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는 최근 소상공인들을 대상으로 한 이 사기 수법이 급증함에 따라 피해를 막기 위한 선제적 조치다.
‘노쇼 사기’는 단순히 예약을 취소하는 것을 넘어, 사기범이 공공기관이나 유명 단체를 사칭해 상점에 접근하는 방식이다. 이들은 가짜 공문, 명함, 신분증 등을 제시하며 신뢰를 쌓은 뒤, 고가의 물품을 대량으로 주문한다. 이후 “지인이 대신 수령할 것”이라며 물건값을 특정 계좌로 먼저 입금하도록 유도하고, 돈을 가로채는 신종 범죄다.
올해 초부터 조용히 확산되기 시작한 이 수법은 4월 중순 이후 피해 사례가 본격적으로 확인되면서 현재까지 논산에서만 총 36건의 피해가 접수됐다. 지난 8월에는 신원 미상의 피의자가 한 식당에서 고급 와인 3병 값인 1,050만 원을 대리구매 명목으로 받아 가로챈 사례도 있었다.
논산경찰서는 이 같은 피해를 막기 위해 관내 외식업중앙회, 소상공인협회 등 관련 단체를 직접 방문해 예방 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지역 맘카페, 논산시청 전광판, SNS 채널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홍보를 병행하며 시민들의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유동하 논산경찰서장은 “노쇼 사기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생계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악질적인 범죄”라며, “공공기관이나 단체 명의로 대량 주문이 들어오면 반드시 해당 기관에 직접 연락해 사실 여부를 확인하고, 어떤 이유로든 대리 결제를 요구하면 절대 응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논산경찰서는 앞으로도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홍보활동을 통해 신종 사기 범죄를 차단하는 데 총력을 다할 방침이다.
논산=장병일 기자 jang3921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