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안시민사회단체가 18일 천안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으로 열고, 천안을 경과지로 하는 송전선로 설치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
천안시민사회단체협의회·충남환경운동연합은 18일 천안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천안을 경과지로 하는 군산-북천안, 신계룡-북천안- 북천안-신기흥 송전선로 설치를 반대했다.
이들 단체는 "최근 확정된 제11차 장기송변전설비계획에 따르면 3개의 345kV 송전선로가 건설 예정으로, 천안지역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며 "5월 14일 신계룡-북천안 송전선로 경과 지역인 공주지역의 시의회와 이통장 등 주민들은 사업설명회에 앞서 집회를 열고, 사업 중단과 백지화를 요구했다"고 운을 뗐다.
이어 "이런 송전선로는 호남의 재생에너지에서 생산된 전기를 수도권으로 보내기 위한 선로로, 중간에 끼게 된 천안은 경과지로서 애꿎게 피해만 보는 상황에 부닥치게 됐다"며 "이미 천안은 직산읍 일원 154kV 송전선로와 직산변전소 건설 사업 등으로 심각한 주민피해와 함께 갈등을 겪은 바 있다"고 밝혔다.
또 "재생에너지 생산은 지방에서, 전력 소비는 수도권에서 이뤄지는 방식은 에너지 정의에도 부합하지 않으며, 지역 간 불균형을 심화시킬 수밖에 없어 지속가능성과는 거리가 멀다"며 "이 같은 장거리 송전 방식은 주민 반발을 불러일으켜 각종 민원으로 사업 기간과 비용을 증가시키고 있기에 오히려 재생에너지 확대와 수요기업에 대한 전력공급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송전선로는 필연적으로 자연환경을 훼손하며 전자파와 소음 피해, 지가하락 등으로 주민피해를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다"며 "건설비와 주민민원으로 인한 비용 상승과 함께 장거리 송전에 따른 전력손실도 막대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전력을 생산하는 지역과 소비하는 지역을 분리할 것이 아니라 지산지소 원칙에 따라 전력을 생산하는 지역에 수요 기업이 입주할 수 있도록 전력시스템을 바꿔야 한다"며 "전력을 생산하는 지역에 수요 기업을 유치한다면 송전선로 건설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막대한 사회적 비용 감소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천안시민사회단체협의회·충남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정부는 전기를 생산하지도 소비하지도 않는 천안에 피해만 입히는 송전선로 건설 계획을 즉각 철회해야 한다"며 "재생에너지 생산지역에 전력 수요 기업이 이전하도록 유인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천안=정철희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