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준병 국회의원 |
이날 열린 국회 세미나는 윤준병 의원을 비롯해 윤준병·이원택·신영대·박지혜·김소희 의원 및 한국 농어촌공사·한국수력원자력·에너지경제신문이 공동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농림축산식품부·전북특별자치도가 후원했다.
윤준병 의원은 토론회 인사말에서 "지난 1991년 새만금 사업이 첫 삽을 뜬 이래, 새만금방조제 준공과 내부 개발을 거치며 국토 확장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추진되어 왔다"고 운을 떼며 "그러나 지난 수십 년간 많은 논란과 갈등 속에서 계획은 여러 차례 수정됐고, 무엇보다 기대와 달리 수질악화와 생태계 파괴, 지역경제 정체라는 심각한 문제들을 초래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어 윤 의원은 "새만금의 환경적·경제적 재도약을 위해서는 새만금 해수유통과 조력발전 도입이 시급하다"며 "한 때 '죽음의 호수'라는 악명을 떨쳤던 시화호의 경우 지난 1997년부터 전면적인 해수유통 및 조력발전을 통해 '생명의 갯벌'로 거듭났던 만큼 새만금도 지속 가능한 미래를 설계하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이에 지난 9일 새만금호를 '새만금 해수호'로 명시하고 상시적 해수유통체계의 기틀을 마련하는 '새만금 해수유통법'을 대표 발의했다"며 "오늘 세미나를 통해 새만금의 해수유통과 조력발전의 당위성을 공유하고, 제도 개선을 추진해 새만금의 수질 개선과 에너지 자립, 그리고 지역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라는 세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 |
새만금 조력발전 추진 당위성 확보 국회세미나에 참석한 윤준병 의원./윤준병 국회의원 사무실 제공 |
손재권 교수는 "새만금 조력발전을 통해 치수 능력확대, 수질 개선 효과, 재생에너지 생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새만금은 다양한 부처와 이해관계가 있는 곳으로 조속한 사업추진을 위한 국고지원방안 마련 필요성 및 국회, 정부, 관련 기관의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진수 교수는 예측 가능한 재생에너지원이며, 환경적 이점과 국내 여건상 어느 정도 경제성 확보가 가능한 조력발전의 장점을 설명하면서 "새만금 조력발전은 시화 조력발전에 비해 경제성이 떨어지지만 여전히 조력발전의 장점과 가능성을 지닌 후보지이므로 재생에너지 확대와 RE100 산업단지 조성 측면에서 사업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과 지원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어진 토론에는 양홍석 국무조정실 새만금사업추진지원단 부단장, 박성우 산업통상자원부 재생에너지산업과장, 이재천 농림축산식품부 농업 기반 과장, 정병수 한국수력원자력 수력 처장, 장상규 한국농어촌공사 기반 사업 처장, 이동호 전북특별자치도 새만금 지원 수질과 수질 개선팀장이 토론자로 나서 열띤 토론을 펼쳤다.
이날 토론회는 윤준병 의원을 비롯한 공동주최 의원과 각계 전문가 및 언론인 등 100여 명이 참석하는 등 새만금 해수유통 및 조력발전 정책에 대한 큰 관심 속에 마무리됐다.
윤준병 국회의원은 오늘 토론회에 앞서 지난 7월 9일 새만금호를 '새만금 해수호'로 전환하여 새만금 해수유통체계를 마련하는 새만금사업 추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일부 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하는 등 새만금의 수질 개선과 에너지 자립 및 지역경제 성장동력 확보에 앞장서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정읍고창=전경열 기자 jgy36712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