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영시 고수온 피해 최소화 총력<제공=통영시> |
국립수산과학원은 지난 7월 29일 진해만 해역 수온이 28℃에 도달하자 고수온 주의보를 발령했고, 8월 1일에는 이를 경남 연안 전역으로 확대했다.
통영시는 고수온 피해 예방을 위해 총 23억 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면역증강제를 어가에 공급하고, 양식수산물 재해보험료 지원을 확대했으며, 올해 고수온 특약 가입은 196건으로 전년 대비 약 7배 증가했다.
또한, 산소발생기·액화산소 용기·산소공급기·차광막 등 대응 장비를 양식장에 긴급 보급하고, 장비의 정상 작동 여부까지 점검을 완료했다.
이상수온 대응사업비와 특별교부세도 확보해 추가 장비 공급을 예고했다.
통영시는 질병검사 및 긴급방류 대응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안전기술원, 수협 등 유관기관과 합동 피해조사반을 구성해 대응 중이며, 스마트양식시스템을 통해 관내 24개소 수온을 실시간 송출하고 있다.
천영기 시장은 "폭염 지속에 따른 수온 상승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어민들에게 밀도 조절과 어망교체, 사료 절식, 액화산소 공급 등 사전 대응을 요청했다.
그러나 반복되는 고수온 현상에 대한 근본 대응은 여전히 구조적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고수온 주의보는 해마다 여름이면 정례화되고 있지만, 대응 방식은 여전히 '장비 지원→재해보험 권장→유관기관 합동대응' 3단 구조에 머무르고 있다.
재해보험 가입률 상승은 고무적이지만, 보상 기준과 보험금 산정 절차가 여전히 까다로워 실제 어민 피해 복구와는 괴리가 있다는 지적도 끊이지 않는다.
특히 굴·멍게 양식의 경우, 고수온 피해가 단기간에 드러나지 않아 보험금 지급 시기와 규모가 현장 수요와 맞지 않는 문제가 지적된다.
장비 보급 또한 일회성에 그치고 있어, 고수온 발생 시기의 정확한 예측과 장기적 방류 전략, 지역별 맞춤 대응 매뉴얼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매해 반복되는 기후재난에, 대응 역시 매년 처음처럼 돌아가고 있다.
바다는 예고 없이 뜨거워지는데, 행정은 여전히 작년 매뉴얼을 꺼내 들고 있다.
통영=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