진역 유흥가 '아가씨 간판' 배후 있나? 업소마다 '천편일률'
  3.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어디서든 걸을 수 있는 환경 만들겠다"
  4. 728조 예산전쟁 돌입…충청 與野 대표 역할론 촉각
  5.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자연과 함께 일상 속 피로 내려놓길"
  1.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가을 도심 산행의 매력 흠뻑
  2. [오늘과내일] 대전시의회, 거수기 비판을 넘어설 마지막 기회
  3.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구봉산에 물든 가을, 함께 걷는 행복"
  4. [월요논단] 새로운 관문, 유성복합터미널이 대전을 바꾼다.
  5. 유성복합터미널 공동운영사 막판 협상 단계…서남부터미널·금호고속 컨소시엄

헤드라인 뉴스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 선정될까… 국토부 종합계획 반영 목표 사활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 선정될까… 국토부 종합계획 반영 목표 사활

국토교통부가 2월 철도 지하화 선도지구를 지정한 데 이어 12월 추가 지하화 노선을 발표할 예정이어서 대전역 철도입체화 사업이 추가 반영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앞서 국토부 선도지구에 대전이 준비한 두 사업 중 대전 조차장 철도입체화 사업(약 38만㎡)만 선정됐지만, 이번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에는 이재명 대통령의 철도 지하화 대선 공약과 해당 지역 개발 여건 강화 등으로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12만㎡)이 반영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해 1월 '철도 지하화 및 통합개발 특별법'을 제정한..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늦가을 찬바람이 부는 11월의 첫날 쌀쌀한 날씨 속에도 캠핑을 향한 열정은 막을 수 없었다. 중부권 대표 캠핑 축제 '2025 꿀잼대전 힐링캠프'가 캠핑 가족들의 호응을 받으며 진행됐다. 올해 두 번째로 열린 꿀잼대전 힐링캠프는 대전시와 중도일보가 공동 주최·주관한 이벤트로 1~2일 양일간 대전 동구 상소오토캠핑장에서 열렸다. 이번 캠핑 역시 전국의 수많은 캠핑 가족들이 참여하면서 참가신청 1시간 만에 마감되는 등 경쟁이 치열했다. 행운을 잡은 40팀 250여 명의 가족들은 대전지역 관광명소와 전통시장을 돌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이재명 대통령, 4일 `2026년 728조 정부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
이재명 대통령, 4일 '2026년 728조 정부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국회를 찾아 2026년 정부 예산안 편성 방향을 직접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한다. 이 대통령은 국회의 예산안 심사 개시에 맞춰 이날 국회 본회의장에서 시정연설을 통해 예산안 편성의 당위성 등을 설명한 후 국회의 원활한 협조를 구할 예정이다. 정부는 앞서 8월 29일 전년도(673조 원) 대비 8.1% 증가한 728조원 규모의 2026년도 슈퍼 예산안 편성 결과를 발표했다. 총지출 증가율(8.1%)은 2022년도 예산안(8.9%)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며, 경제 성장을 위한 인공지능(AI)과 연구·개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