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중요 사항 (단위: %) 자료=광복회 제공 |
13일 광복회(회장 이종찬)에 따르면, 광복절을 앞두고 독립유공자 후손과 일반 국민 총 1850명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한 결과 후손 78%, 국민 70.9%가 '해방 이후 친일 잔재가 청산되지 않았다'라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친일 반민족 행위자 후손이 사회 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비율은 후손 70.2%, 국민 63.6%로 높았다. 이들의 사회 요직 진출이 '부적절하다'고 본 응답은 후손 85.1%, 국민 71.8%로 조사됐다. 모두 한일관계 개선의 핵심 조건으로는 '일본의 진정성 있는 사과와 반성'을 1순위로 꼽았다.
독립유공자에 대한 보상이 '충분하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후손 12.7%, 국민 16.5%에 불과했다. 반대로 '부족하다'라는 응답은 후손 57.4%, 국민 50.7%로 절반을 넘었다. 독립유공자가 국가행사에서 예우를 받고 있다고 본 이들도 후손 30.5%, 국민 22.2%로 적은 편이었다. 현재 예우 수준이 '적절하다'라는 평가는 후손 17%, 국민 19%에 그쳤고 군인·경찰 유공자 대비 예우 수준이 낮다는 의견도 후손 61.3%, 국민 51.4%로 과반을 차지했다.
![]() |
독립유공자 후손을 위한 필요 지원 정책 (단위: %) 자료=광복회 제공 |
이들이 주로 지원받은 항목은 의료비(69.4%)와 보훈 보상금(67.3%)이었으나, 전반적 지원사업 평가에서 '불만족'이 40.6%로 지원 정책 재검토 필요성도 확인됐다. 후손의 최대 고충은 '적은 연금액'(29.4%)이었고 '연금 승계 단절 우려'(25.1%) 등의 순이었다. 국민은 '사회적 무관심·차별·편견'(28.8%)을 가장 큰 우려로 꼽았다. 독립유공자 후손과 일반 국민 모두 '보훈연금과 지원 대상 확대'를 최우선 정책 과제로 꼽았다.
한편, 이번 조사는 광복회와 광복회 학술원의 의뢰로 ㈜코리아데이터월드가 2025년 8월 1일~7일에 걸쳐 광복회에 소속된 독립유공자 후손 850명과 일반 국민 1000명 등 총 185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표본오차는 독립유공자 후손이 95% 신뢰수준에서 ±3.19%P(유한모집단), 일반 국민이 95% 신뢰수준에서 ±3.09%P(무한모집단)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