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민사회단체, 천안을 경과지로 하는 송전선로 설치 반대

  • 전국
  • 천안시

천안시민사회단체, 천안을 경과지로 하는 송전선로 설치 반대

-호남 생산 전기 수도권 공급을 위한 천안 희생 반대 '목소리'
-천안시민사회단체, "송전선로 건설 계획 철회, 생산지역에 수요 기업 이전하도록 유인해야"

  • 승인 2025-08-18 11:27
  • 정철희 기자정철희 기자
KakaoTalk_20250818_111851948
천안시민사회단체가 18일 천안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으로 열고, 천안을 경과지로 하는 송전선로 설치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호남 생산 전기 수도권 공급을 위해 경과지인 ‘천안’의 희생을 반대하는 지역사회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천안시민사회단체협의회·충남환경운동연합은 18일 천안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천안을 경과지로 하는 군산-북천안, 신계룡-북천안- 북천안-신기흥 송전선로 설치를 반대했다.

이들 단체는 "최근 확정된 제11차 장기송변전설비계획에 따르면 3개의 345kV 송전선로가 건설 예정으로, 천안지역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며 "5월 14일 신계룡-북천안 송전선로 경과 지역인 공주지역의 시의회와 이통장 등 주민들은 사업설명회에 앞서 집회를 열고, 사업 중단과 백지화를 요구했다"고 운을 뗐다.

이어 "이런 송전선로는 호남의 재생에너지에서 생산된 전기를 수도권으로 보내기 위한 선로로, 중간에 끼게 된 천안은 경과지로서 애꿎게 피해만 보는 상황에 부닥치게 됐다"며 "이미 천안은 직산읍 일원 154kV 송전선로와 직산변전소 건설 사업 등으로 심각한 주민피해와 함께 갈등을 겪은 바 있다"고 밝혔다.



또 "재생에너지 생산은 지방에서, 전력 소비는 수도권에서 이뤄지는 방식은 에너지 정의에도 부합하지 않으며, 지역 간 불균형을 심화시킬 수밖에 없어 지속가능성과는 거리가 멀다"며 "이 같은 장거리 송전 방식은 주민 반발을 불러일으켜 각종 민원으로 사업 기간과 비용을 증가시키고 있기에 오히려 재생에너지 확대와 수요기업에 대한 전력공급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송전선로는 필연적으로 자연환경을 훼손하며 전자파와 소음 피해, 지가하락 등으로 주민피해를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다"며 "건설비와 주민민원으로 인한 비용 상승과 함께 장거리 송전에 따른 전력손실도 막대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전력을 생산하는 지역과 소비하는 지역을 분리할 것이 아니라 지산지소 원칙에 따라 전력을 생산하는 지역에 수요 기업이 입주할 수 있도록 전력시스템을 바꿔야 한다"며 "전력을 생산하는 지역에 수요 기업을 유치한다면 송전선로 건설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막대한 사회적 비용 감소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천안시민사회단체협의회·충남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정부는 전기를 생산하지도 소비하지도 않는 천안에 피해만 입히는 송전선로 건설 계획을 즉각 철회해야 한다"며 "재생에너지 생산지역에 전력 수요 기업이 이전하도록 유인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천안=정철희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사건사고] 해수욕장서 30대 물에빠져 숨져… 인명·재산 피해 속출
  2. 대전보훈청, 광복 80년 기념 보훈음악회 성황리 마무리
  3. 세종시 '첫마을 3단지' 12세대 공급...18일 1순위 접수
  4. 대전 전세사기 피해자 1천명당 2명 '전국 최고'… 금융기관 커넥션 드러나나
  5. [편집국에서] 모두의 AI
  1. 대전0시축제 패밀리테마파크 방문객 53만명, 흥행 견인
  2. 최교진 신임 교육부 장관 후보자 새 정부 교육정책 관심
  3. 내신 1.0등급 합격 학과 2년 연속 의약학계열… 이공계 최상위권 부재
  4. [홍석환의 3분 경영] 나만 생각하는 사람
  5. [직장인밴드대전] "대상은 생각도 못 했는데 너무 기뻐요"

헤드라인 뉴스


[직장인밴드대전] 뜨거운 열정으로  `전국대회` 자리매김

[직장인밴드대전] 뜨거운 열정으로 '전국대회' 자리매김

'2025 전국직장인 밴드 대전'이 0시 축제 피날레 무대를 장식하며 중부권을 넘어 국내 대표 직장인밴드 음악경연 축제로 자리매김했다. 중도일보가 주관한 '전국직장인 밴드 대전'은 0시 축제 마지막 날인 16일 오후 7시 대전시 중구 우리들공원 특설무대에서 화려한 막을 올렸다. 이날 대회에는 3000여명의 관객들이 찾아 시원한 고음과 폭발적인 샤우팅, 강렬한 전자 사운드, 헤드뱅잉와 같은 멋진 퍼포먼스를 마음껏 즐겼다. 올해로 2회째를 맞는 대회에는 대전은 물론 서울, 부산, 제주 등 전국에서 모인 12팀의 직장인 밴드팀이 참여해..

대전0시축제 패밀리테마파크 방문객 53만명, 흥행 견인
대전0시축제 패밀리테마파크 방문객 53만명, 흥행 견인

대전문화재단이 운영하며 대전0시축제의 핵심 공간으로 자리잡은 패밀리테마파크에 방문객 53만여 명이 다녀가며 '명실상부한 흥행 견인차'역할을 톡톡히 했다. 옛 충남도청사에 조성된 패밀리테마파크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복합 문화놀이터로, 가족 단위 방문객들로 연일 붐볐다. 특히 꿈씨과학실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천국립중앙과학관 등과 협력해 마련된 과학 체험공간으로, 달 탐사 VR 체험과 우주탐험 콘텐츠가 큰 인기를 끌었다. 옛 도청사 주차장을 활용해 한밭수목원을 축소한 듯 조성된 공간인 꿈돌이 정원도 아기자기한 정원 풍경과 야간..

대전 전세사기 피해자 1천명당 2명 `전국 최고`… 금융기관 커넥션 드러나나
대전 전세사기 피해자 1천명당 2명 '전국 최고'… 금융기관 커넥션 드러나나

정부가 전세사기 피해자로 인정한 전국 3만 400건 중 대전에서 인구대비 피해건수가 가장 많은 가운데, 지역에서 50년 남짓 신뢰를 쌓은 금융기관 임직원들이 조직적으로 개입한 정황이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전세사기에 악용된 깡통 다세대주택이 쉽게 지어질 수 있었던 근본 원인에 전세사기 전문 건설업자들에게 금융기관의 부정대출이 있었다는 것이 재판에서도 규명될지 주목된다. 국토교통부는 6월 기준 피해자들의 신청을 받아 심의 후 전세사기피해자 등으로 인정한 사건 전체 3만400건 중에 대전에서 접수된 사건은 3569건에 이른다고 밝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엑스포시민광장 물놀이장 마지막 운영 날…‘북적북적’ 대전엑스포시민광장 물놀이장 마지막 운영 날…‘북적북적’

  • 2025 전국직장인밴드대전 흥행성공…전국대회 자리매김 2025 전국직장인밴드대전 흥행성공…전국대회 자리매김

  • 통행 방해하는 인도 위 쓰레기 통행 방해하는 인도 위 쓰레기

  • 천 개의 마음 모여 완성한 대형 태극기 천 개의 마음 모여 완성한 대형 태극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